d라이브러리
"역사"(으)로 총 4,67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태양에 가까이 더 가까이! 솔라 오비터가 보내온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5호
- 이 지난 7월 16일 공개한 특별한 태양의 모습이에요. 뭐가 특별하냐고요? 지금까지 인류 역사상 태양을 가장 가까이서 찍은 사진이거든요. 지난 2월 ESA가 발사한 태양 탐사선 ‘솔라 오비터’가 태양과 약 7700만km 떨어진 곳에서 찍었지요. 이 사진엔 태양 표면 근처에서 셀 수 없이 일어나는 작은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누가 요즘 손으로 그림을 그려? 드로잉머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곳에만 얇게 바르는 게 핵심”이라며 제작 꿀팁을 전했답니다. 알아보자!드로잉머신의 역사는 600년 전부터? 오래 전부터 예술가와 과학자들은 그림을 그리는 수고를 덜기 위해 자동으로 그림을 그리거나, 화가의 작업을 도와주는 드로잉머신을 만들어 왔어요. 미국 시카고예술대학에서 ... ...
- [시사과학] 올해도 불가마 더위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나타나는 건 아닐까 우려하는 사람이 많았어요. 올해 전 세계 평균 기온이 기후 관측 역사상 가장 높을 거란 전망도 걱정에 한몫했죠. 지난 5월 미국해양대기청(NOAA)은 2020년이 기상 관측 사상 가장 더운 해가 될 확률이 69%, 첫 번째에서 네 번째로 뜨거운 해일 확률이 95%라고 예측했어요. 또, ... ...
- [이달의 과학사] 왜 대중음악의 길이는 4분 정도일까? 레코드판 탄생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우리가 듣는 대중음악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어요. 노래의 길이가 약 4분 내외라는 것이죠. 음악의 길이가 이렇게 정해진 데는 ‘레코드판’의 발명이 큰 영향을 미쳤답니다.노래를 듣기 위해 사용하는 검고 동그란 레코드판을 본 적 있을 거예요. 레코드판의 표면에는 미세한 홈이 파여있어요. ... ...
- 학교가 끝나고 나면 수학 선생님의 은밀한 잡생활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또 다른 교양 수학 도서를 집필 중입니다. 소설가로서는 ‘영원한 제국’처럼 재밌는 역사 미스터리 소설을 쓰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강 선생님은 내년부터 학교에서 교육부로 일터를 옮깁니다. 교육연구사가 되어 교육에 관한 크고 작은 일을 해결할 예정입니다. 음악가로서는 컴퓨터 음악과 락 ... ...
- [인터뷰] 꿈의 에너지에서 현실의 에너지로 "선진 기술로 핵융합 상용화 주도할 것"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발전소는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지만. 여기서 배출되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인류의 역사만큼이나 긴 시간 동안 남아 장기적으로 생태계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반면 핵융합 발전소에서는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이 배출돼 지구 환경에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습니다. 진정한 의미의 친환경 ... ...
- [일본유학일기] 시험공부 도와주는 도쿄대의 비밀 무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시케타이를 의식한 발언을 하는 분도 있다. 내 생각에는 적어도 시케타이의 역사가 수십 년은 됐을 거라고 본다.도쿄대는 1, 2학년 때 기초과목과 교양수업만 듣고, 3학년 때 학과가 정해진다. 3학년 때부터는 학과에 따라 시케타이가 없는 곳도 있다. 다행히 내가 속한 전자과는 시케타이가 있다. ... ...
- [이달의 수학자] 수학의 다양화를 꿈꾸는 질 피퍼수학동아 l2020년 12호
- 013년에는 ‘미국 여성 역사의 달’ 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 미국은 매년 3월을 미국 여성 역사의 달로 정하고, 그해의 주제에 맞는 여성을 선정합니다. 2013년의 주제는 ‘과학, 기술, 공학 및 수학 분야에서 상상력을 통해 혁신을 독려하는 여성’이었고, 피퍼 교수가 당당히 이름을 올린 겁니다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마치기 위해 연구원들은 끼니도 잊고 실험에 열중했다.김 부장은 “한국의 핵융합 기술 역사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수십 년 이상 짧지만, 훌륭한 연구원들과 뛰어난 장치 덕에 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까지 기술 수준이 성장했다”며 “미래 에너지원인 핵융합 발전을 상용화하기 위해 ...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뜬다. 이 태양의 이름은 국제핵융합실험로(ITER·이터). 지금까지 진행된 인류의 과학 연구 역사상 가장 오래 공들인 프로젝트다. ITER는 핵융합 에너지의 실용화 가능성을 직접 대규모 장치를 건설해 검증하는 것이 목표다. ITER는 올해 7월 본격적인 부품 조립 작업에 돌입했다. ITER 개발에 7개 나라가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