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engineer
앤지니어
기관수
기관사
d라이브러리
"
엔지니어
"(으)로 총 575건 검색되었습니다.
키보드없는 컴퓨터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기계가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표준방식이란 모든 일본인이 교육받은 쓰기법이다.
엔지니어
들은 일본인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엄청난 숫자의 상용한자 때문에 어찌할 도리가 없다고 한다. 신문 한장을 다 읽으려면 적어도 2천자의 한자를 알아야만 한다. 그뿐 아니라 발음기호와 로마자 숫자들도 ... ...
동양최대규모 워크스테이션센터 개관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학부 대학원생 등 재학생들의 교육 뿐아니라 주말이나 방학때를 이용해 일반산업체의
엔지니어
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함께 교육센터의 대규모 기자재를 활용해 각종 응용 소프트웨어와 CAD·CAE관련 연구도 진행해갈 방침이다 ... ...
사용자를 위해 봉사하는 인간공학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수 있다.그렇다면 도대체 인간공학이란 무엇인가. 예를 들어 새로운 승용차를 개발할 때
엔지니어
들의 기본적인 관심은 엔진이나 변속장치 또는 유선형의 차체에 있다. 그러나 운전자의 입장에서 보면 △충돌에도 안전한가 △내부공간이 넉넉한가 △승차감이 좋은가 △장시간 주행에도 시트가 ... ...
음을 좌우·상하·앞뒤에서 듣는다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직접 뽑아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음향검색시스템의 활약한편 휴즈항공사의
엔지니어
들은 오디오의 주파수를 약간 변화시켜 주면 귀와 두뇌가 소리의 방향을 알아챈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그들은 이런 지식을 응용, 두개의 스피커만을 사용해 방안 도처에서 오는 듯한 소리를 창조하고 있다. ... ...
국토를 일구어내는 첨병이 되고자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씨름하는 화이트 칼라보다는 직접 몸으로 부딪치면서 거대한 구조물을 완성해 가는
엔지니어
가 더 멋있어 보였기 때문이다. 나의 설계로 이루어진 빌딩 다리 댐 크게는 도시까지…. 확실한 형체로 내 분신을 남긴다는 것이 무척이나 뿌듯하고 가슴 벅찬 일로 느껴졌다. 이런 이유로 지원을 하고 ... ...
아기 돼지를 잘 이해하는 로봇 돼지엄마 등장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연구하는 프랭크 허닉의 아이디어 제품이다. 그가 미국 온타리오주 소재 겔프대학의
엔지니어
인 돈 고던의 도움을 받아 이 색다른 로봇을 개발하기 시작한 것은 이미 8년전. 곧 이 하이테크돼지는 상품화될 예정이다.이 암퇘지로봇이 보급되면 양돈업자의 고민을 많이 덜어줄 것으로 전망된다. ... ...
차별과 텃세속에 독자적인 길 걸어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기술보고서와 20종의 학술집을 내놔 주목을 받았다.다우케미컬에는 소문난 한국인 화학
엔지니어
가 또 있다. 바로 이도익박사(59)로 그는 20여편의 내국특허를 받은 공로를 인정받아 86년 미국제지협회로부터 '코팅 및 그래픽기술변환상'과 '찰스엥겔하드훈장'을 받았는가 하면 미국화학회 중부지구가 ... ...
PARTⅠ 창의성과 민주적 운영 중시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그 산하연구소에 배속된 사람들의 집단이다. 다른 하나는 일부 응용과학과 대부분의
엔지니어
링 연구를 하는 정부의 각부 산하연구소에서 일하거나 또는 앞의 두집단 중 어느 한 곳에서 온 사람들이다. 미국 외국 응용과학평가센터 보고에 따르면 대학과 기술연구소의 수준은 대부분 매우 낮고, ... ...
원자 하나씩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훨씬 강력한 전자현미경이 제조될 수 있었다.최초의 전자 현미경은 1932년 독일의
엔지니어
인 어네스트 러스커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이로 인해 그는 1986년 노벨상을 수상하게 됐다.(무려 54년 후에야!)수년에 걸쳐 전자현미경은 끊임없이 개선되어 훨씬 강력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만들어진 것 ... ...
PART Ⅱ 국내 인공지능연구 누가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교수 학생들도 있었지만 인공지능을 자신의 학문이나 사업에 이용하려는 의사 경영학자
엔지니어
언어학자 심리학자들이 더 많았다. 이들은 '생각하는 컴퓨터'가 어떤 것인지에 대한 호기심으로 가득차 있었다. 초창기의 인공지능 학자들은 연구보다 이들에게 인공지능의 개념을 쉽게 설명해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