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시아"(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새 책] 인류가 고기를 먹게 된 이유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경험이 배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류는 고기를 먹는 존재다. 현재 아프리카나 동남아시아에 남아 있는, 인류를 제외한 유인원은 모두 초식을 한다. 인류는 유독 고기를 먹는다. 그 기원에 대한 힌트를 얻기 위해, 저자는 170만 년전에 살았던 호모 에렉투스의 뼈 화석 한 점에서 이야기를 ... ...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높습니다.“마이크로소프트에서 여름을”저는 이번 여름에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 아시아’에서 분산 시스템을 연구했습니다. 분산 시스템은 한 대의 컴퓨터로 처리하기에 큰 일을 여러 대의 컴퓨터에 적절하게 나눠서 처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예를 들어 엄청난 양의 정보를 분류하고 처리해야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DNA를 분석한 결과다. 아프리카에서 태어난 인류는 10만 년 전에 중동에, 7만 년 전에 서아시아에 진출했다. 6만 년 전에는 오세아니아, 4만 년 전에는 유럽에도 현생인류가 살게 됐다. 이동 시기와 순서를 두고 아직 논란이 있지만 현재까지 학계의 정설은 이렇다. 문제는 인류가 가장 마지막으로 ... ...
- [손바닥 인터뷰] “북극 카라해가 더워지면 한국에 한파 와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관련성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 것이 많지 않아 예측하기 어렵다. 다만 동아시아는 엘니뇨가 올 때 보통 따뜻하고, 북미는 일부는 따뜻해지고 일부는 추워진다. 한 가지 큰 변수는, 북미 기후에 영향을 주는 척치해의 해빙이 올해 역사상 가장 많이 녹았다는 점이다. 올 겨울 북미 날씨는 아주 ... ...
- [수학뉴스] 세계 인구 증가의 원동력은 아프리카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볼 때 아프리카는 지난 10년간 이 비율이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1970년대의 아시아, 라틴아메리카, 그리고 카리브해 지역 세 곳의 출산율 감소와 비교해 약 1/4밖에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윌모스는 20~64세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지표를 이용해 인구노령화 가능성이 있는 국가를 ...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문물을 다시 들여왔다는 것은 이상하다. 뿐만 아니라 지하우 지역에는 타닌 성분을 지닌 아시아 체리나 산시나무 같이 포도를 대체할 다른 과일이 많았99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와인이 아닌 타닌 성분을 지닌 어떤 과일로 만든 과일주로 보고 있다.이보다 더 확실한, 최초의 와인은 이란 북부의 ...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토마스 수도프 교수를 만났다. 수도프 교수는 학생들의 질문에 30분가량 답하면서 “아시아 학생, 특히 남학생은 주변 연구자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려고 노력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또 “똑똑한 학생보단 (연구실 문을) 두드리는 학생이 기회를 얻을 확률이 높다”고 말했다. 기회가 올 ... ...
- [Hot Issue] 스무 살 맞은 한국 토종 로봇축구대회, FIRA컵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대회 이름은 지금은 하나의 부문이 된 ‘마이크로로봇 축구대회(마이로솟)’였다. 아시아의 작은 국가가 국제 로봇축구대회를 만든다고 하니 처음에는 다들 콧방귀를 뀌었다. 그러나 1, 2회 대회를 거치면서 점차 국제 사회에 알려지기 시작해 머잖아 자국에서 개최하겠다는 신청이 줄을 이었다. 199 ... ...
- [Knowledge] 예술의 경지에 이른 변장술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동남아시아에는 아주 특별한 도마뱀이 산다. 몸길이 약 20cm 정도 되는 이 작은 도마뱀은 나무 위에서 사는데, 가지에 앉아서 쉬고 있는 모습은 매우 평범해 보인다. 하지만 근처로 다가가면 다른 도마뱀들이 보여주지 못하는 기이한 묘기를 보여준다. 옆구리에 달린 ‘날개’를 펼쳐 가지에서 ...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알고리듬은 ‘프린스(PRINCE)’다. 프린스는 2012년 세계적인 암호작성술 컨퍼런스인 ‘아시아크립트(Asiacrypt)’에서 덴마크공대 줄리아 보그호프 연구원이 제안했다. 암호 알고리듬은 기본적으로 암호화와 복호화의 과정을 거친다. 특정 메시지를 수식을 통해 변환하는 것이 암호화, 역으로 암호를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