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면
영사막
은막
영화계
screen
영화
쓰크린
d라이브러리
"
스크린
"(으)로 총 529건 검색되었습니다.
실생활에 긴요한 제품의 홍수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시선을 끌었다.이 회사가 이번에 시카고 전시회에 내놓은 바르코비전은 가정에서도 대형
스크린
을 간단히 설치, 사용할 수 있는 프로젝트였다.바르코비전 600N와 1500S는 찬란한 색상과 깨끗한 화면으로 감탄을 자아내게 했는데 바르코비전은 시청각 교재로서 대단한 인기를 갖게 했다.시청각 ... ...
혁명적인 새로운 비디오게임 등장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Force로 하면 훨씬 재미있다는 것. U-Force는 게임하는 사람의 정확한 동작, 속도, 위치 등을
스크린
에 옮겨 이것을 신호삼아 작동하게 되는데 몇가지 특허를 얻은 센서와 특수회로를 통해 이같은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 ...
컴퓨터 그래픽스 디자인 혁명을 가져오다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수가 있는 것이다.이렇게 만들어진 일련의 그림들은 '뷰어'나'빔 프로젝터'에 의해 대형
스크린
에 출력되고 많은 사람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가 있다. 비디오 테입이나 멀티슬라이드는한번 제작하는데 제작비도 엄청나거니와 한번 만들어지면 수정할수가 없는 단점이 ... ...
마인드 컨트롤인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꽉 찰 정도로 커서는 안된다. 자신의 약 2미터 전방에
스크린
을 상상으로 만들고 그
스크린
에 자신이 선택한 것을 투영한다. 명상에 들어갈 때마다 영상은 한가지만 떠오르게 한다.처음에는 귤이나 사과처럼 흔히 보아오던 간단한 것을 영상화 한다. 다음 연습 때는 그 대상을 바꾸어도 좋다. 어쨌든 ... ...
완전 자동화시대 곧 열릴듯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전망. 이 시스팀에서 무엇보다 인상적인것은 254 X 305cm의 거대한 영상
스크린
이다. 이
스크린
을 비롯한 집안에 설치된 모든 가전제품은 안락한 의자속에 장치된 유니트를 통해 전원 공급과 볼륨등이 조절된다. 물론 거의가 리모트 콘트롤을 할수 있게 되었다. 목욕물을 데우는것과 방법(防犯) ... ...
「자동차정비 정보시스팀」선보여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초보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풀다운(pull down) 메뉴방식’과 ‘팝업(popup)
스크린
방식’을 채택하였고 사용자가 지루하지 않도록 화면의 색상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이 시스팀은 특별한 색인방법을 채택, 화일검색이 빠를뿐아니라 데이타화일이 파손되었을 경우 화일을 ... ...
청소년의 우주로 향한 꿈을 키워주는 우주캠프「마샬 우주센터」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스페이스 돔'이라는 영화관이 있다. 2백80석의 좌석을 모두 덮을것같은 전천주(全天周)
스크린
이 있고 뛰어난 음향효과와 함께 우주비행의 분위기를 체험할수 있게 해 놓았다.마지막으로 로킷공원으로 가보자. 여기에는 폰 브라운과 관련이 많은 새턴I형을 비롯한 로킷14기의 원형모델이 전시되어 ... ...
새로운 컴퓨터 개념「프리스타일」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놓여있는 데스크의 모형이 나타나는 전자책상에서는 단지 전자판위에 펜을 움직여
스크린
에 나타난 모형을 지정함으로써 컴퓨터에 서류의 묶음 파일 발송 실제크기로의 확대등의 명령을 줄 수 있다.'왕'사의 창시자인 왕은 기자회견을 통해 "왕은 늘 어려운 것을 사용하기 쉽게 만드는데 ... ...
학생을 위한 신상품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기상계온도·습도·기압 등을 계측해서 날씨를 예상해 볼 수 있는 인공위성 모양의 기상계. 세련된 다자인으로 보는이를 매혹 시켜 인테리아 구실도 할 수 있 ... . 보고 싶은 달과 날짜를 세트하면 1년중 어느날의 성좌도 볼 수 있다. 직경 1.6m의 조립식
스크린
이 달려있다. 일화 9만7천엔 ... ...
불면 불몽의 건강학 마음먹은대로 잠들 수 있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바뀌고 각색된다. 이를테면 꿈은 왜곡되고 변형된다는 말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꿈을
스크린
에 옮기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사실 우리는 꿈에 대해서 너무나 많은 오해를 하고 있다. 단잠을 잔 사람은 꿈을 꾸지 않는다는 근거없는 이야기를 들은 뒤 "나는 왜 꿈을 자주 꾸지 않을까?"하고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