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약 개발도 우주에서! 미세중력의 마법
수학동아
l
2023년 06호
고려해야 한다. 그 외에도 여러 실용적인 문제 때문에 아직 돌아가는 우주정거장 계획을
발표
하지 않고 있다. 고순도 물질 우주 공장에서 만들어 지구로! 미세중력에 장기 거주하는 사람의 건강 문제를 떠나서 생각해보면 회전하지 않는 우주 구조물이 제공할 미세중력과 진공 상태는 산업적으로 ... ...
습도 따라 모양 바뀌는 4D 프린팅 씨앗 로봇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할 수 있는 씨앗 로봇을 개발해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3월 24일자에 표지논문으로
발표
했다. doi: 10.1002/advs.202205146 연구팀은 식물 씨앗에서 영감을 받아 토양 상태를 모니터링할 로봇을 개발하는 프로젝트(I-Seed)를 이끌고 있다. 프로젝트 첫 번째 결과물인 이번 로봇은 남아프리카에서 서식하는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NASA 등 공동연구팀은 화성 북반구 물 분포지도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발표
했다. doi: 10.1038/s41550-020-01290-z 연구팀은 NASA의 마스 오디세이, 화성 정찰 궤도선 등이 수집한 데이터 20년 치를 분석해 이 같은 지도를 만들었다. 땅속에 물이 묻혀있는지 아닌지 알아내려면 간접적인 증거를 ... ...
[기획] 너의 뇌세포로 컴퓨터를 만들고 싶어 바이오컴퓨터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악몽이나 디스토피아 SF소설에 나올 법한 이야기라고? 그렇지 않다. 작년에 실제로
발표
된 연구 내용이다. 과연 뇌세포가 미래 컴퓨터의 재료가 될 수 있을까. 인공지능(AI)을 넘어 앞으로는 뇌세포를 이용한 오가노이드지능(OI)의 시대가 올까. 이제 막 연구가 시작된 뇌 오가노이드 바이오컴퓨터에 ... ...
‘접시뇌’에게 컴퓨터 게임을 시켰더니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OIOrganoid Intelligence)’이라 부르자는 논문을 국제학술지 ‘프런티어즈 인 사이언스’에
발표
했다. doi: 10.3389/fsci.2023.1017235 AI(인공지능)와 비교하는 의미에서 오가노이드지능(OI)이라는 표현을 도입한 것이다. AI 이어 오가노이드지능(OI)이 온다 OI는 컴퓨터와 뇌 오가노이드 사이에 뇌세포와 신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넷플릭스 시리즈 ‘택배기사’ 극심한 대기오염은 가상의 이야기일까?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할 때 증가하는 ‘아펠린’이라는 단백질이 노화성 근감소증을 막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습니다. doi: 10.1038/s41591-018-0131-6 물론 이런 연구 결과들은 노화된 근육세포를 재생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젊은 사람의 근육을 과도하게 늘려주지는 못합니다. 하지만 이로 인해 근육의 ... ...
[5년 후, 과학은] 효율 좋고 유연한, 에너지의 미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과학동아
l
2023년 06호
거론됩니다. 최근엔 에너지 변환 효율이 33.2%인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태양전지가
발표
되기도 했습니다. 상용화 위해선 안정성 확보가 관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더욱 심각해지는 에너지 위기를 해결하는 핵심 수단으로 자리잡을 겁니다. 물론 먼저 몇 가지 한계를 극복해야합니다. ... ...
[특집] 음향 메타물질로 UFO의 트랙터 빔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5호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 노준석 교수팀은 층간소음을 상쇄할 수 있는 음향 메타물질
발표
했어요. 연구팀이 만든 메타물질은 카이랄 구조●를 띠고 있어, 층간소음을 일으키는 주범인 90Hz(헤르츠) 이하의 저주파 진동을 상쇄시킬 수 있죠. 연구팀이 만든 메타물질로 실험을 해 보니, 메타물질은 ... ...
[가상 인터뷰] AI로 외계 생명체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5호
일, SETI 연구소 공동 연구팀은 외계 생명체가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는 신호를 감지했다고
발표
했어. AI가 천체에서 발생한 방대한 양의 신호를 분석한 결과지. Q. 연구원들은 왜 AI에게 분석을 맡겼어? 전파망원경의 수신기는 매우 민감해 온갖 신호를 받아들여. 우주의 천체에서 자연적으로 방출되는 ... ...
[피플] 독창성의 비결은 독학
수학동아
l
2023년 05호
때문인 것 같다”고 밝혔습니다. 2021년 피갈리 교수와 함께 슈테판 문제 관련 논문을
발표
한 자비에 로스 오톤 스페인 바르셀로나대학교 교수는 “2014년부터 슈테판 문제를 연구하기 시작했는데 카파렐리 교수님의 연구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다”고 전했어요. 살사 교수는 1978년 공동 연구했던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