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상
파두
badawi
d라이브러리
"
바다위
"(으)로 총 1,788건 검색되었습니다.
낙지 VS 주꾸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엄마께서 반찬으로 매콤 달콤한 낙지볶음을 해 주셨어요. 그런데 다 먹고 여쭤 보니 낙지가 아니라 주꾸미라는 거예요. 낙지와 주꾸미의 차이점이 뭔가요? 송예린(홈스쿨링 4)낙지낙지는 뼈가 없고 유연한 연체동물로, 흔히 낙지 머리라고 하는 둥근 부분은 사실 몸통이에요. 낙지의 몸은 가장 위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➊ 플라스틱은 생산량에 비해 매우 소량만 바다에서 발견된다.➋ 에릭슨 박사는 탐험대를 꾸려 플라스틱 바다쓰레기를 찾아 나섰다.➌ 마이크로 플라스틱은 그물로 건져 올린 다음 체에 쳐서 개수를 센다.작년 9월, 재치 넘치는 대학생 두 명이 과자봉지를 타고 한강을 건넜다. 질소로 가득 찬 과자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친구들은 자신의 얼굴에 얼마만큼 만족하나요? 혹시 얼굴이 너무 둥글다거나 턱이 나왔거나, 얼굴이 조금만 갸름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친구들이 있나요? 최근에는 턱이 뾰족하고 갸름한 얼굴형이 인기예요. TV에 나오는 스타들도 대부분 얼굴이 갸름하지요. 그런데 놀랍게도 ...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보물을 잔뜩 실은 배가 바닷속에서 발견됐다는 이야기 들어 봤나요? 마치 동화에서만 있을 것 같은 이런 일이 실제로 일어났어요. 지금으로부터 800년 전인 고려시대에 우리나라 바다를 누비던 배가 2009년에 발견됐거든요! 그리고 이 배가 얼마 전 옛날 모습과 크기 그대로 복원됐다는 사실! 어린이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어느덧 추운 겨울의 끝이 보이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이제 조금만 있으면 따뜻한 바람이 언 세상을 녹여 주겠지요. 그런데 남극에 사는 새들에게는 오히려 여름이 끝나는 시기예요. 훨씬 더 추운 겨울보다는 덜 추운 남극의 여름을 새들은 어떻게 보냈을까요?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해 새 전문가 김 ... ...
[과학뉴스] 가거초의 해양생물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꼬마흰갯민숭달팽이(Glossodoris misakinosibogae ) | 흰 몸통에 가장자리에는 주름이 져있다. 히드라 위에서 주로 생활하는데 우리나라 남해안과 일본 중부해역에서만 볼 수 있다.서남해의 끝 가거도 앞바다 수심 7.8m 지점에는 대형 수중암초인 가거초가 있다. 서해 냉수와 남해 온수가 섞이는 이곳에는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0“나는 앞으로 다가올 겨울 내내 인듀어런스 호의 발이 묶이고 말 것을 확신할 수 있었다. (중략) 물개들도 사라졌고 새들도 우리를 떠났다. 맑은 날에는 멀리 수평선 너머로 육지가 보였지만, 지금 현재로서는 우리가 도저히 도달할 수 없는 곳이었다. 배를 정박시킬 만한 장소를 지나쳤던 것에 대 ... ...
[Life & Tech] 두꺼운 패딩 벗어야 겨울 추위 이긴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한국은 ‘패딩 천국’이다. 유행에 민감한 고교생뿐만 아니라 직장인도 남녀 가리지 않고 코트나 재킷 위에 패딩을 입고 출근한다. 백화점에서는 수백 만원이 넘는 명품 패딩을 재고가 없어서 못판다.한국 겨울 날씨에 두꺼운 패딩 필요없다패딩을 입을 정도로 한국이 정말로 추운 것은 아닐까. 러 ... ...
[Knowledge] 3할 타자는 최고의 타자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당신은 프로야구단 스카우터. 올해는 최고의 타자를 데려와야 한다. 과연 어떤 기록을 먼저 봐야할까. 외야에서 잠자던 아재들이라면 가장 먼저 ‘타율’을 말할 것이다.그들이 항상 귀에 꼽고 있는 라디오의 야 구 해설자조차 ‘3할 타자’와 ‘2할9푼 9리’ 타자의 차이는 하늘과 땅이라고 하지 않 ... ...
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100년 동안 세상을 바꾸고 과학동아가 특집까지 다룬 이론이 혹시 틀렸다는 말인가. 물론 그렇지 않다. 일반상대론을 검증하려는 시도는 단추 크기(수mm)에서 태양계 크기(수십 억 km) 수준까지만 이뤄졌다. 이 정도 세계에서 아인슈타인이 틀렸다는 징후는 아직 없다. 그런데 태양계보다 훨씬 더 큰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