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문화과학"(으)로 총 1,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생리의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우리는 항상 길 찾기를 한다. 그런데 내가 어떻게 목적지까지 길을 잘 찾아가는 걸까. 길 찾기에는 생각보다 복잡한 능력이 필요하다. 현재 내가 어디에 있는지 정확한 위치를 알아야 하고, 여러 경로 중 최선을 선택해야 한다.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뇌 속에 있는 지도와 GPS, 그리고 내비게이션 ...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올해도 일본은 노벨상 수상자를 세 명 배출했다. 이번엔 물리학상이다. 이제 일본의 수상은 놀랍지 않다. 노벨상, 특히 과학 분야 상을 발표할 때가 되면 ‘이번엔 누가 받을까’에 앞서 ‘올해도 일본이 받을까’라는 생각이 먼저 들 정도다. 1949년 유카와 히데키가 물리학상을 받은 이후, 지금까 ...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광주역에서 택시를 타고 북서쪽으로 20여 분 달리면 GIST(광주과기원)와 각종 연구기관이 들어선 첨단과학산업단지에 갈 수 있다. 그곳엔 햇빛을 반사해 번쩍거리며 존재감을 발하는, 거대한 우주선 모양의 은빛 건물이 있다. 바로 지난해 11월 15일 공식 개관한 국립광주과학관 ‘루체리움(Lucerium)’ ... ...
- “클림트의 그림은 왜 더 야할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01897년 4월, 20여 명의 화가와 건축가가 오스트리아 빈에서 아방가르드(전위예술) 동맹을 결성했다. ‘분리파’라고 불린 이들은 그들의 뿌리인 인상주의는 물론이고, 기존 아카데미 위주의 전시로부터 자신의 예술을 분리시켰다. 분리파의 중심에는 구스타프 클림트가 있었다. 클림트는 우리에게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5700년 전 신석기 한반도 최초의 재배 벼, 가와지 볍씨한반도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쌀은 충청북도 청원에서 발견된 ‘소로리 볍씨’다. 약 1만5000년 전의 볍씨로 중국과 일본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볍씨보다도 나이가 많다. 그러나 소로리 볍씨는 야생종과 재배종의 중간 형태인 순화종으로 ... ...
- 우가우가~ 함께 춤을 춰요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아프리카 원주민이 탈을 쓰고 신나게 춤을 추려 하고 있다. 흥겨운 북소리를 듣노라면 나도 이들과 어울려 어서 빨리 춤을 추고 싶다. 모기의 발바닥 끝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었더니 흥에 겨운 아프리카 원주민의 탈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자연에 숨어 있는 아름다운 모습을 보여주는 국제바이오현 ... ...
- [과학뉴스] 시리아 내전, 세계문화유산 5곳 파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정부군과 반군 사이의 내전으로 여러 해째 폭격과 전투가 이어지고 있는 시리아에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유적 다섯 곳이 파괴된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과학진흥협회(AAAS)가 9월 18일 발표했다. 시리아는 농경 등 인류의 초기 문명이 이룩된 이른바 ‘비옥한 초승달지대’라고 불리는 지역에 있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늦여름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뉴턴의 사과나무’ 옆에 노란 컨테이너 9개가 나타났다. 한 컨테이너 안에 들어서자 소수점 9자리까지 표시된 디지털시계가 제일 먼저 눈에 들어왔다. 사진작가는 지금껏 살아오면서 0.01초까지만 인식했던 자신과 달리 그보다 1000만배 더 정밀한 1억 분의 1초까지 ... ...
-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초등학교 때 과학전집이 날 이공계로 이끌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Q ‘서울대 3대 천재’.올해 6월 미래창조과학부 2기 장관 후보자로 최양희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가 지목되자 동료 교수들은 하나같이 그를 “천재”라고 표현했다. 경기고-서울대 71학번 동기인 오세정, 국양 서울대 물리학과 교수들과 함께 그는 ‘전설적인 3대 천재’로 불리고 있었다. “온 ... ...
- 사카린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사카린은 훗날 미국 존스홉킨스대 총장을 역임한 화학 교수 아이라 렘센의 실험실에서 근무하던 러시아 출생의 연구원 콘스탄틴 팔버그가 1878년 처음 발견한 합성 감미료다. 산업 폐기물이지만 유용한 자원이기도 했던 콜타르를 이용해 여러 가지 화합물을 합성하던 그는 우연히 ‘오쏘-설포벤즈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