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믿었던 킬러 T 세포가 고장 나면 어떻게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후 지금까지 방관자 T 세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2019년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최제민 교수팀은 처음으로 자가 면역 질환에서의 방관자 T 세포 역할을 찾아냈어요. 자가 면역 질환은 면역세포가 과도하게, 또는 잘못 반응해 병원균이나 바이러스가 아닌 우리 몸을 공격하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즐겁고 슬기로운 숏폼 사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회의 조회 수를 기록했고, 인스타그램 이용자는 전체 사용 시간의 20%를 릴스에서 보내죠. 대학내일 20대연구소가 2022년 7월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청소년층인 Z세대는 평균적으로 평일에는 75.8분, 주말에는 96.2분 동안 숏폼 콘텐츠를 시청하고 있어요. 숏폼은 이제 우리 일상 생활 속에서 빼놓을 수 ... ...
- 영재학교 학생이 챗GPT 쓰는 이유는? 빠르고 문제 해결 힌트 준다!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식의 과정을 인터넷에서 검색하면서 이해해야 했다. 선형대수학, 미적분방정식 등 대학 수준의 수학 정보는 구글 같은 해외 검색 포털에서 오랜 시간 찾아보거나 선생님을 찾아가 물어봐야 할 때도 있었다. 하지만 전 세계의 자료를 학습한 챗GPT에 물어보면 선생님이 설명해주듯 친절하게 ... ...
- AI 시대에 알맞은 수학 공부법, 비판적 사고와 질문하기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우리는 1%에 들 수 있을까?’ 미래학자 제러미 리프킨이 21세기에 AI와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하고 나면 직업 중 99%는 사라질 것이라고 한 말을 듣고 이런 생각을 했어요. 저는 고등학교 수학 교사인데요. 앞으로는 교무실에서 수업을 준비하고, 교실에서 수업을 하는 지금 모습 그대로 학 ... ...
- AI 시대 주목받는 직업 8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전문의텸AIST 의과학연구센터 교수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와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을 졸업 후, 5년간 한국원자력의학원에서 임상 수련을 받고 전문의가 됐어요. 레지던트 시절 아무리 노력해도 치료 방법이나 약이 없어서 중증 암 환자를 살리지 못하는 경우를 너무 많이 봤어요. 이때 의학 ... ...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나오지요. 유럽에서 오래된 대학 중 하나인 프랑스 파리대학교나 영국 옥스포드대학교의 학생은 졸업을 위해서 을 반드시 공부했어야 할 만큼 서구에서는 의 중요성을 일찍부터 강조했습니다. 두 번째 질문 비유클리드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인문학자 : 에서 시작한 ... ...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무려 844개가 동종이명(同種異名・synonym)으로 밝혀져 학계에서 퇴출됐다. 일본 제국대학 교수 등 저명한 학자들의 연구를 석주명이 뒤집은 것이다. 석주명의 연구는 한국과 일본을 넘어 서구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영국의 왕립아시아협회에서 석주명의 연구를 영문으로 출판할 것을 권유했고, ... ...
- [이그노벨상] 세상에서 가장 오래 진행 중인 실험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52년 간 피치 낙하 실험을 이어서 진행했다. 그가 세상을 떠난 2013년 이후로는 같은 대학의 후임자인 앤드류 화이트 교수가 피치 낙하 실험을 관리하고 있다. 실험이 시작되고 지금까지 96년 동안 피치는 총 아홉 방울 떨어졌고, 실험은 기네스북에 ‘가장 오래 진행된 실험’으로 등록되는 영예를 ... ...
- [특집] 튀르키예, 땅 찢고 우리나라까지 이동했다? 대지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지난 2월 6일 땅이 갈라질 만큼 강력한 지진이 튀르키예에서 발생했습니다. 바로 규모 7.8의 지진이었죠. 튀르키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5만 명을 넘어서면서(2월 24일 기준), 이번 지진은 21세기에 발생한 지진 중 피해가 5번째로 큰 지진이 되었어요. 튀르키예의 지진은 어떻게 최악의 지진 중 하 ... ...
- [기획] 바이러스를 먹고, 알리고, 무찌르는 면역 정예 부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하는 모습이 보였습니다. 대식세포가 발견된 순간이었어요. 이후 1960년대 영국 런던대학교에서 일하고 있던 자크 밀러는 생쥐의 가슴샘에서 T 세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합니다. 소아과 의사 맥스 쿠퍼는 밀러의 이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B 세포와 T 세포, 두 가지로 나뉘어져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