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합
협회
집단
모임
그룹
클럽
서클
d라이브러리
"
단체
"(으)로 총 1,390건 검색되었습니다.
뜨는 직업을 원한다면? 지금은 수학시대!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심야시간 사람들의 움직임을 분석하고 관찰했다. 그 결과 시민도 만족하고 운영하는 자치
단체
도 만족하는 ‘올빼미 버스’를 선보일 수 있었다.이러한 빅데이터 분석은 수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다. 실제로 서울시 ‘심야버스’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KT 미래사업개발그룹 빅데이터 프로젝트담당 ... ...
카카오톡 창업자도 산업공학과 출신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요구에 맞춰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수록, 산업공학이 빛을 발합니다. 매일 친구들과
단체
카톡방에서 얘기하죠? 이 기능을 모바일 메신저 최초로 제공한 것이 카카오톡입니다. 또 문자와 메신저를 합친 대화창도 카카오톡의 특징이죠. 바로 이렇게 사용자 중심의 프로그램을 만드는 데 산업공학이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않는다. 또 하나 경계대상은 야생곰이다. 위성전화와 곰퇴치 스프레이를 휴대하고 항상
단체
로 움직이지만 그래도 두렵다. 더구나 현장의 이름이 블루베리가 많다고 해서 ‘블루베리 힐’인데 특히 곰이 좋아하는 과일이다. 이런 곳에, 위험을 무릅쓰고 왜 오는 걸까. 이들은 한목소리로 이렇게 ... ...
두유노우 마우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실험용 쥐를 얻어 와서 애완용으로 키운다는 글이 보이는데, 그러면 안돼요. [시민
단체
에서 인간의 이익을 위해 동물에게 고통스러운 실험을 하는 것을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감정만을 내세워 반대하는 것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 ] 돼지나 개와 같은 중형 포유류는 사람들을 더 안타깝게 ... ...
세계에서 가장 얇은 다이아몬드 같이 만들래요?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서울 소재 대학의 좁은 실험실만 봐 왔던 기자에게 생소할 정도였다. 조금 과장하면
단체
줄넘기를 할 수도 있을 것 같았다. 임 교수는 UNIST가 자랑하는 금속 신경과학자다. 미국 미시간대에서 조교수로 재직하다 UNIST로 왔다. 최근에는 알츠하이머의 여러 가지 원인이 모두 연결되어 있을 거라는 ... ...
수학계 최고의 스승과 제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4년 05호
명예를 걸고 뛰는
단체
줄넘기이번에는
단체
줄넘기가 벌어지고 있는 체육관입니다.
단체
줄넘기는 여러 명의 선수들이 한 마음 한 뜻으로 경기를 하는 마음이 승패를 가른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데요. 여기 학교의 명예를 드높이기 위해 함께 출전한 4명의 수학자로 구성된 팀이 있습니다!19세기 말, ... ...
대한민국은 결핵왕국? 교도소 결핵환자를 치료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시선이 있거든요.파머는 가난한 환자들의 진료 및 건강권 신장을 추구해 온 비영리민간
단체
인 ‘건강의 동반자’에서 어떻게 페루에서 다제내성 결핵을 해결하는 데 성공했는가를 보여줍니다.페루의 슬럼가에는 1차 치료제로 치료하지 못한 다제내성 결핵 환자 수백 명이 있었어요. ‘건강의 ... ...
쓰레기에 신음하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년 전국의 8개 환경운동
단체
가 연합해 ‘환경운동연합’을 만들기 전까지, 대다수의 환경
단체
는 이름 앞에 ‘공해추방’ ‘반(反)공해’ 등의 말을 붙이고 있었다. 공해가 그만큼 당면과제였다는 말이다.요즘은 어지간한 시내나 시골의 하수구, 개천은 많이 깨끗해졌다. 공장지대 주변에서 폐수를 ... ...
철새 떼가 V자 그리며 날아가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하늘에서 커다란 V자를 그리며 날아가는 철새 떼를 본 적 있나요? 철새들은 대장 한 마리를 앞세우고 뒤에서 수십 마리가 V자 대형을 이루며 ... 새들이 내려가는 바람은 피하고 올라가는 바람을 타면서 쉽게 날 수 있답니다. 철새들의
단체
비행에 이런 비밀이 숨어 있었다니, 정말 신기하죠 ... ...
PART2. 지하 500m도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지하수가 근처로 흐른다면 방사성 물질이 표층으로 올라와 생태계를 해칠 수도 있다. 이
단체
는 심지층처분법 말고도 새로운 대안이 나오면서 원점에서 새로 검토해야한다는 의견을 제기했고, 스웨덴 환경법원 등이 이 문제를 놓고 고심 중이다.지하 3~5km 암반층에 보관심지층처분법의 대안으로는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