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다수
대량
많음
풍부
떼
풍부함
산더미
d라이브러리
"
다량
"(으)로 총 707건 검색되었습니다.
염색체 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온천에서 서식하는 내열성 미생물이 갖고 있는 유전자 복제효소다. 유전공학기술로
다량
생산된 DNA중합효소는 높은 온도주기(95-75-55℃)에서 특정 유전자를 수십억배 증폭하게 해준다. 이러한 유전자 증폭을 통해 아주 극소량의 사람의 피나 타액, 배설물 등에서 유전병 진단, 범죄수사에서의 유전자 ... ...
스포츠가 건강 파괴할 수도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발생시켜 면역기능 저하를 가져오고 '활성산소'(산소독)라는 맹독 물질을 몸안에
다량
발생시킨다는 것.활성산소는 6-7년전 일본에서 한차례 화제를 부른 뒤 일본 의학계에서는 주요 연구과제가 돼 있는 물질. 대부분의 생물이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산소는 평소에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 ...
지구과학- 수소폭탄보다 강력한 거대한 에너지 덩어리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한때 태풍을 인위적으로 조절해 보려는 스톰 퍼리(Storm Furry)계획이 있었다. 태풍에
다량
의 요오드화은(AgI)을 살포하여 인공강우를 일으켜 소멸시키려는 계획. 대체로 풍속이 15%정도 줄었으나 때로는 더욱 발달하기도 하였다. 또 태풍 내습이 있은 직후 드라이아이스를 태풍의 눈 주위에 뿌려 ... ...
2. 의료계의 혁명 수혈기술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최근의 연구로는 유전공학을 이용하여 사람의 헤모글로빈 유전자를 대장균에 접합시켜
다량
의 재조합 헤모글로빈(recombinant hemoglobin)을 만드는 기술의 개발이다. 이의 실질적인 이용이 이루어지기에는 부작용의 해결 등 많은 실험결과가 필요하다. 인공혈액은 현재까지 미국의 FDA(Food and Drug ... ...
(1) 우리은하 중심부는 거대한 알코올공장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분자들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특히 유독한 황화수소나 시안화합물들이
다량
관측되는데 이들은 혜성이 포함하고 있는 먼지들로부터 발산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지난번 핼리혜성이 다가왔을 때 인공위성들(베가, 지오토)은 혜성에 포함되어 있는 많은 유기물질들을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보여왔기 때문이다. 현대 우주론에서 나타나는 거의 모든 문제들이란 만약에 우주에
다량
의 암흑물질이 존재한다는 가정만 하면 쉽게 풀려지는 것들이다.1980년 이후 현대우주론의 혁명이라고 일컬어지는 인플레이션 이론은, 우리 우주에 존재하는 물질의 총량이 눈에 보이는 양의 1백배에 가깝다는 ... ...
특허받은 동물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함께 재조합시킨 유전자는 면양의 유선에서만 작동하여 혈액응고인자를 유즙과 함께
다량
분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유전공학기술을 이용하여 기존의 가축생산물인 우유 고기 모피 등 외에 인간의 병을 치료하는 약제나 인간의 생리활성물질들을 형질변환가축의 유선으로부터 ... ...
대한해협의 해양자원도 조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출현했다. 겨울철에 보기 힘든 어란과 동물성 부유생물도 쓰시마난류역에서
다량
발견됐다.돌아오면서는 정점별로 CTD만 작업하고 갈 때 빠뜨렸던 8-14번 정점을 집중적으로 조사했다. 오후 3시경부터 다시 파도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저녁 식사후 쓰시마 근해를 지나갈 때는 잠시 배를 세워두고 ... ...
스리랑카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적다. 5~9월에는 남서 몬순이 불고, 11~3월에는 북동 몬순이 부는데, 전자는 남서부에
다량
의 비를 내리게 해 농작물의 성장을 돕는다.그러나 산지의 배후인 북동부는 강수량이 적은 건조지대로 불모지가 많다. 전인구(91년 추계 1천7백40만명)의 70%는 국토(6만5천6백10㎢)의 4분의 1밖에 안 되는 남서부의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용기에 흘러 들어 곧 바로 체내 당분의 과다를 알 수 있게 된다. 만약 이때 오줌 속에서
다량
의 당분이 검출된다면 당뇨병의 예고탄으로 인식해야 한다.요중(尿中) 당분의 양을 측정해주는 바이오센서는 도쿄대학의 RCAST연구진들이 개발한 것인데 그 가장 바깥층은 당산화효소로 코팅돼 있다. 이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