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모
범위
한계
스케일
d라이브러리
"
넓은
"(으)로 총 2,124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빙글빙글 소용돌이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대기 속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발생한다는 정도만 알려져 있지요. 토네이도는 주로
넓은
평지나 바다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산이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잘 생기지 않아요.우리는 하루에도 몇 번씩 소용돌이를 봐요. 변기나 욕조에 채운 물이 내려갈 때에도 소용돌이가 생기거든요. 큰 용기에 담겨 있던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명재 윤증고택 탐방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있는 남쪽으로 찬바람이 밀려오지요. 그런데 이 길을 지나는 바람이 남쪽 끝에 도달하면
넓은
공간을 통과하며 그 속도가 줄어들어요. 이러면 안채 쪽에는 찬바람이 덜 불게 된답니다.”같은 원리로 여름에는 산을 향해 불어가던 바람이 북쪽의 좁은 길을 통과하며 속도가 빨라져요. 그러면 간채에 ... ...
[출동! 섭섭박사] 자동차와 비행기의 심장, '엔진'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아니지만, 블레이드의 날개가 공기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지요.그 결과 공기는
넓은
공간으로 나오지 못하고 계속 좁은 공간을 향해서 갈 수밖에 없답니다. 뒤따라서 빠르게 들어오는 공기는 앞서 들어온 공기를 계속 밀어내면서 점점 더 압축시켜요.이렇게 압축된 공기는 연소실에서 연료와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지역’을 뜻해요. 실제로 열대기후 지역을 지도에 표시해 보면 적도를 중심으로 하는
넓은
띠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지요.‘더울 열(熱)’은 ‘재주 예(埶)’에 ‘불 화(灬)’가 더해진 한자예요. ‘재주 예(埶)’는 ‘힘찬 기운’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어서 ‘더울 열(熱)’은 ‘불기운이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사라진 이모의 행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발견하고 잡아먹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에요. 몸집이 큰 숙주로 옮겨간 스파르가눔은 더
넓은
공간에서 더 많은 자손을 퍼뜨릴 수 있지요.과학자들은 스파르가눔이 분비하는 성장 촉진 물질을 사람이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 중이랍니다 ... ...
Part 2 두번째 작전. 소행성이 날아온는 이유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향해 소행성대에서 탈출~!약 46억 년 전 태양계가 만들어질 당시, 태양 주변에는 크고
넓은
먼지 원반만 존재했어요. 이 원반에 있던 여러 물질이 서로의 중력에 이끌려 뭉치면서 태양계의 여러 천체를 만들었답니다. 이때 크게 뭉친 것들은 둥그런 행성이 되었지만, 충분한 크기로 뭉치지 못한 것들은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범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나와요.그레이 다카는 그 이유가 기체의 성질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공기는 페트병의
넓은
입구로 들어간 뒤 좁은 입구를 통과하면서 압축됐다가, 다시 페트병 밖으로 나오며 팽창해요. 그 과정에서 기체의 온도가 낮아진다는 거예요.이 원리를 ‘줄-톰슨 효과’라고 해요. 우리가 입을 크게 ... ...
Part 4 네번째 작전. 소행성의 움직임을 감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칠레, 남아프리카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세 곳의 망원경을 한꺼번에 사용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을 관찰할 수 있답니다. 특히 기존에 관측된 근지구소행성의 특성을 밝히고 주기를 계산하는 일을 맡고 있지요.한국천문연구원의 최영준 박사는 “소행성이 반사하는 태양빛을 조사해 밝기나 성분 ... ...
[숲이야기] 여름 숲을 수놓는 하늘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달리 날개딱지에 크고 작은 흰색의 반점이 있답니다.영양사슴하늘소는 큰턱과
넓은
몸집이 장수하늘소와 꼭 닮았어요. 하지만 이 종은 하늘소가 아니라 다른 종류의곤충이에요. 하늘소들은 더듬이가 주로 일자형으로 막대 모양을 하고 있는 반면, 영양사슴하늘소는 더듬이 끝 부분이 볼록하답니다 ... ...
Part 2. 우주를 향해 더 멀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지구와는 굉장히 달라요. 때문에 과학자들은 제2의 지구를 찾기 위해 태양계를 넘어 더
넓은
우주로 눈을 돌렸지요.태양계엔 스스로 빛을 내는 태양을 중심으로 8개의 행성이 돌고 있죠?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우주공간을 ‘항성계’라고 불러요. 항성계 중심엔 태양과 같은 ‘항성’이 있지요.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