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로"(으)로 총 9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썰렁홈즈의 만우절 가짜 대소동어린이과학동아 l200807
- 한 번에 한 색깔씩 모두 두 가지 색깔이 보이게 되는데, 새로운 잉크는 잉크입자들이 세로로 서 있어 보는 각도에 따라 색깔이 서서히 옅어지거나 진해진다. 이 잉크는 예전 것보다 훨씬 어렵고 복잡한 기술이라고 한다. 흠~, 혹시 새로 나올 십만 원권 지폐에 이 기술이 사용될 수도 있지 않을까 ... ...
- 생물 다양성의 감소과학동아 l200806
- 분리시킨다조선 숙종 때 만든 대리석 천문도(天文圖) 를 복각(複刻)한 각석 보물 제837호 세로 2065cm, 가로 1085cm, 두께 30cm 조선 태조 4년(1395)에 만든 석초천문도(石鐎天文圖)가 세월이 흐르는 동안 마멸되자 숙종 13년(1687)에 복각한 것이다 복강 내의 장기를 직접 관찰하기 위해 개발된 내시경 검사법 19 ... ...
-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과학동아 l200806
- ‘광시야 모자이크 사진’에 있다. 200mm 망원렌즈로 카시오페아 자리를 28부분(가로 4줄, 세로 7줄)으로 나눠 찍은 뒤 모자이크 합성사진을 만들어보자.사진 크기는 35mm 렌즈로 찍은 한 장의 사진과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왜곡도 적고 별들이 빼곡이 들어찬 사진이 탄생한다. 필름 카메라로는 꿈도 못 꿀 ... ...
- 공포의 신 '포보스' 얼굴을 드러내다과학동아 l200805
- 가 3월 23일 찍은 위성 포보스의 고해상도 사진을 공개했다. 해상도가 6.8m급(표면의 가로세로 6.8m 지점을 점 하나로 인식하는 정도)으로 지금까지 공개된 사진 가운데 최고의 해상도다.포보스는 데이모스와 함께 화성의 두 위성 가운데 하나이며 지름이 10~14km인 작은 위성으로 중력이 지구의 1000분의 ... ...
- “아찔~!”지구로 다가온 소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0804
-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하더군요. 사진에서는 작은 점처럼 보이지만, 저는 가로 610m, 세로 150m로 길쭉한 형태로 꽤 크답니다.달보다 멀게 지나갔다니 다행이네요. 그런데 소행성이란 게 정확히 뭔가요? 혜성과 같은 건가요?소행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해서 돌고 있는 작은 천체를 말해요. 지구 같은 ... ...
- 얼음호수에서 생명체 찾기과학동아 l200803
- 성공 확률은 더 높아진다.캐나다 토론토대 매슈 웰스 교수팀은 보스토크 호수를 가로세로 30cm, 높이 1m로 축소한 모형을 제작한 뒤 물의 순환을 관찰했다. 호수 속 생명체의 먹이가 되는 영양성분이 물의 흐름을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분석하기 위해서였다. 보통의 호수라면 호수와 이어진 강줄기나 ... ...
- 지웠다 쓰는 홀로그래피 나왔다과학동아 l200803
- 현상이다.연구자들은 아닐린계 플라스틱에 스티렌계 색소를 섞은 고분자를 합성해 가로세로 10cm, 두께 100μm(마이크로미터, 1μ m=${10}^{-6}$m)의 필름으로 만들었다. 여기에 물체를 투과해 산란을 일으킨 빛과 녹색레이저를 함께 쏴 간섭을 일으킨 영상을 저장했다. 이 과정에서 고분자의 색소가 ... ...
-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과학동아 l200803
- 2000년 일본 동경대의 노조무 하치스카 교수가 개발한 인체통신 송수신장치는 크기가 가로세로 각각 5cm에 불과했다. 하지만 데이터 전송률은 여전히 100kbps 정도로 낮았으며 통신 거리도 몸 전체를 포함하지 못했다.하지만 2003년 일본의 통신회사인 NTT는 *전광(electro-optic)현상을 이용해 크기와 속도 두 ... ...
- 폭설과 혹한에서 전원 살아 귀환하라!과학동아 l200803
- 빨리 나오라고 재촉했다. 고 씨와 팀을 이룬 이들은 러시아 우주인 노비츠키 올레크와 세로바 옐레나. 지난해 가가린 우주센터에 입교한 새내기 우주인이다.소유즈 우주선은 지구로 귀환할 때 낙하산에 매달려 러시아 초원지대에 착륙한다. 그러면 미리 대기하고 있던 구조대 헬리콥터가 ... ...
- 한반도 수호천사 COMS과학동아 l200802
- 탑재될 광학카메라(가시광선 센서)의 해상도가 500×500m 수준이니 관측 영역을 가로, 세로 5000개의 격자로 나눠 정밀하게 살필 수 있는 셈이다.정지궤도위성은 지금까지 주로 통신 목적으로 사용됐지만 COMS의 경우 한반도 주변 바다를 집중적으로 관측하기에 안성맞춤이다. 6시간 간격으로 바뀌는 ... ...
이전464748495051525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