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정
가구
가족
성대
세기
시대
일대
뉴스
"
세대
"(으)로 총 5,526건 검색되었습니다.
원하는 빛만 흡수하는 광소자 개발
2015.03.22
나노선은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크고 독특한 전기적·광학적 특성을 갖고 있어 차
세대
반도체용 광소자로 주로 활용된다. 반도체 나노선의 물리적 특성은 두께에 좌우되지만, 나노선의 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하기는 매우 어려웠다. 연구팀은 물줄기가 작은 물방울로 변하는 현상을 나노선 ... ...
[미래를 듣는다 1] “낙후된 중소기업과 교육 살려야”
2015.03.22
조순 전 경제부총리는 20일 서울 관악구 행운동 자택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낙후된 중소기업과 교육, 정치를 살리지 않으면 저성장 시대에 닥친 위 ... 빼앗고, 젊은이들로 하여금 희망이 없다고 생각하게 만드는 건 따지고 보면 기성
세대
의 잘못입니다.” 대담=장경애 미디어본부장 ... ...
수천 번 접었다 펴도 끄떡없는 태양전지
2015.03.17
개념의 태양전지 개발이 가능하다”며 “복잡한 소자 제작공정도 단순화시킬 수 있어 차
세대
태양전지 상용화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 4일자에 게재됐다. ... ...
물 좋아하는 반도체 ‘흑린’의 환골탈태
2015.03.11
이주한, 이현욱 박사, 가천대 이영철 교수 - 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차
세대
신소재로 불리는 ‘흑린’의 취약점을 해결하는 데 성공했다. 이주한·이현욱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박사팀과 이영철 가천대 바이오나노학과 교수팀은 물에 약한 흑린의 성질을 보완하고 친환경 ... ...
‘도핑’은 나쁘기만 한 걸까요
2015.03.10
소자의 성능을 간단하게 제어하는 것은 물론 최적화하는 도핑기술을 개발했다”며 “차
세대
2차원 나노반도체 소자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 밝혔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ACS 나노’ 1월 28일자에 실렸다. OTS가 도핑된 WSe2 전자소자 모식도와 특성을 분석한 그래프. - 성균관대 ... ...
‘딱딱한 반도체’의 주범 절연막 부드러워졌다
2015.03.10
구현할 수 없었던 매우 높은 수준의 절연 성능을 나타낸다”며 “휘어지는 기기 등 차
세대
전자소자 기술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분야 학술지 ‘네이처 머티리얼스’ 10일자에 실렸다. ... ...
130인치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상용화 난제 해결
2015.03.10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판 생산에 필요한 증발증착기술을 개선했다고 10일 밝혔다. 차
세대
디스플레이로 불리는 OLED는 유기화합물을 자체 발광시키는 방식으로 현재 사용 중인 발광다이오드(LED)보다 자연광에 더 가깝다. 하지만 아직까지 유기물질을 패널기판에 입히는 증발증착공정 문제로 13 ... ...
[초대석] “세계 10大대학의 꿈, 8년 만에 달성 가능한 목표가 됐죠”
2015.03.09
년까지 글로벌 10대 대학이 될 수 있나. “모든 분야에서 1등 할 수는 없다. 난 첫해부터 차
세대
에너지와 첨단 신소재에 집중하겠다고 생각했다. 현재 2차전지 분야는 우리 학교가 MIT, 스탠퍼드대와 더불어 세계 3위권으로 평가받고 있다. 화학 신소재 분야도 세계 20위권에 든다. 나노바이오 연구도 ... ...
갤럭시s6 탁자에서 충전?… 앞으론 자동충전 세상온다
2015.03.05
SMFIR)’을 개발했다. KAIST는 한국철도연구원과 공동으로 지난해 시속 300km급 차
세대
고속열차에 이 기술을 적용해 테스트를 마쳤다. 조동호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가까운 미래에는 자기공명방식이 대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우주태양광발전에 전자기파방식 활용 수 십~수 백 km ... ...
차
세대
저전력 ‘스핀-오빗 메모리’ 개발
2015.03.03
만든 뒤 이 나노자석이 산화되는 정도를 조절해 구동전력을 절반 이하로 낮춘 차
세대
스핀-오빗 메모리를 제작했다. 이번에 개발한 스핀-오빗 메모리는 기존 메모리와는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해 1나노초(ns) 이하에서도 구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보저장용 메모리뿐 아니라 CPU의 주메모리 및 ... ...
이전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5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