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진"(으)로 총 5,319건 검색되었습니다.
- 판교의 아이큐아리움을 다녀와서... 고대 생물과 교감 해봤니?기사 l20140323
- 빛을 낼 수 있는 생명체들이 살고 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마지막 '미지의 바다'에서는 아쿠아킷에 올라오는 물고기를 만들어진 바다공간에서 찾아서 잡는 미션이 주어졌다. 우리가 알고있는 평면적인 물고기 모양을 위,아래,옆 모양을 상상하면서 잡아야되기 때문에 물고기의 모습하나하나에 집중하고 움직임에도 신경을 쓰면서 물고기와 교감을 하게 만들었다. ...
- 오늘 우연히 우리동네 길가를 걸어가다가 아주 특이한 것을 발견하였어요. 그것은 비닐이 아포스팅 l20140317
- 오늘 우연히 우리동네 길가를 걸어가다가 아주 특이한 것을 발견하였어요. 그것은 비닐이 아닌 버려진 현수막을 이용해 만든 쓰레기통이었어요. 참 기발한 아이디어죠? 작은 실천으로 환경을 지키는 분당구청이 자랑스러워요~ ...
- 과천 야생화 단지를 소개합니다. 야생화를 좋아하시나요?기사 l20140311
- 나뉘고, 습지식물, 초화류,경관식재,원추리 단지, 나리단지 등으로 나뉘어요. 비교적 푯말이 잘 세워져 있지만 자연안에 만들어진 자연 학습장 이다보니 식물도감을 꼭 챙겨가면 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어요. 푯말이 붙여져있는 야생화는 75종, 나무는 37종이지만 그외에 있는것들도 많아요. 하얀 민들레, 토종 민들레들도 발견할 수 있답니다. 올해는 ...
- 과천의 공기가 맑은지 어떻게 알까요? 국수나무를 바라보며기사 l20140311
- 흰색을 띠며 꽃잎과 엇갈리게 펼쳐져요. 암술은 1개, 수술은 10개여요. 열매는 유심히 보지 않으면 놓치기 쉬워요. 왜냐면 꽃이 떨어진곳에 그냥 갈색의 조그만 열매가 달려있어서 꽃이 시들어 붙어있는것 처럼 보이거든요. 8~9월에 씨방이 많고 잔털이 있는 지름 2~3㎜ 정도의 둥근 열매가 갈색으로 여문다. 다 익으면 열매껍질이 갈라져 한 씨방에서 ...
- 석고 깁스 속에 숨겨진 화학을 찾아서 발을 다쳐서 석고 깁스를 하고 그 원리를 알아보다.기사 l20140310
- 저는 며칠 전 집에 오는 길에 발목이 꺾여서 병원에서 다친 발에 깁스를 하게 되었습니다. 깁스를 해주시는 선생님께서 어떻게 하시나 관찰하였더니, 어떤 흰색 솜을 물에 적셔서 제 다리에 대었습니다. 다리에 닿는 느낌은 축축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딱딱하게 굳어졌습니다. 깁스가 된 발을 쳐다보면서 그 원리가 궁금해져 인터넷을 통해 조사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어려 ...
- 안녕하세요. 지구사랑탐사대 본부에서 활동하고 있는 어린이과학동아 박응서 기자입니다. 올탐사기록 l20140308
- 열심히 활동해 봐요.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앱은 친구들이 탐사활동을 한 사진과 동영상, 녹음파일을 업로드할 수 있어요. 만들어진지 오래되지 않아서 오류가 있을 수 있지만 잘못된 것은 계속 고칠 거니까, 앞으로 많이 이용해 주세요. 2기 탐사대원들이 앱을 설치할 때까지 앱 사용과 앞으로 활동에 대해서는 과학특별시 2014 지구사랑탐사대 ...
- 금성이 목성 보다 크게 보이는 건 뇌 시신경 교란 때문기사 l20140306
- 관측할 경우 “육안으로 보는 것과 반대로 금성이 작다”는 것은 500년 전에 밝혀진 정설의 과학입니다.목성은 금성보다 지구와 떨어진 거리가 훨씬 멀긴 하지만 워낙 커 태양계에서 지존과 같은 행성인 까닭입니다.이는 16세기에 이미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처음 발견했습니다. 갈릴레이는 이 같은 현상이 생기는 이유로 ‘금성이 목성보다 밝아 ...
- 목성 11배 크기 초거대 행성 발견!기사 l20140304
- 과의 거리가 무려 650AU 떨어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AU는 태양과 지구의 거리인 약 1억4960km를 일컫는 단위입니다. 이는 기존에 밝혀진 모항성과의 먼 거리에선 행성이 생길 수 없다는 우주 이론을 뒤집는 것이어서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이충헌 기자(lchrobot@daum.net ... ...
- 멋진 태양의 폭팔!! 2월 25~26일에 찍혀진 사진!!포스팅 l20140227
- 멋진 태양의 폭팔!! 2월 25~26일에 찍혀진 사진!! ...
- [출동~! 섭섭박사가 간다!] 뾰족뾰족 액체 자석어린이과학동아 l20140227
- 새 학기의 시작으로 새로운 친구를 만나서 신 난다고? 그래. 올해는 좋은 일만 가득할 거야. 친구들의 신 나는 기분을 꽉 붙들어 맬수 있게 섭섭박사가 자석을 준비했어. 우까꺄웅~! 철로 만들어진 물체에 자석을 대면 잘 달라붙고, 종이 같은 물질은 붙지 않는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고 있을 거야.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5호(2014년3월1일 ...
이전5055065075085095105115125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