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41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첫 달궤도선] 전문가들 "다누리 발사로 우주탐사 서막 열렸다"
2022.08.05
완화해달라고 요청했다.
미국
국가우주위원회의 시라크 파리크 사무총장은
미국
내 관계 기관들이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향후 관련 논의를 이어가자고 답한 바 있다. 김종암 교수는 “한미 공조와 같은 명분으로 ITAR 해제 또는 완화를 전략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ITAR에 묶여 있다 보면 국내 ... ...
[한국 첫 달궤도선] 다누리 이후 올해 전세계 달 탐사 잇따라
2022.08.05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탑재체 '프라임-1'을 보낼 예정이다.
미국
은 또 민간 우주 기업들을 육성하며 달 탐사 시장도 확대하고 있다.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의 하위 프로젝트인 상업용 달 탑재체 서비스(CLPS)를 운영해 달 탐사 미션을 제시하고 관련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다 ... ...
[속보] 한국 첫 달 궤도선 ‘탄도형 달 전이방식(BLT)’ 궤도 진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08.05
한국 최초 달 궤도선 '다누리(KPLO)' 가 5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미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됐다. 과기정통부 제공. ...
질병 치료 위해 이식한 장 미생물, 오래 살게 하는 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05
미생물들에 적응해 오랫동안 살아남도록 하는 게 그동안 과제였다. 아미르 자린파르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 의대 위장병학과 교수팀은 “수 주에 머물던 이식 미생물의 생존 기간을 약 4개월로 높이는 데 성공했다”며 관련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셀에 5일 공개했다. 연구팀은 ‘BSH’라는 ... ...
[한국 첫 달궤도선] 이종호 과기부 장관 “한국, 지구를 넘어 위대한 도약”
동아사이언스
l
2022.08.05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 40번 발사대에서 달을 향해 출발했다. 발사를 맡은
미국
의 민간 우주개발업체 스페이스X는 다누리가 실린 팰컨9 발사체를 하늘로 쏘아 올리는 모습을 유튜브로 생중계했다. 다누리는 발사 2분 40초 이후 1·2단 분리, 3분 13초 이후 페어링 분리가 ... ...
미국
, 원숭이두창 공중보건 비상사태 선포…과학자들은 연구에 적극 나서
동아사이언스
l
2022.08.05
초판을 신속하게 공유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달라고 촉구했다. 그레그 곤살베스
미국
예일대 공중보건학과 교수는 사이언스에 “대유행 초기상황을 기준으로 원숭이두창은 코로나19 보다 발병 정보가 훨씬 적다”며 “모든 데이터와 연구에 대한 개방적인 접근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
[속보] 다누리, 9시 40분경 첫 교신 성공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2.08.05
. 한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를 탑재한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이 8월 5일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미 우주군기지에서 발사됐다. 과기정통부 제공. ...
[한국 첫 달궤도선] 다누리가 156만km까지 돌아 가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2.08.05
이후 5차례 기동을 통해 목표 궤도인 100km까지 진입해야 한다. 항우연 제공 BLT는
미국
의 수학자이자 천체물리학자인 에드워드 벨브루노가 개발한 방법이다. 달의 공전속도와 비슷하게 천천히 접근해 달의 중력장에 포획되면서 저절로 달 공전궤도를 형성한다. 지구에서 아무리 높은 곳에 물체를 ... ...
[우주산업 리포트] 러시아 우주정책, '대결'에서 '협력·상업화'로 선회하나
2022.08.05
거쳐 디지털뉴스팀장을 지냈다. 한국기자협회 국제교류분과위원장을 지냈고 2021년
미국
우주 전문 매체 스페이스뉴스에 합류해 서울지국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
[과기원은 지금] KAIST, 학교 밖에서도 시스템반도체설계 실무 인력 양성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8.04
처리를 최적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AIST는 반도체 분야에서 지난 17년 동안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스탠퍼드대와 같은 세계적인 학교를 제치고 국제반도체회로학회(ISSCC)에서 대학 중 1위를 지켜 왔다고 4일 밝혔다. ISSCC는 1954년 설립된 반도체 집적회로 설계 분야 세계 최고 권위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