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다한 정보가 몸을 해친다 '정보피로증후군'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TV, 책, 잡지, 신문, 광고게시판, 그리고 인터넷. 홍수처럼 밀려드는 많은 양의 정보 때문에 머리가 혼란스러운 경험이 있을 것이다. 그런데 ‘정보과다’로 인해 정신적 ... 조화시켜야 한다. 아무리 하는 일이 재미있어도 건강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는 것이 심리
학자
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 ...
우산없는 비오는 날의 행동지침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그다지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영국에서의 연구결과를 뒤엎는 연구결과를 최근 미국
학자
들이 내놓았다.1995년 영국 레딩대학의 벨처박사팀은 비가 올 경우 얼마만큼 머리 위로 비가 떨어지는지를 연구했다. 물론 가만히 서있으면 비를 가장 많이 맞는다. 그러나 레딩대학연구팀은 3m/초(평균 ... ...
Ⅰ. 과학과 상상의 앙상블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X선의 비밀블랙홀은 빛이 빠져 나오지 못하기 때문에 직접 볼 수 없다. 그런데 과
학자
들은 어떻게 블랙홀이 있는 곳을 알아낼 수 있을까. 그 비법은 X선 관측에 있다.우주에는 두별이 중력적으로 이어져 서로 공전하는 쌍성이 많다. 우리은하만 하더라도 절반 정도가 쌍성이다. 만약 두별 중 하나가 ... ...
사람같은 컴퓨터 HAL의 탄생기념축제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비유하고 있다.3001년의 지구 모습인공지능의 구현에 회의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학자
들은 혹 1세기 내에 할과 같은 컴퓨터가 등장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정도는 인정한다. 하지만 이들은 이른바 ‘강인공지능론자’들에게 “기계가 사람보다 모든 면에서 뛰어날 필요가 있는가”라는 근본적 ... ...
Ⅱ. 블랙홀 과학사 : 1. 파란만장한 블랙홀 자서전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천문학계 최대 수수께끼의 하나였던 퀘이사의 정체가 해결될 수 없었다.영국의 천체물리
학자
인 호킹이 옳다면 태초에 태어난 조그만 원시 블랙홀도 우주에는 많이 돌아다녀야 한다. 이들 중에는 현미경으로 봐도 안 보이는 작은 것들도 있다. 따라서 이제는 “과연 블랙홀은 있는가”라고 질문할 ... ...
Ⅱ. 블랙홀 과학사 : 2. 허블우주망원경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분석해 조언하지는 않는다. 그런 점에서 '스타트렉의 물리학'은 매우 귀한 책이다. 천문
학자
크리우스는 SF에서 나오는 시간여행을 분석함으로써, 우선 과학적 요소와 비과학적 요소를 구별해 주었다. 우주선이 빛의 속도에 도달하려면 두달 보름이 걸린다. 또 빛의 속도로 날아가는 우주선이 ... ...
오른손이 하는일 왼손도 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있어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올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영국 사우스 햄프턴대학의 인류
학자
인 제임스 스틸 교수는 최근 발표한 논문에서 오른손 사용을 강요하는 문화적 압력이 심해진 것은 근대 산업사회의 등장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고 주장했다. 대량으로 상품을 생산해내는 공장 체제에서 ... ...
뉴턴의 3가지 운동법칙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힘을 계속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와 달리 이탈리아 피사에서 태어난 물리
학자
갈릴레이(1564-1642)는 “물체는 스스로 운동을 계속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힘이 작용하지 않으면 일정한 빠르기로 한 방향으로만 계속 진행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 그는 “운동 방향이나 빠르기를 ... ...
1. 1993년부터 인간복제 시작됐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만들어낸 것이다.체세포 핵치환법은 1952년 개구리를 대상으로 처음 시도됐다. 당시 과
학자
들은 올챙이 내부장기의 내층으로부터 핵을 추출한 뒤 핵이 파괴된 난자에 이식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올챙이들은 발생 초기단계에서 죽었으며 죽지 않은 것들도 모두 비정상적인 형태를 가졌거나 ... ...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것이다’ 등 10여편의 영화가 방영되고 있다. 영화관 복도에는 우주 개발사와 세계 천문
학자
들의 업적이 전시돼 있다. 상설전시관처럼 주로 ‘보는 것’에 의존하지 않고 ‘직접 만져보고 머리를 쓰는’ 곳이 있다. 상설전시관 옆에 위치한 탐구관이다. 한마디로 전시품을 직접 조작하고 작동시켜 ... ...
이전
504
505
506
507
508
509
510
511
5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