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요"(으)로 총 13,7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단백질 결정을 만드는 데 성공했으며, 컴퓨터가 발전하면서 단백질 구조를 해석하는 데 필요한 3요소가 모두 갖추어졌다. 이제 단백질을 결정으로 만드는 일만 남았다. 섬너의 업적을 그냥 넘어가면 서운할 테니 덧붙이면, 1930년 소화효소인 펩신을 결정으로 만든 존 노스롭과 1935년 바이러스를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대칭성이니까, 입자가 질량을 갖게 하려면 게이지 대칭성을 어떤 형태로든 깨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이 바로 힉스 메커니즘이다.게이지 대칭성을 깨는 새로운 바닥상태(에너지가 가장 낮은 상태)를 중심으로 다시 물리를 기술하게 되면, 힉스 입자 상태의 원형이라고 할 수 있는 힉스 장(field)의 ...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짓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한마디로 전기요금을 인상하고 에너지를 덜 쓰게 하는 정책이 필요합니다.”과연 내가 오늘 내야 할 전기요금을 올릴 것인가, 아니면 싼 전기를 쓰는 대신 누군가를 암에 대한 공포로 떨게 만들 것인가. 고압송전탑은 우리에게 이런 질문을 던지고 있다 ... ...
- 아무거나 중독이라 말하지 말라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보이는 사람들은 그저 ‘할 게 없어서’일 수도 있다”고 말한다.게임 중독 환자들에게 필요한 것은 치료가 아니라 게임을 대신해 ‘할 것’을 만들어주는 일인 셈이다.“1920년대 라디오가 처음 나왔을 때, 사람들은 그 기계가 뭔지 몰라 당황했습니다. 60년대 TV가 보급됐을 때 부모들은 아이들이 ... ...
- 수학을 잘 하면 돈이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밝혀진 김에 다 밝히자면 또 집착하는 게 있어요. 돈! 지구를 제대로 정복하려면 돈이 필요하거든요. 어차피 세상은 다 돈이야, 흥. 그런데 요즘 듣자하니 컴퓨터와 머리만 있으면 돈을 펑펑 만들어 낼 수 있다지 뭐예요.‘비트코인’이라는 화폐가 온라인에서 아주 인기라던데…. 하지만 잘 모르고 ... ...
- 기자가 필요 없는 세상이 온다? 미래는 알고리즘 시대수학동아 l2014년 01호
- 기술 덕분이지요."운전자가 필요 없는 무인자동차 시대정보 기술의 발달로 운전자가 필요 없는 무인자동차의 시대가 열리고 있다. 무인자동차란, 사람이 운전대를 잡지 않아도 스스로 도로와 주행 환경을 인식하고 목표 지점까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는 자동차를 말한다. 운전자가 컴퓨터로 ... ...
- [퍼즐 해결사] 퍼즐 해결사가 되기 위한 첫 관문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다가온다.“당신이 윤소마?”“네, 맞아요. 그런데 누구시죠?”“내가 누구인지는 알 필요 없고, 나를 따라 오시오.”어리둥절한 소마는 곰 인형을 따라갔다. 곰 인형이 소마를 데리고 간 곳은 거울의 방 입구. 입구 앞에 선 곰 인형은 소마에게 한 장의 봉투를건네 주었다.“이게 뭐죠?”봉투를 열자 ... ...
- [Life & Tech] 중요한 결정은 오전에 하자!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해서 의지력을 소모시키면, 그 뒤 감정 조절에 실패하거나 과소비를 하고, 끈기가 필요한 지겨운 과제를 빨리 포기하는 등 의지력이 고갈된 듯한 모습을 보이게 된다. 마구 달리고 난 뒤 연료가 바닥난 자동차가 다시 달리지 못하듯 의지력도 한번 사용하고 나면 방전이라도 된 것처럼 잠시 멈추게 ... ...
- 콜록콜록, 작지만 무시무시한 미세먼지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4호
- 위험하기 때문에 우리도 어서 초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관리하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해요.집 안으로 도망가자!밖에 미세먼지가 너무 많아서 집 안으로 도망가야겠다고? 크크. 과연 도망칠 수 있을까? 집 안에도 이미 미세먼지들이 많이 살고 있거든~! 밖에서 놀던 미세먼지들이 들어온 ... ...
- 무한도전 & 무한변신 미래 디스플레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2호
- 화소도 16배 더 많아져야 하는 것처럼 바뀔 게 많아 보편화될 때까지 많은 기술이 필요하답니다.초고선명 TV를 말할 때 4K나 8K라는 용어가 등장하는데, 화면을 구성하는 점이 가로로 4000개 또는 8000개나 된다는 걸 의미해요. 정확하게는 3840개, 7680개로 조금 적지만 근사값을 이용해 이렇게 ... ...
이전5045055065075085095105115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