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인류최후 에너지 핵융합과학동아 l2014년 12호
- 한 천문학자는 우리를 ‘초신성의 후예’라고 불렀다. 초신성이 폭발하면서 남긴 물질이 지상 모든 생명체를 이뤘다는 뜻에서다. 하지만 어디 물질만 그럴까. 우리가 쓰는 에너지 치고 별빛과 태양빛에서 오지 않은 게 없다. 우리는 초신성의 후예일 뿐 아니라 별과 태양의 자손이기도 하다. 최근 ...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0.03g 연료로 한반도 끝까지 간다태양에서는 무수하게 많은 수소 핵융합 반응이 일어난다. 이런 수소 핵융합은 별에서나 가능한 초고온, 초고밀도 환경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지구에서 구현하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와 삼중수소로 눈을 돌려보면 사정이 달라진다. 이들은 ... ...
- [knowledge] 휘청~한 이순신대교 과연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바람은 바다 위 다리를 위협하는 가장 큰 원인이다. ‘테이교 참사’는 강풍에 다리가 무너진 대표적인 사건이다. 1879년 12월 28일 저녁 영국 스코틀랜드 던디 시에는 초속 30m에 가까운 매서운 바람이 몰아쳤다. 지은 지 1년이 지난 테이교 위를 기차가 지나가던 순간 붕괴가 일어났다. 당시 기차에 탄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2014년의 마지막 달이다. 올해를 뒤흔든 과학뉴스에 운석을 빼면 섭섭하다. 우리나라에 71년 만에 운석이 떨어지면서 갑자기 ‘슈퍼스타’가 됐다. 하지만 ‘로또 운석’ 논란 속에 진짜 과학은 묻히고 말았다. 그래서 올해가 다 가기 전에 불러 모았다. 자신들의 진정한 가치를 몰라 섭섭하다는, ‘ ... ...
- [career] “3D 프린터로 하늘 나는 새를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12호
- ▶ 21세기 논리학 컴퓨팅적 사고를 키운다Q 컴퓨터 공학은 어떤 학문인가요?A 100년 전 사람들은 논리학을 통해 생각했다면 현대인들에게는 컴퓨팅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가 그 역할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컴퓨팅적 사고란 우리가 풀기 어려운 아주 복잡한 문제를 컴퓨터가 생각할 수 있는 형태로 ...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회사 상사에 대한 분노다. 상사의 지시로 10년 간 적외선, 적색 LED를 연구했지만 성과가 없었다. 회사에서는 쓸모 없는 인재로 찍혔고, 모든 책임이 내게 돌아왔다. 결국 회사 창업자와 담판을 통해 미국 플로리다주립대로 연수를 갔고, 여기서 파란색 LED를 만드는 데 중요한 질화갈륨에 대해 배울 수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한창 잘 나가다가 연구가 벽에 꽉 막힌 상황이었어요. 절벽 위에 서 있다는 느낌이 들었죠. 완전히 새로운 걸 해야겠다 싶어서 도전한 게 제올라이트로 메조다공성 물질을 만든 연구였어요. ‘사이언스’지에서 2011년 10대 성과로도 꼽혔는데 그걸 연구하다 정작 교수평가에서는 D를 받았죠. 어려 ...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교수님. 죄송합니다. 제가 마지막 질문을 잊어버렸네요. 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이럴 때를 대비해 메모를 해놨거든요. 금방 찾을 거예요. 음…, 그런데 못 찾겠네요. 죄송합니다. 그러니까, 음….”인류의 지능지수가 정말 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와 전화 인터뷰를 하던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화성에서 온 물리학자, 금성에서 온 생물학자. 이 둘을 하나로 엮어주는 것이 있다. 생명의 물질은 모두 원자로 돼 있고, 원자는 양자역학으로 기술된다. 양자역학의 기이한 특성을 이용해 살아가는 생명체가 있을까? 양자과학의 최전선, 양자생물학이다. 우리는 유기체 내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 ...
- [생활] 정체를 감추고 있는, x수학동아 l2014년 11호
- , X-레이, X파일, X맨의 X에는 공통적인 뜻이 담겨 있다. 바로 정체를 알지 못한다는 의미다. 그런데 이런 X의 뜻은 수학에서 x가 미지수를 가리키는 기호로 쓰이는 데서 유래했다. x와 함수 f(x)의 유래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미지수, 현대 사회의 필수품종양의 크기를 줄이려 ... ...
이전5035045055065075085095105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