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d라이브러리
"
지금
"(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을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드는 겁니다. 시간을 두고 지켜보다가 멀쩡한(?) 책이라는 걸 확인한 뒤에야 읽어보지요.
지금
까지 살아오면서 접한 괴이한 이론의 진원지가 일본이었던 경험을 많이 했기 때문입니다.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가까워서일까요, 일본의 사이비 이론은 우리나라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 ...
수술실에서 死神을 쫓아내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서울대병원 의학역사문화원과 ‘수술의 비밀’ 3회 시리즈를 연재합니다. 수술이
지금
처럼 의학의 꽃으로 거듭난 과정과 의학사 이야기를 재미있게 소개합니다.최은경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인문의학으로 박사를 받은 뒤 현재 서울대병원 의학역사 문화원 연구교수로 있다 ... ...
Part 1. 8월 바이러스 대습격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바탕으로 사망률을 6%선으로 추정했다. 우리나라에서는 첫 환자가 발생한 2012년 이후
지금
까지 15명의 감염환자가 발생하고 이 중 8명이 사망했다(7월 10일 자정 기준).작은소참진드기는 1~2mm크기의 진드기로 전국에 고르게 분포한다. 하지만 이 중 SFTS 바이러스를 보균한 진드기는 0.5%이하로 파악됐다. ... ...
Epilogue. 인류는 바이러스로 멸망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정 교수가 덧붙였다.“바이러스는 숙주와 그냥 그렇게 함께 지내는 친구(親舊)입니다.
지금
까지 줄곧 그래 왔듯이요.”정재웅2004년 한인 최초 하버드대 종신교수2006년 포항공대 생명과학과 외래교수2007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케크의과대 교수2007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 분자생물학 및 ... ...
마찰력은 제로, 속도는 무한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물폭탄 맞으며 즐기는 롤러코스터 비밀은 ‘노즐’
지금
까지 워터파크 시설은 중력만 이용하는 것이 많았다. 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전기를 이용하는 일반 놀이기구와 달리 제약이 많기 때문이다. 화이트워터코리아 홍영기 대표는 “이용객들이 더 아찔한 놀이시설을 ... ...
빠수니 탈출 백서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오빠부대’를 시작으로 1990년대의 서태지와 2000년대 초반 1세대 아이돌을 거쳐
지금
에 이르렀다. 그동안 갈아치운 재미난 기록도 있다. 기네스북은 2007년에 엘비스 프레슬리의 팬클럽을 세계에서 가장 회원이 많은 팬클럽(50만 명)으로 선정했지만 그 기록은 단 1년 만에 동방신기(80만 명)➓가 ... ...
환경학 - 대기오염으로 1년에 210만 명 죽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사망률이 가장 높은 곳은 인구가 밀집돼 있고 대기오염이 심각한 동아시아와 인도였다.
지금
까지 과학자들은 기후 변화로 인한 대기오염 악화로 사망률이 높아 졌다고 생각했다. 예를 들어, 온도와 습도가 높아지면 오염물질이 더 쉽게 생성될 뿐 아니라 오랫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 ...
기생충은 억울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년이 지났지만 추가 증세가 없는 것으로 봐서, 다행히 기생충에 걸린 것은 아닌 것 같다.
지금
생각하면 웃기다. 취재에 동행한 교수와 연구원 다섯 명 중 세 명이 기생충학자였다.기생충에 잘 걸릴 만한 환경을 세상 누구보다 잘 아는 분들이었다. 더구나 매년 몇 번씩이나 탄자니아를 방문해 지리도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이런 연구 결과가 하나씩 나올 때마다 학계에서 술렁대던 그 긴장감을 잊을 수 없습니다.
지금
뒤돌아보면, ‘세포의 에너지 공장’인미토콘드리아가 중립이라고 생각했다는 점이 우스꽝스럽지만, 당시에는 중립설이 그만큼 막강했습니다.인류의 기원 수수께끼는 제2라운드로이제 미토콘드리아 ... ...
[life & Tech] 여름 햇살 뒤흔드는 매미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물리학과 환경학을 공부하고 매미소음문제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2년부터
지금
까지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산 매미소리 도감’ 제작에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 ...
이전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