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수 있을까가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별도 훈련 없이도 장비만 동물의 몸에 부착해
바로
조종하는 시스템을 고안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안경 쓴 물고기를 조종해 해저를 보다연구팀의 최종 목표는 물고기를 원하는 대로 조종하는 것이다. 물고기 조종을 하기 위해 먼저 거북으로 실험하고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측두엽이 여기에 속하기 때문이다.뇌에서 언어를 담당하는 대표적인 영역 역시
바로
디폴트 네트워크에 포함돼 있다. 즉 언어를 담당하는 브로카 영역은 좌뇌 전전두엽에 속하고 베르니카 영역은 좌뇌 측두엽과 두정엽이 만나는 자리에 놓여있다. 그런데 언어는 상당히 추상적인 의사소통 수단이다. ... ...
태양전지 옷 갈아 입혀 파워 업!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미국 UC 버클리 앨런 히거 교수와 공동 연구를 하고 있는 ‘유기물 태양전지’가
바로
3세대 태양전지다. 발전 효율이 4% 정도로 1세대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낮지만 에너지 생산 단가가 매우 싸다. 전기 1W를 만드는데 드는 비용이 0.1달러 수준으로, 1W당 1달러인 화석연료의 10분의 1이다. 뿐만 아니라 ... ...
꿈과 맞는 진로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뱅크가 될 수 있다는 말이지. 메모가 힘이야. 수업을 들을 때도 아이디어가 떠오르면
바로
적어두렴.”꿈이 선생님이기 때문에 지금부터 ‘교사일기’를 쓰는 것도 좋다. 학교에서 일어난 일, 교육 이슈, 학교 선생님께 배울 점 혹은 아쉬웠던 점을 기록하는 것이다. 좋은 교사가 되는 첫걸음이다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자라기 위해서는 블랙홀을 향하여 물질이 꾸준히 떨어져야 한다. 그러나 블랙홀
바로
옆이 아니면 아무리 블랙홀이라고 한들 혼자만의 힘으로는 주변의 물질을 자기에게 끌어들일 수가 없다. 따라서 블랙홀 주변으로 물질이 몰릴 수 있게 하는 어떤 외부적인 원인이 있어야 하는데 유력한 것이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이 방법으로도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문제는 우주 탄생과 관련한 중력파가
바로
이런 낮은 주파수대라는 사실이다. 때문에 미국은 검출기를 아예 우주로 보내거나, 거울 대신 자유낙하하는 원자를 이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현재 라이고는 운영을 중단한 채 민감도를 10배 ... ...
편견에서 벗어나고픈 13의 매력 발산!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코스 13과 31을 제곱하면? 제곱수의 역관계13과 그 제곱수 13²=169는 재미있는 성질이 있다.
바로
13의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를 반대로 적은 숫자 31의 제곱수 31²=961이 13의 제곱수 169를 반대로 적은 숫자와 같다는 것이다. 두 자리 자연수 중에서 이처럼 각 자릿수를 반대로 하면 제곱한 숫자도 반대가 ... ...
[정보] 돌고 도는 정다면체 순환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성질을 꼭 닮은 입체도형이 있다. 수학자들이 완전한 다면체이라 부르는 ‘정다면체’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서로를 품는 따뜻한 입체도형정다면체는 각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각형으로, 각 꼭짓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같은 볼록한 다면체를 말한다. 이러한 정다면체는 어느 방향에서 살펴봐도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마이크로플라스틱의 습격미세먼지보다는 크지만 바다를 오염시키는 작은 것들이 있어.
바로
마이크로플라스틱이야. 최근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학교의 생태학자인 마크 브라운 박사팀은 영국, 호주 연구진과 공동으로 많은 마이크로플라스틱이 바다로 흘러간다는 논문을 발표했어 ... ...
[news focus] 포스텍 수학과 김민형 교수, ‘호암상’ 수상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더 나아가 유리수의 해를 찾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 때 김 교수가 생각한 아이디어는
바로
위상수학의 개념이다. 김 교수가 제시한 이론은 산술 기하문제에 전혀 관계없어 보이는 위상수학을 도입해 매우 독창적이고 혁명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김 교수는 2011년 영국의 옥스퍼드대 수학과에서 ... ...
이전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5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