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2. 새우주 복병-자기폭풍 통신교란 위험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성분이 매우 다르기 때문에 그 근원이 지구 대기인 것으로 생각되며, 자기권 내의 다른
지역
보다 극히 낮은 온도를 가지고 있다. 지표면에서 가장 가까운 전리층은 지상 1백㎞ 정도에 위치하며 그 존재는 1900년대 초부터 알려졌다. 단파 등을 이용한 원거리 통신에 유요한 매체로 사용돼 왔다 ... ...
1. 두개골 비슷, 첫 발견때부터 파충류 분류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살기에는 부적합했을 것이다.또한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에서 발굴된 공룡의 경우도 그
지역
이 백악기에는 오늘날보다 위도가 최소 35-40도 남쪽에 위치하여 상당히 추웠을 것이므로 공룡의 생활습성에 관한 여러가지 추측을 낳고 있다. 극지에 생존했던 공룡은 동면을 했거나 따뜻한 곳으로 ... ...
"자연과 인간 함께 사는 방법을 배웠다"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그리고 효과적인 탐사를 위해서 미리 오리엔테이션을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이번 탐사
지역
은 어느 새가 많으니까, 무슨 새는 여기서만 볼 수 있으니까 유의해서 미리 공부하라든가, 또 쌍안경과 망원렌즈는 어느 규격품을 사라든가 등을 오리엔테이션 시간에 알려주면 실속있는 탐사가 될 것입니다 ... ...
특수공법건축 지진 이겨낸다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확보하는 면진 기술(免震技術)도 실용화되고 있다(그림1).내진설계의 중요성은 지진 피해
지역
에서 명확히 드러나고 있다. 일본 효고현 남부대지진에서도 내진설계가 잘된 최근에 지어진 건물들은 큰 피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3년 있었던 괌섬의 규모 8.2의 대지진시에도 내진설계가 잘된 ... ...
음식물 쓰레기 처리의 과학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혼입으로 인한 가축피해 우려 등으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대도시
지역
에서는 운반상의 문제가 음식물 찌꺼기의 사료화에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사료의 상당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입장에서 사료화는 매우 바람직한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 분야다.음식물 ... ...
2만년전 원시숨결 '쇼베동굴예술'의 신비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당시 이
지역
에서 살고 자라던 종들에 대한 좋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당시 이
지역
의 환경은 춥고 불모에 가까웠을 것"이라는 게 리고드의 추측이다. 마치 북러시아의 추운 스텝기후처럼.이렇게 꽁꽁 숨어 있던 동굴이 어떻게 발견될 수 있었을까. 동굴발견자 쇼베는 두 동료와 함께 협곡을 ... ...
미의학계, 신종 바이러스 추적 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나타내고 있었다.이에 대해 CDC 한탄바이러스대책반의 책임자는 1993년 1월까지 4주경계
지역
에서 보고된 한탄바이러스 폐렴이라 여겨지는 증상 중 한탄바이러스와 관련된 것은 25%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다. 검사결과가 바이러스 음성인 경우 대부분이 세균성 폐렴이나 그밖의 호흡기계 장애라고 ... ...
지진징후 5가지 현상
과학동아
l
1995년 03호
이러한 주요 구조물에 내진설계 규정의 법적 강화가 전혀 없는 상태다.따라서 서울
지역
에 홍성지진이나 황해지진과 같은 규모의 지진이 발생한다면 그 피해는 엄청날 것이다. 이 문제를 우리 세대에 해결하지 않으면 우리는 후손에게 무서운 지진공포를 넘겨주게 된다.지진대비책으로는 다음 ... ...
심해저 열수
지역
, 희귀생물의 보고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있기 때문에 '태양을 먹는 생물'이라 불린다. 70년대 후반 이후 심해의 열수(熱水) 분출
지역
에서 발견된 생물군집은 지각이 벌어진 틈에서 뿜어져나오는 메탄황화수소 등을 에너지 원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지구를 먹는 생물'이라 불린다.지금까지 생물이 없다고 생각되던 심해저에는 사실은 다양한 ... ...
화석생물-신비의 삶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중국의 한 절에서 수 천년 전부터 재배되고 번석됨으로써 우리나라와 일본 등 아시아
지역
으로 확산됐다. 그리고 18세기 초에는 유럽으로, 20세기에 들어와서는 북아메리카까지 전파돼 지금은 세계 곳곳에서 자라는 대표적 식물이 됐다.생물의 역사를 추적해 보면 긴 지질 시대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 ...
이전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