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통
총체
보편
전반
일반담보
담보
일반심리학
d라이브러리
"
일반
"(으)로 총 7,844건 검색되었습니다.
클린턴 '인간게놈 무상공개' 발언의 의미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성과물에 대한 소유권을 둘러싸고 미국 정부와 기업의 입장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지난 3월 15일 미국 클린턴 대통령과 ... 설계도가 일부 선진국에 의해 독점된다면, 인간게놈프로젝트로부터 파생되는 혜택이
일반
인에게 골고루 전달되기 어려울 것이기 때문이다 ... ...
즐기면서 배우는 과학축전 올 가이드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전시 이벤트도 '과학의 달'을 맞아 새롭게 선보인다.과학동아에서는 학생뿐 아니라
일반
인도 참여할 수 있는 행사를 몇가지 주제로 나눠 소개한다.여기에서 소개되지 않은 행사를 알려면 한국과학문화재단 4월 과학의 달 전용 홈페이지(www.science.or.kr/science4m.html)의 과학문화행사캘린더를 방문하면 ... ...
선과 악을 넘나드는 두 얼굴의 산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홀로 전자 오비탈을 차지하고 있는 전자를 가진 원자나 분자를 라디칼이라고 부른다.
일반
적으로 라디칼은 반응성이 매우 커서 다른 원자나 분자와 쉽게 반응한다. 세포에서 만들어지는 초과산화물도 짝짓지 않은 1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는 라디칼의 일종이다. 그런데 몸 속에서 만들어지는 ... ...
추진력과 성실성 갖춘 로봇축구의 대부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짜여져서, 하는 사람도 재미있고 보는 사람도 신나는 로봇 경기가 없을까하고 고민했다.
일반
인에게는 오락성을 제공하고 개발자에게는 끊임없이 첨단기술을 연구하게 만드는 경기가 필요했다. 때마침 그는 다개체시스템을 연구중이었다. 로봇들이 어떻게 소프트웨어적으로 협동심을 발휘해 ... ...
움직이는 M인터넷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단말기는 화면을 표시하는 창이 작아 표현할 수 있는 정보량에 한계가 있다. 그래서
일반
PC에서 볼 수 있는 웹 화면과는 다른 형태의 화면을 개발해야 한다. 화면이 작은 탓도 있지만 유선보다는 무선 이용 요금이 더 비싼 탓에 데이터 크기를 줄여야 한다는 점도 필수 요소다.그렇다면 왜 통신 ... ...
하드디스크 용량 수백배 증가시키는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아끼지 않았다. 조만간 나노입자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술이 실현될 예정이므로, 현재
일반
인이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것보다 수백배 많은 용량의 자료를 담을 날이 멀지 않았다 ... ...
한국은 복제동물 최강국?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작년말 복제소 새빛을 출산시킨 축산기술연구소의 장원경박사는 “복제된 소가
일반
적인 쌍둥이 소와 다를 바가 없다”고 말하고 “유전형질을 변화시킨 경우가 아니므로 먹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설명한다. 어미의 체세포 하나를 떼내 만들었을 뿐 외래 유전자를 넣은 것이 아니기 ... ...
전세계 정보감시망 에셜론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부인했다. 그러나 NSA 활동을 감독하는 미하원 정보위원회의 포터 고스 위원장은 “NSA는
일반
인의 통화를 포함한 어떠한 전화통화도 감청할 수 있으며, 내 전화까지도 들을 수 있다”고 시인했다.심지어 이들은 자국의 감청을 상대국에 요청하는 방식으로 자국법을 교묘히 피해가면서까지 정보를 ... ...
인터넷 재앙 해킹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수 없도록 하는 수준으로
일반
사용자에게는 직접적인 피해가 없었다. 그럼 이번 사건을
일반
인들에게는 무관한 단지 전자상거래 업체들만의 문제로 봐야 할까? 그렇지 않다. 중요한 메일을 보기 위해 해당 사이트에 꼭 접근할 필요가 있었던 사람들에게는 피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즉 차가 막혀서 ... ...
인공생명체 탄생 임박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로봇형 DNA 생명체’가 탄생하는 셈이다.인공DNA 합성기술은 생명과학계를 넘어서
일반
사회에 커다란 파장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무엇보다 생명체를 실험실에서 합성시키는 일에 대한 윤리적 비판이 거세질 전망이다.간단한 조각을 만드는데 불과하던 인공DNA 합성기술은 이제 미생물 수준의 ... ...
이전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