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2. 중국과학기술대학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중국과기대 옆에 위치한 합비 하이테크플라자는 가장
성공
적인 중국과기대 산하의 산학협동 기업이다.설립 경위, 지방으로의 이전, 북경과 합비 두곳에 대학원 보유, 영재교육 특화 기관 등 여러 면에서 중국과학기술대는 우리나라의 한국과학기술원과 매우 비슷하다 ... ...
3. TV로 인터넷을 인터넷으로 TV를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개발 의욕을 불태우고 있는 가운데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삼성전자가 인터넷 TV의 개발에
성공
했다고 발표했다. 기존 29인치 TV에 33.6kbps 모뎀과 웹 브라우저를 장착해 인터넷은 물론 PC통신 서비스까지 TV화면으로 불러 볼 수 있는 이 제품은 TV기술을 중심으로 여기에 PC의 네트워킹 기능을 대폭 채용한 ... ...
3파전 평정한 가솔린 자동차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농장에 동력이 필요한 일이 점차 많아질 것으로 예견했던 것이다. 이 전략은 매우
성공
적이었다. 농민들은 전기 자동차의 깨끗함에 별로 관심을 갖지 않았다. 또한 가솔린 자동차 업계는 증기기관이 검은 매연으로 가득한 공장 지역에 적합한 것이어서 평온한 농촌의 이미지와 상반된다는 점을 자주 ... ...
환경에 예민한 해초의 번식전략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잠잠해지자 그들은 기다렸다는 듯이 배우자를 방출했고 정자와 난자는 거의 100% 결합에
성공
했다.그렇다면 그들은 어떻게 바다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을까. 피어슨 박사는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해석했다. “물이 잠잠해지면 광합성에 꼭 필요한 이산화탄소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다. 이렇게 되면 ... ...
타이태닉호 침몰 그 이후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당대 최고의 우주선이었다.사고 이후 나사(미국 항공우주국)는 이전에 행해진 24번의
성공
에 고무돼 교사출신인 맥컬리프를 비롯한 챌린저호 승무원들을 우주로 내보내면서 마치 통근버스를 태우듯 했다는 비난을 받았다. 또 타이태닉호는 ‘절대 가라앉지 않는 배’ 별명으로 불렸다.타이태닉호의 ... ...
삐뚤어진 바퀴라야 바로 간다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달리는 전기자동차를 볼 수 있게 됐다. 최근 대우자동차는 전기자동차(DEV4)의 실용화에
성공
. 형식 승인 신청을 거쳐 내년부터 국내에 보급키로 결정했다.DEV4는 성능면에서 휘발유차에 근접하고 있다. 최고출력이 95마력이며 최고속도는 시속 1백20km다. 게다가 가속력은 정지 상태에서 1백km에 ... ...
우울증 일으키는 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있는 환자 세명의 혈액에서 우울증의 원인으로 추측되는 바이러스(BVD)를 분리하는데
성공
했다. 두명은 급성 우울증 환자였고 한명은 강박관념에 사로잡힌 정신질환자였다. 과학자들은 이 바이러스가 정신 장애를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고 판단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울증을 치료할 때 이 ... ...
교육용 공개 프로그램 세계수준 아직 낮아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된다.이 학습 홈소프트웨어는 빙고라는 재미있는 게임 방식을 도입해 흥미를 높이는데
성공
하였을 뿐 아니라 최대한 빨리 5개의 구멍을 만드는 과정에서 공간 감각과 유추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까지 제공하고 있다. 실제로 이 게임을 해보면 알겠지만 펭귄 페니는 구멍을 뚫을 곳이 없으면 거울을 ... ...
X파일과 인디펜던스 데이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공포가 우리의 잠재의식 속에 있는 것이다. ‘X파일’ 과 ‘인디펜던스 데이’ 의 상업적
성공
은 그것이 ‘집단공포’ 를 형성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그것은 대중 문화와 집단 무의식의 상호작용이다. 우리는 ‘세기의 불가사의’ 와 수많은 UFO 목격담에 익숙해 있지 않은가!‘X파일’ 과 ... ...
3. 자유로운 공간이동 가능하다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있다는 것만으로도 무시될 수 없는 중요한 연구 결과임에 틀림없다. 현재 이교수는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레인보 프로젝트 - 전자기망 덮자 사라진 군함 1943년 7월 20일 미국 필라델피아의 해군 기지에서 전자기장을 이용해 레이더망을 피하는 실험이 진행됐다. 전자기장을 ... ...
이전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