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지구궤도를 돌다가 무사히 지구로 돌아와 우주여행을 마치고 살아돌아온 최초의
생물
이 됐다.그런데 개를 정밀조사한 과학자들은 개가 지구궤도를 4번째 돌면서 발작을 일으켰음을 발견했다. 결국 첫 우주비행사의 우주여행 계획은 하루에서 한바퀴로 줄여야 했다. 또 이후의 시험발사는 러시아 ... ...
돌리의 생체시계는 몇 시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확인됐다”고 설명하고 “텔로미어와 같은 분자
생물
학적 수준의 연령을 곧바로 실제
생물
학적 나이로 연결시키는 것은 무리다”라고 주장한다.이한웅 박사 역시 비슷한 의견을 제시했다. 텔로미어의 길이와 노화가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길이의 변화가 반드시 몸 전체를 ... ...
인간을 빼닮은 컴퓨터 속의 생명체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가상인간이 등장하리란 것도 꿈처럼 들리지만은 않는다. 이 일이 실현된다면 항암제나 항
생물
질을 새로 개발했을 때 생체에서 어떻게 반응하는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안전하게’ 알 수 있다.김교수의 연구 계획은 작년 말부터 9년간 과학기술로부터 '창의적 연구진흥사업'으로 선정돼 국내 ... ...
온실효과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폭으로 변하는 기온변화 때문에 큰 고충을 겪을 것임은 불을 보듯 뻔하다. 지구에서
생물
들이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것은 지구를 이불처럼 덥고 있는 대기 때문이다.지구 대기의 99%는 질소(78.1%)와 산소(20.9%)로 이뤄져 있다. 그런데 극히 미미하게 있는 이산화탄소(0.035%), 메탄(0.0002%), 수증기(0 - 4%) ... ...
② 변신의 명수 바이러스 퇴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광견병 등이 있다. 머지 않은 시기에 소아마비도 근절될 것으로 기대된다.최근에는 분자
생물
학의 성과가 백신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항원을 만드는 유전자를 비병원성 바이러스의 유전자에 삽입시켜 백신을 만들 수 있다. 또 바이러스 유전자를 세포배양시스템을 통해 대량으로 ... ...
생명의 비밀 밝힌 로제타 스톤,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바꿨다. 생명의 본질을 양자역학으로 설명하려고 했던 슈뢰딩거의 저서는 당시
생물
학 연구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왓슨 역시 슈뢰딩거의 저서를 읽고 유전학을 연구하기로 결심했던 터라 두 사람은 쉽게 의기투합했다. 게다가 유전자는 DNA 안에 있을 거라는 크릭의 생각은 왓슨에게도 ... ...
살균과 소독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등을 이용해 식음료같은 액체를 살균하는 것. 이 중 고전압을 이용한 살균 방법은 미
생물
의 세포막을 파괴할 뿐 처리과정 중에 온도가 거의 상승하지 않고, 처리시간이 짧아 연속처리가 가능하다. 또 처리 후에 식품의 물리적, 화학적 그리고 영양학적 특성들이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 ...
다이옥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이처럼 적은 양으로 몸의 기능을 조절하는 물질이 있다. 호르몬이다. 호르몬이란
생물
의 성장, 생식, 행동을 비롯한 전반적인 생리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이다. 호르몬이 혈액을 타고 목표지점에 도착해 세포를 자극하면 몸에 필요한 생리작용이 시작된다.다이옥신은 바로 호르몬의 역할을 ... ...
3. 미래의 달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쉽지는 않다. 만약 물을 정제해낸다면 전기분해를 통해 로켓연료로 쓸 수 있는 수소와
생물
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산소를 얻을 수 있다.의외로 에너지 문제는 쉽게 풀릴 수도 있다. 대기를 통과하지 않는 강한 태양빛을 이용해 태양광발전소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핵융합발전소를 만들 수도 ... ...
① 신종 괴질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변화시켜 새로운 모양을 갖추어 출몰한다. 이 돌연변이율의 속도는 일반적인 미
생물
에 비해 무려 1백만배나 빠르다고 한다. 따라서 기존의 바이러스가 언제 새로운 모습으로 나타날지 예측하고 대응하기란 매우 어렵다.(사건 1)의 경우 병원체의 정체는 마버그(Marburg) 바이러스의 신종으로 알려졌다. ... ...
이전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