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뇌가 얼굴을 인식하는 과정은 좀 더 복잡하다. 지난해 말 영국 런던대 피아 로트시타인
박사
팀은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와 미국 배우 메릴린 먼로를 합성한 사진을 보여주면서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를 찍어 이 과정을 밝혀냈다.얼굴을 보는 순간 제일 먼저 시각정보를 처리하는 뇌 뒤쪽 ... ...
5000m 심해에 심은 한국의 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잘 분해하기 때문에 세제로 활용할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심해에서 보낸 5시간 동안 김
박사
는 시간 가는 줄 몰랐다고 한다. 잠수정이 좁아 탐사 내내 요가하는 자세로 있어야 했다. 다리에 쥐가 두번씩이나 났지만 눈앞에 펼쳐지는 심해의 신비가 고통을 없애는 진통제 역할을 했다고 한다. 그는 ... ...
담배 피우면 DNA도 늙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텔로미어에 손상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런던 세인트토마스 병원의 팀 스펙터
박사
팀는 흡연자나 뚱뚱한 환자에서 텔로미어가 크게 짧아진 것을 발견했다. 텔로미어는 DNA 끝에 있으며 유전자를 보호한다.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완전히 복제되지 않기 때문에 세포가 복제를 거듭할수록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연구의 가능성이 과장돼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캘리포니아 번햄연구소 이반 스나이더
박사
는 “아직까지 줄기세포는 손상되거나 잘못된 세포를 다시 회복시키는 단백질인 ‘샤페론’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라며 “세포를 아예 대체한단 뜻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그래도 불과 몇 년 사이 ... ...
하늘의 모든 것에 도전한다 EADS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있는 아스트리움의 위성 개발 현장이다. EADS 아스트리움의 에카르트 제텔마이어
박사
는 “전천후 지구 관측 위성 ‘테라SAR-X’를 개발 중”이라며 “위성에 장착될 ‘합성 개구 레이더’(SAR) 덕분에 어두운 밤이건, 구름이 끼건 지구 촬영이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SAR 위성은 1978년 미국의 ... ...
한국 고래 잡아야 하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고래를 발견한 것과 비교하면 크게 늘어난 수치다. 그러나 국립수산과학원 김장근
박사
는 “포유류인 고래의 수는 급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라며 “동해에 서식하는 고래가 늘어나고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번 총회에서 한국, 북한, 중국, 일본, 러시아 5개국은 ... ...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뒤흔들 화석이 발견될 것이라고 확신한다.”-중국 국립척추고동물-고인류과학원 조중허
박사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를 두근거리게 할 코리아노사우루스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2. 그 많던 공룡을 누가 다 죽였을까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4. 익룡은 네 발로 걸었다 5. 중생대 ... ...
4. 익룡은 네 발로 걸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모습을 바꾸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대 존 허치슨과 마리아노 가르시아
박사
는 2002년 ‘네이처’에 “티라노사우루스의 몸은 빠른 속도를 내는데 필요한 충분한 근육이 들어 갈 만한 공간이 없었다”고 발표하며 빠른 속도로 뛸 수 없는 공룡이었다고 못박았다.이에 대해 “티라노사우루스는 ... ...
공학에 한번 빠져 봅시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배워 창업에 성공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로봇 전문가인 김문상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
는 “지금 생각해도 로봇 분야에 몸담길 참 잘했다”며 인간의 동반자인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고 소개한다. 여종기 LG화학 사장은 “일단 시작하면 재미와 보람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고 미래의 ... ...
포플러로 깨끗한 세상을 꿈꾸는 문학소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사랑을 이어가기 위해 이영숙 교수님은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 매년 1,000만 원씩
박사
과정의 여학생들을 위해 장학금을 기부하기로 했어요. 장학금의 이름도 ‘새터 장학금’으로 지었답니다.“빚을 갚는 일이라고 생각해요. 새터 교수님께 받은 사랑을 학생들에게 전해 재능을 100% 발휘할 수 ... ...
이전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5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