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리아노사우루스 부활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적합한 곳을 배경지로 선정해 시험용으로 촬영했다”며 “이걸 갖고 3차원 CG를 입혀
보고
현장에서 어떤 느낌으로 찍을지를 익혔다”고 말했다.드디어 지난 4월 중순경 제작진은 본격적으로 배경을 촬영하기 위해 뉴질랜드에 도착했다. 문제는 날씨였다. “가을에서 겨울로 접어드는 시기라 도착한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좋은지 싫은지? 측핵에게 물어봐지난해 필자가 속해 있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얼굴을
보고
첫인상에 즉각 반응하는 뇌부위를 찾았다. 연구팀은 실험참가자들에게 0.05초 동안 두 개의 얼굴 사진을 반복해서 보여준 뒤 이 가운데 호감이 가는 사람을 선택하게 했다. 그리고 그 순간 뇌의 기능성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자랑스러워지는 순간이었다.편집자 주이번 호를 끝으로 ‘이소연 박사의 생생 우주 실험
보고
서’는 연재를 마칩니다. 그동안 애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이소연 선임연구원 >KAIST 기계공학과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3만6000대 1의 경쟁률을 뚫고 한국 최초 우주인으로 ... ...
설립 700주년_서운관의 잠 못 드는 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그러나 그 뒤 관상감에서 자주 별똥을 봤다고
보고
하자, 연산군은 싫증이 나 마침내
보고
를 하지 말도록 명했다. 별똥은 날씨만 좋으면 밤마다 볼 수 있는 현상이 아닌가. 그런데도 연산군 12년에 관상감이 자꾸 천변을 아뢰자, “이런 재변을 아뢰지 말라고 명했거늘, 어찌 또 아뢰느냐? 어리석은 ... ...
눈먼자들의 도시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것처럼 만약 ‘실명 바이러스’가 있다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아직까지 학계에
보고
된 ‘실명 바이러스’는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돌연변이로 실명을 유발하는 바이러스가 나타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흔치는 않지만 현재로선 망막동맥폐쇄와 폐쇄각녹내장으로 갑자기 시력을 잃을 수 ... ...
해저지층, 해양 동식물 샘플 보관에서 대여까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교육의 장으로도 활용될 전망이다. 임 박사는 “학생들이 직접 해양시료를 분석하고 연구
보고
서를 쓰는 교육실험실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해양시료도서관이 21세기 한국 해양연구의 ‘규장각’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 편집자 주 이번 호를 마지막으로 ‘해양2만리 과학3만리’ ... ...
[화학] 반응속도와 평형 이동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평가하는 문제입니다.마지막 문제는 반응속도와 평형 이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
보고
이를 단열 상황에 적용하는 능력을 평가합니다.4) 열역학적으로 자발적인 화학반응이 일어날 수 있더라도 반응속도가 너무 느리면 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제시문 (다)에 나온 아레니우스 식에 의하면 ... ...
손해인 줄 알면서 주식 파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안에 쥐를 넣어두면 그들은 쾌락중추를 자극하는 레버를 열심히 누르다가 굶어죽는다고
보고
한 바 있다.이처럼 쾌락중추는 우리가 목표와 동기를 갖고 행동하게 만든다. 무엇인가를 얻거나 성취했을 때 얻는 기쁨은 온전히 이 영역에서 만들어진다. 우리는 이 영역을 자극 받기 위해 산다고 해도 ... ...
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마르지 않는다고 한다. 이런 전설 때문일까. 산을 오를수록 기분이 더 묘해지면서 호수를
보고
싶은 마음이 더 간절해졌다.물장오리습지11월 4일 11:20 “우와! 여긴 물이 많은데요.”산행을 시작한 지점이 이미 해발 600m였기 때문에 30분이 좀 넘게 산을 타자 벌써 정상이 눈앞이다. 오름에 오르자 ... ...
[생명과학]흰개미 생존의 비밀은 이중 공생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아미노산을 공급한다는 사실을 게놈을 분석해 알아냈다고 ‘사이언스’ 11월 14일자에
보고
했다. 이들의 게놈은 크기가 111만 염기쌍으로 질소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유전자들이 분포해 있었다.연구자들은 “질소 고정과 셀룰로오스 분해는 원생생물 안에서 이뤄진다”며 “흰개미의 생존 배경에는 ... ...
이전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5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