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뚜뚜우, 비밀 신호 전송! 모스 전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다양한 센서나 부품을 연결하고 프로그램을 적용해 간단한 로봇이나 스마트 기기 등을 만들 수 있지요. 친구들은 코딩 교육 강사인 강영주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모스 전신기와 컴퓨터를 연결했어요. 그다음 모스 부호를 문자로 바꿔 주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켰지요. 키보드로 ‘HI’를 입력한 후, ... ...
- [현장취재] 미래 과학자를 꿈꿔라! 해외 탐방 체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관람했어요. LED로 만든 목걸이, 종이상자로 만든 사격게임, 3D프린터로 만든 피규어 등 다양한 아이디어를 볼 수 있었지요. 김성현 친구는 “내가 만든 작품을 외국인에게 소개하고, 또 서로의 작품을 보며 토론할 수 있어서 재밌었다”고 소감을 말했어요. 미래 기술을 엿보다! 탐방 대원들은 IT ... ...
- Part 4. 실크로드 사람이 없어도 뱃길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움직이며, GPS 위성을 이용해 항로를 찾아요. 또 센서를 통해 파도의 높이와 조류, 풍속 등을 측정하고 주요 장애물을 파악하지요. 두 회사는 지금 모형이 아니라 실제 바다에서 운항할 자율운항선박을 짓고 있어요. 2019년엔 선원이 탄 채로 약 57km 정도 노르웨이 연안을 운항할 예정이고, 2020년부터 ... ...
- [시사과학뉴스] 여전히 하늘은 매우 나쁨! 삼한사미 시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위해 차량 2부제나 공장, 공사장 작업단축을 실시하는 제도를 말해요.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에 고농도 미세먼지가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 발령되지요. 전문가들은 고농도 미세먼지가 빨리 찾아온 만큼, 올 겨울 동안 미세먼지 나쁨 주의보가 더 자주 발생할 거라고 전망했어요. 이미 수도권은 ... ...
- [지구사랑탐사대] 연어특별탐사, 강을 거스르는 마지막 질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채로 유영하는 연어들이 곳곳에서 발견됐어요. 거친 파도와 강물을 거스르며 자갈, 모래 등에 찢겨 온 몸에 난 상처가 여기 오기까지 얼마나 힘들었는지 보여 주었지요. 하천 옆에 죽어있는 연어를 본 탐사대원들은 연어를 묻어주며 잠깐 묵념의 시간을 가졌어요. 이렇게 고생하며 올라왔으니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있는 기상 위성들은 레이더 장치를 통해 눈구름을 분석해서 눈이 내릴 지역과 강설량 등을 예측하고 있어요. 하지만 여기엔 한 가지 한계점이 있답니다. 눈구름 속 눈의 상태까지 알 수 없는 거죠. 이 때문에 눈에 의한 피해를 예측하는 것이 어렵답니다. 지난 3월, 미국항공우주국의 주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놀랍게도 눈에 보이지 않는 빛 중에는 우리 몸속을 들여다보는 능력이 있는 빛이 있답니다. 바로 ‘엑스선’이지요. 엑스선은 파장이 0.01~10nm(나노미터)인 빛이에요. 독 ... 등급으로 매긴 것이 ‘절대등급’이에요. 태양의 경우, 겉보기등급은 -26.8등급이고 절대등급은 4.8등 ...
- Part 4. 극한 농업, 사막에서 성공하면 기후변화도 거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못 들어올 정도로 추운 월동 기간에는 채소를 못 받아요. 그러면 변비가 생기는 등 여러 문제를 겪지요. 이를 해결하는 게 주된 목적이었고, 대원들의 마음을 안정시켜 주고 싶은 마음도 있었답니다. Q 어떤 방식으로 키우나요?식물 공장 담당자는 있지만 실제로는 다함께 농장을 가꿔요 ... ...
-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멋진 작품은 사시 덕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다빈치는 최후의 만찬, 모나리자 등 많은 걸작을 남긴 15~16세기 예술가예요. 그런데 10월 18일, 영국 시티대학교 크리스토퍼 타일러 교수팀은 다빈치가 걸작을 남길 수 있었던 이유는 남들과 조금 다른 눈을 타고났기 때문이라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다빈치의 모습이 드러난 작품 6점의 ... ...
- Part 2. 평범한 일상도 우주 실험이 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수 있는 방법을 연구 중이다. 그중 하나는 쓰레기를 소형 원자로에서 분해시켜 물, 산소 등의 물질을 뽑아내고 나머지 물질을 버리는 방법이다. 이렇게 하면 쓰레기를 재활용할 수 있을 뿐더러 쓰레기의 양도 대폭 줄일 수 있다. 현재 미국항공우주국은 공모를 통해 이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킬 방법을 ... ...
이전5005015025035045055065075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