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d라이브러리
"
7
"(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해리 브리든 교수는 “지난 4
7
년간 유럽 해안을 지나는 멕시코만류의 양이 195
7
년에 비해 30%나 줄었다”며 2005년 12월 ‘네이처’에 발표했다.멕시코만류는 적도의 열기를 영국과 스칸디나비아반도를 거쳐 북극해까지 전해주는 지구 최대의 ‘난방 보일러’이다. 그린란드에 도착한 멕시코만류는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사이에 채취한다. 베어낸 닥나무를 솥에 담고 밀봉해 수증기로 껍질이 벗겨질 때까지 6~
7
시간 쪄낸다. 부드러워진 껍질은 벗겨 말린다. 말린 껍질을 다시 물에 불려 발로 밟은 다음 하얀 속껍질 부분만 가려내 천연 잿물을 넣은 솥에 약 2시간 정도 삶는다. 이렇게 삶은 닥나무 속껍질을 평평한 돌 위에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도움을 줬다.자동차 대신 카누에 올라타다“여기서부터는 차가 들어갈 수 없습니다.”
7
시 30분, 아침 일찍부터 시작된 에코투어. 이리오모테 섬에 하나밖에 없는 일주도로를 5분쯤 달렸을까. 거대한 양치식물이 군락을 이룬 정글 앞에서 에코투어 신청자 4명을 태운 고무라 씨의 지프가 멈췄다.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천 조각을 이용해 그런 바지를 만들었다.한복 바지를 바닥에 펼쳐 놓고 보면 모두
7
개의 옷 감 조각으로 이뤄져 있다. 그중 핵심이 되는 부분은 다리 사이 가랑이 부분에 해당하는 ‘큰사폭’과 ‘작은 사폭’ 두 조각이다. 옷감은 기본적으로 세로방향의 날실과 가로방향의 씨실을 교차해서 짠다. ... ...
상상을 초월하는 별난 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풀어냈던 워크숍에 참여했던 SF작가들과 천문학자들이 드디어 책을 냈다! 이 책에는
7
편의 SF가 실려 있다. 책의 제목이기도 한 단편 ‘백만 광년의 고독’에는 인공지능과 그를 탄생시킨 인간의 의식이 하나가 된 주인공이 등장한다. SF 고전인 올라프 스태플든의 ‘스타메이커’를 연상시킨다.지구 ... ...
초분자에 대한 끝없는 도전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연구실이 자리잡힌 것도 오랜 도전의 결과라 말한다.현재 박 교수는 1년에 최소한 6~
7
번은 해외 초청강연에 서고 있다. 10년 전만 해도 국내 연구원들은 해외 학외에서 인정받지 못해 구두 발표조차 하기 어려웠는데, 지금은 들어오는 강연 요청 중에 좋은 기회를 골라서 참여할 정도로 위상이 ... ...
정순영 교수님이 밝히는 2010년 수학 공부 방법!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말로 설명하다 보면 공부한 내용이 머릿속에 자연스레 정리되기 때문에 복습도 된답니다.
7
피할 수 없다면 즐겨라!수학 공부, 싫다고 안 할 수 없잖아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수학을 공부해야 한다면 이왕이면 즐겁게 공부하세요. 일상생활 속에서 수학을 찾아보고 수학 문제 푸는 재미도 ... ...
1. 모양에 담긴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쫄깃쫄깃한 면발과 얼큰한 국물의 맛이 머릿속에 깊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200
7
년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은 1년에
7
5개의 라면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어린 아이들이 할머니의 뽀글뽀글 파마한 머리를 라면 머리라고 부를 정도로 라면은 어른이나 아이 모두에게 친숙한 음식이다. 그런데 ... ...
[수학 통조림] 천만 가지 문자의 얼굴을 벗겨라!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문제로 이어집니다.(예1) 1 + 2 = 2 + 1 3 + 4 = 4 + 3(예2) 3 × (4 + 5) = 3×4 + 3×54 × (
7
+ 9) = 4×
7
+ 4×9(예1)은 덧셈을 할 때 순서를 따지지 않는 교환법칙의 예입니다. 문자로 나타내면 a+b = b+a입니다. (예2)는 괄호 안을 계산한 뒤 괄호 밖의 숫자와 곱한 결과 ...
곡선 위의 승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기울이다 보니 신발 옆면이 얼음바닥에 닿는 경우가 생겼어. 그래서 신발과 날사이를 2~
7
mm 높이는 방법을 생각해 냈어. 그러자 몸을 안으로 더 기울일 수 있으면서 발 움직임도 편해졌다는 거야. 이 방법은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뒤 세계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지.우리와 함께 한 겨울스포츠 탐방 ... ...
이전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