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소
즉석
곧
즉시
당장에
바로
d라이브러리
"
직접
"(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이 지역의 명물, ‘오키나와 소바’다.“이리오모테 섬 에코투어는 모두 가이드들이
직접
이렇게 식사를 준비합니다. 식당을 만들 수도 없고, 일반인들이 취사를 하면 쓰레기를 남기기 때문이죠.”변변한 재료도 없이 만든 음식이지만 어찌나 맛있는지 고무라 씨의 솜씨가 요리사 뺨치게 좋다. ... ...
상상을 초월하는 별난 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연상할 수 있다.이야기마다 한 페이지를 가득 채우는 정밀한 일러스트를 보면 마치
직접
동물을 보면서 이야기를 듣는 듯한 착각에 빠져버린다. 빨판 같은 입을 이용해 암벽을 등반하는 메기나 종마다 각기 다른 모습으로 알을 품는 수컷 개구리는 일러스트가 없이는 감히 상상할 수도 없는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것도 우리가 해야죠. 그래서 전세계가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일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직접
행동하고 있어요. 우선 생물다양성이 높은 지역을 국립공원이나 보호구역으로 지정해 개발을 막고 있어요. 또 사냥할 수 있는 때와 장소, 동식물들의 수와 종류를 제한해 멸종 위기에 처한 생물을 보호하고 ... ...
막힌 도로를 뚫어 주는 신기한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U-트랜스포테이션’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 U-트랜스포테이션이 뭐냐고?
직접
설명을 들어 보자.“유비쿼터스라는 말 들어 봤죠? 언제 어디서나 정보통신망에 접속해 통신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뜻해요. U-트랜스포테이션은 유비쿼터스 개념을 가져와 앞쪽의 도로상황을 ... ...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둘러싸게 돼요. 이걸 ‘초공동화 현상’이라고 해요.초공동화 현상이 일어나면 어뢰가
직접
물살을 헤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마찰력이 줄어들고 속도도 훨씬 빨라져요. 자그마치 KTX의 두 배인 시속 600㎞나 된답니다. 물론 아직 소리의 속도보다는 느리지만, 보통 어뢰가 시속 80㎞를 넘지 못하는 ... ...
정순영 교수님이 밝히는 2010년 수학 공부 방법!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뜻이에요. 쉽지 않겠지만 도전해 보세요. 반드시 답이 있는 문제를 만들고, 만든 문제도
직접
풀어 봐야 합니다.6 수학에 재미를 느껴라.수학에 재미를 느끼기 위해 자신이 공부한 내용을 엄마나 동생, 친구에게 가르쳐 주세요. 자신이 공부한 내용을 자랑하다 보면 자신감도 생기고 성취감도 생겨서 ... ...
곡선 위의 승부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가만히 기다리지 말고 눈과 얼음을 찾아 떠나 보렴. 겨울스포츠와 모든 원리는 온몸으로
직접
느껴야 하는 거라고~! 출발할 때 몇 번째 선수가 유리할까?쇼트트랙은 모든 선수가 같은 선에서 출발한다. 이때 맨 안쪽에서 출발하는 1번은 곡선 구간에 딱 붙어서 돌기 때문에 바깥으로 밀리는 원심력을 ... ...
최강! 로봇 원정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진행됐답니다. 어린이들이 사람을 닮은 휴머 노이드 로봇 ‘휴노’를
직접
조립해 보고 조종하면서 미래로봇 과학자의 꿈을 키울 수 있었던 행사였어요 ... ...
도넛과 머그컵이 똑같이 생겼다고?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놀랍게도 사각형이 나왔어. 그럼 두 번째 띠를 자른 결과는 어떨까? 궁금하겠지만,
직접
만들어 보고 ‘수학동아로 모여봐’의 ‘사진을 찍어봐’ 코너에 보내 줘.실험2 이번 실험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꼰 뫼비우스 띠 두 개가 필요해. 이번에도 두 개의 띠를 수직으로 붙여 가운데 선을 따라 자르면 ... ...
아이, 로봇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1파섹을 광년으로 환산하면 3.26광년이 되는 것이지요.멀리 떨어진 천체까지의 거리를
직접
재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천문학자들은 이처럼 지구의 공전으로 생기는 각도를 이용해 거리를 계산합니다. 이 과정에서 생긴 단위가 바로 파섹이고요. 평소에는 잘 쓰지 않아 생소한 단위지만 알고 ... ...
이전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