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스위스 제네바는 각종 국제기구가 몰려있는 도시로 유명하다. 세계보건기구(WHO), 국제노동기구(ILO), 세계무역기구(WTO)의 본부는 물론 유엔(UN) 유럽 ... 폭탄과는 거리가 먼 무척 적은 양이다. 또한 아직까지는 반
물질
폭탄을 만드는데 필요한 반
물질
을 저장하는 기술은 등장하지도 않았다 ... ...
우주에서 보낸 '핼러윈 데이'의 메시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주위로 뿜어내면서 귀신의 ‘눈’과 ‘입’을 빚어냈다. 눈과 입에 남아있는 초록빛
물질
은 가스로 구성돼 있고, 주변의 붉은 지역은 본래 젊은 별들을 탄생시켰던 먼지 구름이다.귀신의 코에는 또 다른 비밀이 숨어 있다. 제2세대 별들이 탄생을 위해 준비 중이다. 이 별들이 태어나면 그들의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부임할 때까지 흑체복사를 설명하는 일반적인 공식이 없었다. 플랑크는 특정한 물체나
물질
에 상관없이 언제나 성립하는 일반적인 이론을 만드는데 흥미가 있었다. 따라서 흑체복사 문제는 그에게 더 없는 지적 호기심을 자극했다. 그는 당장 오븐의 복사 연구에 뛰어들었다. 복사의 각 색깔에 ... ...
01. 멀수록 강해지는 이상한 힘 규명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찾고, 이들을 묶는 기본 힘에 대한 이론을 찾아내는 것은 물리학자들의 꿈이다.그렇다면
물질
의 최소단위는 무엇일까? 쿼크다. 쿼크는 1964년 미국의 물리학자 머레이 겔만이 최초로 그 존재를 주장했고, 겔만은 이 공로를 인정받아 1969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그렇다면 쿼크와 글루온을 ... ...
2. 단 한 개의 바이러스도 검출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밤을 하얗게 새며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탄소나노튜브로 나노바이오센서 만든다나노
물질
의 대명사인 탄소나노튜브를 2차 트랜스듀서로 이용한 나노바이오센서가 최근 국내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정희태 교수팀이 그 주인공.탄소나노튜브는 지름이 1㎚ 정도인 속이 빈 길쭉한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나몰라라 하고 팽개쳐 둔다.들쥐에서 발견된 결과는 사회적, 성적 행위에 신경전달
물질
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신경회로가 상황에 따라 변하며 암수에 따라서도 서로 다름을 보여준다.하지만 이런 현상이 인간의 경우에도 똑같이 발생하는지는 의문이다. 인간의 성적 행위에 ... ...
'딥 임팩트' 우주선 혜성 향해 발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막기 위해 폭발시키는 것은 아니다. NASA는 우주선이 충돌할 때 분화구에서 분출되는
물질
과 혜성의 내부 구조 등을 고성능 광학카메라와 분광계를 통해 분석할 계획이다. 미 메릴랜드대 천문학자 마이클 에이헌은 “충돌은 지구에서 1억2천8백만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지만 지구의 특정 위치에서는 ... ...
03. 냄새 맡는 후각 유전자 찾아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세포 안에 있는 특수 효소(아데닐 사이클라제)를 자극한다. 이 효소가 세포 안에 cAMP라는
물질
을 많이 만들면 세포막에 있는 특수 통로가 열려 이온들이 세포막 안팎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평소와는 다른 ‘전위차’가 생기고 이것이 마치 전기처럼 신경세포를 타고 뇌로 전달되는 것이다 ... ...
2004 엽기 노벨상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생수 ‘다사니’ 를 출시한 회사다. 하지만 이 생수가 수돗물을 정수한 것이며 발암
물질
도 포함돼 있다는 점이 올해 초 밝혀지면서 망신을 샀다.의학상은 컨트리 음악이 자살충동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미 어번대 제임스 군들라흐 연구팀이 받았다. 연구팀은 미국 내 49개 도시의 자살률을 ... ...
나노와 바이오의 퓨전 시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중요한 한 분야다. 미량의 시료만으로도 질병을 진단하고 병균이나 오염
물질
을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는 미래의 의학과 환경분야를 혁신시킬 것이다.나노입자를 이용한 약물전달시스템 개발도 중요한 분야다. “오늘날 질병을 고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는 망치로 고장 난 시계를 수리하려고 ... ...
이전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