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체
전부
온갖
모두
죄다
전반
전
d라이브러리
"
모든
"(으)로 총 10,96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늘려야 한다. 알베도 0.02가 별 거 아닌 것 같지만 지구 표면의 대부분이 바다로 덮여 있고
모든
지각 표면에서 알베도를 높일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달성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알베도를 높일 수 있는 지역은 최대 1.0까지 올려야 효과를 볼 수 있다. 미국 로렌스 버클리 연구소의 하셈 ... ...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다른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인식하는지 조사했다.그 결과 최근 수년 동안 유행한 거의
모든
계절성플루바이러스와 심지어 AI바이러스까지 달라붙는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실제로 실험동물에 치사량의 바이러스를 주사한 뒤 이 항체를 넣어주자 병에서 회복됐다. 연구자들은 “신종플루의 항체는 ... ...
진공에서도 식물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그나마 남아 있는 공기의 대부분은 수증기였다. 다시 기압을 정상으로 되돌리자
모든
식물은 정상적으로 자라기 시작했고, 일주일 후 수확할 때까지 눈에 띄는 이상이 없었다. 이 실험은 우주공간에서 진공상태에 식물이 노출됐을 때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 보기 위해 실행됐다.식물과 특수한 ... ...
새들이 군무를 추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몸 측면을 통해 물의 흐름 등 유체역학 신호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좌우와 상하
모든
방향의 정보를 수집해 거리를 유지할 수 있고, 이동할 때도 새보다 패턴이 정교하다.메뚜기나 벌, 호수파리와 같은 곤충은 새나 물고기보다 훨씬 많은 수가 무리를 이룬다. 새나 물고기가 이룬 무리(swarm)와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과일을 깨끗이 씻지 못한다. 또 살균효과는 좋지만 미생물뿐 아니라 사과 표면의
모든
유기물질을 산화시킬 염려가 있다. 오존수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사과 표면까지 탈색시킨다는 뜻이다. 따라서 농촌진흥청은 사과 표면에서 미생물만 없앨 수 있는 오존 농도를 1ppm으로 정해 놓았다. 세균만 ... ...
퇴행성 관절염의 스위치를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조직이 망가지기 시작했다. 45주 후에는 실험 동물의 연골 조직이 모두 사라졌다. 그 결과
모든
실험 동물에서 퇴행성 관절염 증상이 나타났다. 반대로 이미 퇴행성 관절염에 걸린 실험 동물의 연골 세포에서 히프투알파 유전자를 없앴더니 연골 조직의 손상이 멈췄다.전 교수는 “히프투알파가 연골 ... ...
그림자도 지우는 숨기의 달인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뽕잎이나 참나무 잎 같은 식물을 먹는다. 고기를 먹지 않고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모든
단백질을 잎에서 얻는다. 애벌레는 식물 섬유소를 분해하는 효소(셀룰라아제)를 분비하거나 자기 몸속에서 살아가는 균의 도움을 받아(공생균) 섬유소를 소화시킨다. 다른 동물들이 소화하지 못하는 섬유소를 ... ...
수학의 즐거움 이동통신 이끌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있게 했다. 그리고 데이터 사용량이 적은 휴대전화에게는 최소한의 채널만을 할당한다.
모든
채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이 결과 기존 방식보다 데이터를 더 빠르고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게 됐다. 다중안테나 기술도 OFDMA와 같이 많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데이터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유명인인 안젤리나 졸리도 이런 운명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을 예상할 수 있다(단,
모든
데이터 과학의 연구 결과는 평균값이므로 개개인에 그대로 적용할 수는 없다). 정 교수는 “그래프가 그리는 ‘피크’의 모양을 보면 가능하다”며 “우리나라 과학논문을 이용해 비슷한 연구를 수행할 ... ...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답답한 몽매함’을 오직 통계 연구로만 바르게 이끌 수 있다고 여겼다. 이를 위해선
모든
사람들이 통계 법칙을 이해해야 한다고 생각했다.박현애 서울대 간호대 부학장은 나이팅게일을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나이팅게일은 통계자료를 표나 그래프로 나타내는 데 그치지 않고 사회를 바꿨습니다. ... ...
이전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5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