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지
내륙
나라안
국내컴퓨터통신망
컴퓨터
통신망
내국
d라이브러리
"
국내
"(으)로 총 5,44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명노열군과 한국의 심장이식수술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사용했다. 심한 폐동맥판막형성부전증을 보이는 10대의 신모군에게 성공적으로 이식,
국내
에서 처음으로 대혈관과 판막의 동종이식에 성공하게 된 것이다.뇌사불인정은 난센스뇌사문제를 좀 더 심도있게 살펴보자. 필자의 생각인데 국민들 사이에 이에 대한 정확한 지식이 부족한 듯 싶다. 뇌사는 ... ...
별들의 수수께끼에 생애를 걸다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국립천문대를 설립하기에 이른 것이다.국립천문대를 만들기는 하였으나 당시의
국내
여건은 실망스러울 정도였다. 인력도 태부족이고 관측기기는 전무한 상태였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우선 소백산에 천체관측소를 건설하고 그곳에 24인치 망원경을 설치, 관측을 시작하였다. 연구원을 해외에 ... ...
각광받는 식용버섯들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일본의 백화점에서 '혼시메지'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고 있다.만가닥버섯은 1979년부터
국내
외에서 균주를 수집하여 배양적 특성을 구명하고 86~87년 보존균수 13균주로 생산력검정 시험을 실시한 후 그중 수량과 품질이 우수한 '만가닥버섯1호'를 육성하게 되었다.만가닥버섯은 갓의 직경이 5~15㎝로 ... ...
PART4 인공심장, 제2단계로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체형에 알맞다는 장점도 지니고 있다.한편 송아지에 인공심장을 이식, 성공한 사례가
국내
에서 보고되었다. 작년 10월 부천세종병원 흉부외과 송명근박사팀이 일본에서 개발한 인공심장을 송아지에 이식, 45일간 생존하게 한 것이다. 수술을 맡았던 송박사는 “45일만에 송아지가 죽은 것은 송아지의 ... ...
한글 DBMS 개발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프린터에서도 수행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파일러의 개발로 IBM PC 호환기 사용자들은
국내
최초로 완벽한 한글·한자 데이타베이스 패키지 소프트웨어의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785-0597) ... ...
한국형 PC OS 개발 시도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기본이 되는 시스팀소프트웨어인PC 오퍼레이팅시스팀(Operating System, 운영체제)의 개발이
국내
에서는 처음으로 시스템공학센터와 한국컴퓨터연구조합 공동으로 시도된다.우리나라는 현재 개인용컴퓨터의 경우 모두 외국 OS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PC 수출이 크게 늘어나면서 OS기술료 부담이 크게 ... ...
슈퍼컴퓨터「크레이」로 확정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슈퍼컴퓨터를 사용하는 우리 나라에서 활용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의 슈퍼컴퓨터 도입은 85년부터 거론됐으나 매년 예산문제 때문에 좌절된 바이다. 이번 도입은 한미 통상 무역 마찰 해결책의 하나로 정책적 차원에서 결정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
CRT 제어소자 개발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비해 스피드는 10% 이상 빨라진 반면 소비전력은 최대 20%가량 절약된다고 밝혔다. 그동안
국내
PC업계는 이 제품을 주로 미국과 일본에서 수입 사용해 왔다. CRT제어소자는 IBM PC/XT, AT호환기종 및 각종터미널 비디오게임기 등에 사용된다.이제품은 오는 4월부터 양산에 들어가 올 한해 1백만달러이상을 ... ...
6공화국의 첫 과학기술처장관 이 관씨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기계과를 졸업한 후 해사교관 등을 거쳐 원자력연구소 원자로공학연구실장 때는
국내
최초의 원자로인 트리가 마크I을 설치하는데 크게 기여한 원자력통인 이장관은 영국 리버풀대에서 공학박사학위를 딴 덕택에 영국정부의 자매교인 울산공대학장을 맡았었다. 한때 하루 2갑씩 피우는 담배 ... ...
PART2 극복할 수 있는 심장병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질병이 있으나 위에서 설명한 4가지 질병이 가장 흔한 것들이다.선진국 수준에 이른
국내
심장수술심장질환의 진단법도 여러가지로 발전돼 왔다. 맥박을 만져보고 진단하는 방법은 아주 옛날부터 있었으나 불충분한 진단법이었다. 1761년에 비엔나의 의사인 아우엔브러거가 손가락으로 두드릴때 ... ...
이전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5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