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뉴스
"
유전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드뉴스] 일란성 쌍둥이, 어디가 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9.16
것입니다. 또한 한 명만 자폐증을 앓고 있는 쌍둥이들을 분석해서 이 병을 유발하는 특정
유전
자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많은 과학자들은 쌍둥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을 밝히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 참고: 어린이과학동아 2014년 18호 ‘TWINS 같은 듯 다른 존재? ... ...
진주 만드는 조개의 핵심 ‘레시피’
과학동아
l
2017.09.15
된다. 진주조개가 어떻게 이 물질을 안정화하는 지가 지금까지 의문이었다. 연구팀은
유전
자를 재조합해서 만든 진주조개 단백질(Pif80)을 이용해서 탄산칼슘 전구체가 안정적으로 형성 및 저장되는 과정을 규명했다. 또 이 단백질이 다각형 구조가 주기적으로 배열된 탄산칼슘 층을 형성하는 데 ... ...
‘눈처럼 하얀 엄마와 아기 기린’ 포착돼
팝뉴스
l
2017.09.13
중 일부이다. 새하얀 기린의 모습이 신비롭다. 엄마와 아기 사슴이 함께 했다. 엄마의
유전
자를 새끼가 이어받은 것이다. 보통 무늬의 사슴과 비교하면 더욱 하얗다. 보호색이 없는 동물들은 자연에서 천적에 쉽게 발각되어 생명을 잃기 쉽다. 하얀 엄마와 아기 기린을 응원하는 목소리가 해외 ... ...
400년전 미라,
유전
자 검사해 보니 “동맥경화가 사망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17.09.12
연구팀 관계자는 “우리 조상에게도 죽상동맥경화증과 같은 질환이 생길 수 있는
유전
적 소인이 있었음을 확인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온라인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근호에 실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지난달 일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파란 국화의 경우 다를 식물 두 종(초롱꽃과 나비콩꽃)의
유전
자가 들어간 GMO다. 연구자들은 이번 시도가 크리스퍼/캐스9 시스템을 사용해 꽃의 색을 바꾼 최초의 시도라며 앞으로 원예식물 육종에 이 기술이 널리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필자소개 ... ...
파킨슨병 일으키는
유전
자 부위 대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9.12
유전
자들이 문제가 돼 파킨슨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새롭게 찾아낸
유전
자를 표적으로 하는 신약 개발이 이뤄지면 향후 파킨슨병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연구자 나고야의정서 가이드③] 전통지식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9.11
마더슨 박사가 연구에 활용한 것은 쿡 제도의 전통지식과 이를 바탕으로 제조한
유전
자원(식물 추출물)이다. 때문에 마더슨 박사는 쿡 제도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코우투 누이도 주요 이해관계 당사자로 여기고, 연구에서 상업화에 이르기까지 코우투 누이가 동참해 의견을 낼 수 있도록 했다. 또 ... ...
가상현실(VR)로 치매 전 단계 알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09
씨(73)는 유독 치매 걱정이 크다. 함께 사는 95세 노모가 중증 치매를 앓고 있는데 혹시
유전
이 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에서다. 7일 서울 성동구 한양대에서 김 씨의 현재 상태가 치매에 얼마나 가까운지 알아보는 실험이 진행됐다. 방 안에 서자 8대의 동작인식 카메라가 김 씨를 비췄다. 입체 안경을 ... ...
모세혈관, 장기에 따라 형태-기능 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08
형태를 다 규명했다고 본다. 하지만 모든 기능이 규명된 건 아니다. 현재 혈관내피세포의
유전
자 분석을 통해 모세혈관의 다양한 역할을 밝혀내고 있는 단계다”라고 평가했다. ... ...
옛 양피지 문서 훼손하는 미생물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07
어떤 박테리아가 양피지를 훼손시키는지 명확히 가리기 위해 연구팀은 588개씩 무작위로
유전
자 샘플을 분리했고, 양피지에 기생하는 박테리아의 구성 비율을 확인했다. 분석 결과, 흰색 부분과 보라색 부분의 박테리아 구성은 확연히 달랐다. 흰색으로 남아 있는 부분에서 고른 샘플들에서는 ... ...
이전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