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소니
f 88
smu
삼성
소니 mp3
소니mp3
뉴스
"
바이오
"(으)로 총 5,121건 검색되었습니다.
석유화학시대 넘어
바이오
화학시대로
동아사이언스
l
2014.01.17
바이오
리파이너리는 나무, 유채 등과 같은
바이오
매스를 이용해
바이오
플라스틱이나
바이오
연료를 만드는 기술로, 자원이 풍부하고 재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 보덴쿨투어대 ... ...
장시간 봐도 눈부심 없는 컬러 전자책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5
대중교통을 이용하다보면 태블릿PC나 전자책을 이용해 책을 읽는 이들을 볼 수 있다. 많은 출판사들이 전자책 시장에 진출하고 있지만, 좀처럼 ... 컬러로 만들 수 있다”며 “추가연구에 따라 반사형 컬러 디스플레이나 인체 주입형
바이오
센서 등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올해 R&D예산 2조 1009억원...지난해 대비 10%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1.15
먹거리 창출을 위한 핵심원천기술개발 부분 지원도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이를 위해
바이오
·의료기술 개발에 1445억 원을 투자해 신약 후보물질 도출, 줄기세포 이용 난치성 질환 치료 등을 지원하고 ‘한국인 표준 뇌지도’를 완성해 2017년까지 치매 조기진단 서비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또 ... ...
파스처럼 붙이는 ‘안 아픈 주사’ 나온다
동아일보
l
2014.01.09
000억 엔(약 43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뇨병 치료에 쓰이는 인슐린이나
바이오
의약품의 일종인 항체 의약품을 피부를 통해 투여하는 연구도 미국과 일본에서 시작됐다. 이 신문은 급속한 인구 고령화로 노인 환자가 늘어나면서 간편한 무통 주사에 대한 수요가 점점 늘고 이와 ... ...
줄기세포 분화촉진법 서울대 연구팀 첫 개발
동아일보
l
2014.01.08
장기 등을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서울대 정종훈 교수팀(
바이오
시스템소재학부)과 김장호 연구원은 “줄기세포의 분화를 촉진하는 생체모방형 나노지지체 개발에 성공했다”고 7일 밝혔다. 나노지지체란 줄기세포가 붙어서 자랄 수 있는 일종의 피부나 표면같이 생긴 ... ...
줄기세포 키우는 나노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07
세포 등은 모두 10억분의 1m 수준의 ‘나노’ 공간 속에서 만들어진다. 서울대 정종훈
바이오
시스템·소재학부 교수팀은 우리 몸 속 세포의 눈높이에 맞춘 ‘생체 모방형 나노지지체’를 개발하고, ‘네이처’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지난해 12월 19일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특히 이번 ... ...
무너지지 않는 아성 ‘이기적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14.01.05
를 펴냈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과학저술가 중 한 사람으로 꼽히는 정재승 KAIST
바이오
·뇌공학과 교수는 ‘백인천 프로젝트’(백인천 프로젝트 팀著, 사이언스북스刊)로 트위터를 통한 대중 과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시험했다. 또 장하석 영국 케임브리지대 과학철학과 석좌교수는 ‘온도계의 ... ...
파킨슨병 걸린 사람이 뇌종양도 걸리기 쉽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일으키는 유전자가 뇌종양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
나노연구센터 이규선 선임연구원과 미국 스탠포드의대 루 빙웨이 교수 공동연구팀은 파킨슨병의 원인 유전자가 뇌종양의 발현과 증식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 ...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신임 회장에 최수영 한림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3.12.25
최수영 한림대
바이오
메디컬학과 교수(60)가 국내 최대 규모의 학회인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신임 회장으로 선출됐다. 이에 따라 최 교수는 내년 1월부터 1년 동안 기초생물학부터 임상의학까지 다양한 회원들로 구성된 학회를 이끌어 가게 된다. 최 교수는 연세대를 졸업하고 미국 ... ...
로봇과 대화하는 자폐아, 사회성 '쑥쑥'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사회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로보짱을 개발한 김문상 KIST
바이오
닉스 연구단 책임연구원은 “장애아동로봇시스템은 내년에 후속 연구를 위해 덴마크와의 국제 협력이 예정돼 있다”며 “앞으로 유럽국가 등에 상용화를 위한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
이전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