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뉴스
"
과정
"(으)로 총 15,510건 검색되었습니다.
윤군진 서울대 교수, 미 공군연구소 메타물질 설계 연구 수주
동아사이언스
l
2022.03.15
윤 교수 연구팀은 금속 적층제조 기술을 적용한 메타물질 제작을 위해 제품을 만드는
과정
에서 불확실성과 미세조직 특성 등을 고려한 공정 범위를 찾고 이후 메타물질 구조 최적 설계를 진행할 예정이다. 금속 적층제조 공정에서의 변수와 메타물질의 특성 간 관계를 모델로 구축하고 설계 전략을 ... ...
포스텍에 국내 첫 애플 개발자 아카데미 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15
00개 이상 앱을 출시하고 지금까지 160개 스타트업을 창업했다. 포스텍에 따르면 아카데미
과정
후 평균 3개 회사에서 스카우트 요청을 받고 있다. 고든 슈크윗 애플 개발자 아카데미 총괄은 “포스텍과 협력 아래 한국 최초 애플 개발자 아카데미를 열어 한국의 차세대 개발자와 기업가들을 ... ...
50년만에 나온 인삼 영문책 쓴 장일무 서울대 명예교수, 미경제식물협의회 듀크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3.15
장 교수는 한국인삼산업사 영문판에서 역사적 관점으로 고려인삼의 산업화
과정
을 조명했다. 조선 삼업인이 세계 최초로 인삼 인공재배법을 발명하고 장기간 인삼보관이 가능한 ‘홍삼’의 발명으로 인삼의 산업화가 가능했음을 학문적으로 고증했다. 장 교수는 “한국인삼산업사는 한국을 ... ...
광합성·포식 신종 해양미생물 기후변화 대처 '비밀병기'될까
연합뉴스
l
2022.03.15
혼합영양 원생생물에 관한 연구는 특히 더 불모지였다면서 P. 발티쿰의 탄소 격리
과정
을 밝혀낸 것은 처음이라고 했다. 라슨 박사는 "대부분의 지상 식물은 토양의 양분을 흡수해 성장하지만, 파리지옥과 같은 일부 식물은 곤충을 잡아 추가 영양분을 얻는다"면서 "식물성 플랑크톤도 바닷물에 ... ...
[과기원은지금]DGIST, 한천 이용해 친환경 해수담수화 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15
밝혔다. 연구팀은 한천이 물 흡수 성능이 뛰어나 소재 내부로 물을 잘 전달하면서 담수화
과정
중 내부에 염이 축적되지 않고 능동적으로 염을 배출하는 특성을 확인했다. 이에 연구팀은 한천과 나노입자가 포함된 셀룰로오스로 태양광 증발 소자를 만들어 실제 일사 조건에서 제곱미터당 일 평균 5.9 ... ...
한국 수학자 개발 차세대 '동형암호' IBM이 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3.14
과정
에서는 암호화된 민감한 정보가 섞여 있을 경우 암호를 풀어야 연산이 가능해 이
과정
에서 해킹이나 내부자에 의한 민감한 정보 유출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동형암호를 적용하면 민감한 정보 유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2009년 처음으로 동형암호 기술을 개발한 IBM은 다양한 컴퓨터 ... ...
"폭격에 코로나 진단시설 파괴되는 조국의 참상 보고 꿈을 바꿨습니다"
2022.03.13
씨를 포함해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UST)에 다니는 학생 12명과 키이우대 교환
과정
으로 한국에 온 2명의 우크라이나 출신 학생이 있다. 이들에겐 매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12시까지는 피를 말리는 시간이다. 통신 인프라가 파괴돼 통화 조차 어려운 우크라이나에서 간밤의 가족 안부를 확인할 수 ... ...
끈적이는 홍합 단백질 모방해 해수전지 성능 4배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13
집전체가 단단하게 고정된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최지은 에너지화학공학과 석박통합
과정
연구원은 “수중 접착력이 강력한 데다 탄소 부식이나 촉매 탈착 같은 문제점도 해결한 소재”라며 “해수전지와 마찬가지로 물을 전해질로 이용하는 수계 금속 공기 배터리에도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 ...
[과학게시판] KAIST 크레이지 데이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12
2만5000달러(약 3087만 원)의 상금이 수여된다. ■ 서울대 공대는 건설환경공학부 박사
과정
졸업생 김진우 박사가 싱가포르 난양공대 건설환경공학부 조교수로 임용되었다고 11일 밝혔다. 김 박사는 KAIST 건설 및 환경공학과를 졸업했다. 현재 미국 미시간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2022년 ... ...
[인터뷰] "빛이 예술과 과학의 다리가 될 때"
과학동아
l
2022.03.12
점을 들어 마티즈의 그림과 자신의 연구가 유사하다고 분석했다”고 했다. 그는 “이런
과정
을 거치면 자신의 미술 취향을 찾게 된다”며 “첫 수업 때 신윤복의 ‘단오풍정’을 보고 작가나 제목을 맞히지 못하던 학생들이 화가들 특유의 화법을 이해해, 마지막 수업에서는 그림이 진짜인지, ... ...
이전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