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4. 바퀴벌레의 지혜터득한 로보로치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작업을 고속으로 수행하는 산업용 로봇이 대부분. 애당초 무대에 섰을 때의 개념과
형태
는 만화영화 속에서나 찾을 수 있을 뿐이고, 우리가 만나는 로봇은 기껏 ‘외팔이’ 정도다. 이 분야에 상당한 기술을 확보했다고 자부하는 지금까지도 사람처럼 유연하고 민감한 구동장치나 센서의 개발은 ... ...
인터넷도 맞춤 시대 푸시 열풍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입장에서도 이러한 처사를 무시할 만한 형편은 못되는셈. 그렇다면 표준 안이 어떤
형태
이든 간에 넷캐스터든 익스플로러든 인터넷에서 발송되는 푸시 데이터를 받아보는 데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제 2의 바보상자 우려도푸시가 무조건 장점만을 갖춘 것은 아니다. TV를 바보상자라고 ... ...
② 수익체증의 법칙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숨쉬며 살고 있는 사회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사회를 구성하는 각 요소는 다양한
형태
의 상호작용을 통해 환경에 적응해나간다. 복잡계를 복잡적응계라 부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제반 사회현상 가운데 복잡적응계를 살펴볼 수 있는 가장 좋은 소재는 경제 현상이다. 무생물인 경제는 살아 ... ...
② 자연요법7: 색깔요법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A, 시금치와 같은 푸른색에는 풍부한 미네랄이 함유돼 있다. 따라서 색깔은 에너지
형태
로 살아 움직이며 영양소를 공급하고 역동적으로 인체의 정서나 신체를 균형있게 유지시키거나 복원시킨다. 색깔마다 다양한 치료 효과색깔을 이용해 치료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방을 어둡게 한 후 필요한 ... ...
말레이시아 시파단섬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맑다. 따라서 스킨스쿠버들에게는 낙원이나 다름없다.시파단섬은 잎사귀가 커다란 원시
형태
의 활엽수림이 뒤덮고 있다. 그리고 물속에는 얇은 산호층이 형성돼 있다. 이곳은 앵무거북과 청거북 등의 보호지역으로 1년 동안 연중무휴로 알을 낳기 위해서 뭍으로 올라오고 있다.시파단섬을 찾아가는 ... ...
정보고속도로운행증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점))으로 치러진다. 2차는 실기시험(전문검색사)이나 면접시험(시스템관리사, 정보설계사)
형태
로 치러진다. 면접시험에서는 인터넷 관련 실무경험에 대해 가산점을 부여한다. ■ 향후 전망인터넷인증시험은 이제 처음 실시되는 단계이기 때문에 이렇다할 평가를 내리기에는 이른감이 있다. ... ...
② 자연요법7: 향기요법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향기요법은 부분적이나마 외국의 것보다 더욱 발전된
형태
라 볼 수 있다.정유를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세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목욕법이다. 불면증에 시달리거나 피로가 누적됐을 때 효과가 좋다. 따뜻한 물을 욕조에 받고 8방울 정도의 자소유를 떨어뜨린 후 몸을 ... ...
② 자연요법7: 카이로프랙틱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구조와 기능을 살펴보자. 인간이 어머니 배속에 있을 때 척추는 C자형으로 뒤로 굽은
형태
(후만곡)를 이룬다. 그러다 생후 3-4개월이 지나 머리를 가누게 되면 목에 한개의 만곡이 더 생기고, 생후 1년 쯤 지나 걷기 시작하면 허리에 세번째의 만곡이 생긴다. 그래서 옆에서 보면 세개의 C자형 만곡이 ... ...
① 복잡성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세포분화를 체계적으로 설명한 학자는 프랑스의 자크 모노이다. 모노에 따르면, 세포의
형태
가 서로 다르게 분화되는 까닭은 유전자의 활동 패턴이 서로 다르게 조절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카우프만에게는 모노의 이론이 새로운 궁금증을 갖게 했다. 사람의 게놈은 약 10만개의 유전자로 구성된다. ... ...
2. 현대 통일장이론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밀려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 시작했다.그러나 1995년 말 이러한 다섯 가지 다른
형태
의 끈이론이 모두 끈이론보다 차원이 하나 더 높은 곡면이론에서 나온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제2의 혁명을 맞게 됐다. 이 제2의 혁명으로 참된 통일장이론은 끈이론이 아닌 2차원 면이론(membrane theory ... ...
이전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