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자리
지위
곳
소재
거주지
처지
d라이브러리
"
위치
"(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이 풍기는 성적 냄새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피지선과는 달리 특정한 부위, 이를테면 털이 특별히 집중된 겨드랑이와 사타구니에
위치
한다. 아포크린샘의 분비물은 처음에 별다른 악취가 없지만 피부의 박테리아가 작용하면 몇시간 뒤에 오줌 냄새를 풍기게 된다.어쨌거나 겨드랑이에서 나오는 냄새는 연인들을 황홀하게 만드는 수단으로 ... ...
메두사를 쓰러뜨린 영웅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실제로 서로 4백광년이나 떨어져 있다.M34베타별 알골과 안드로메다자리 감마별 중간에
위치
한 산개성단이다. 밝은 별들이 많고 넓게 퍼져 있어 날씨가 좋으면 맨눈으로도 찾을 수 있다. 보름달만한 공간에 70여개의 8-10등급의 별들이 모여 있다 ... ...
생활속의 '야누스' 정전기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현대 문명을 이끄는 수레바퀴 노릇을 하게됐다.코로나 방전공기중에서 두 도체간에 전
위치
를 주어 불꽃방전을 시킬 때 불꽃이 나기전에 두 도체의 표면 부근에 전류가 통하는 상태. 어두운 곳에서 보면 특히 모퉁이나 뾰족한 데가 빛나 보인다. 공기 중의 이론이 움직임으로써 일어나는데 피뢰침은 ... ...
21세기 길라잡이 GPS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상용화된 CDMA방식의 PCS는 GPS를 이용해 기지국간의 시각동기를 행하고 있다. GPS는
위치
정보와 시간정보가 필요한 곳이면 어디서나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통신망과 지리정보시스템과 결합하면 수많은 새로운 응용분야가 탄생할 것이다. GPS는 21세기 정보통신사회의 새로운 길잡이가 될 것이다 ... ...
화성운하의 진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화성이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
인 충일 때(지구를 중심으로 태양과 화성이 정반대의
위치
에 있을 때) 화성 표면을 정밀하게 관측했다. 그 결과 화성표면에는 힘줄처럼 생긴 것이 있음을 확인했다. 그는 이것을 '카날리'(이탈리아말로 '해협'이라는 뜻)라고 불렀다. 그가 본 카날리는 때에 따라 ... ...
다이어트 거울로 날씬한 몸매를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한다. 볼록 거울에 맺히는 상온 똑바로 선 허상이며, 항상 실물보다 작고, 물체
위치
에 상관없이 허초점과 거울사이에 생긴다(그림2).볼록거울을 이용한 것이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이다.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에 비치는 상은 항상 실물보다 작게 보이고, 가깝게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볼록거울은 ... ...
Ⅰ. 대피라미드와 돌항아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정밀가공의 신비 피라미드 돌 무게 6백만t이상이집트 나일강 삼각주 정점에
위치
한 기자 지역에 세계 최고(最古), 최대 규모이면서 가장 정밀한 석조 건축물이 우뚝 서있다. 주류 고고학계에서도 4천5백여년 전에 건축됐다고 인정하는 이 건축물이 과연 그 옛날 석기와 청동기만을 사용했을 ... ...
열과의 전쟁, 실내 온도 60°C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자동차 실내에서 흡수한 열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응축기는 보통 라디에이터 앞에
위치
하고 있다. 따라서 에어컨이 가동되고 있을 때에는 라디에이터의 성능이 떨어진다. 에어컨의 성능은 냉각장치와 마찬가지로 주행할 때가 정차해 있을 때보다 월등하게 좋다. 또한 압축기가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 ...
1. 러시아 현지취재 우주왕국은 무너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벗는 세계의 우주기지세계 우주개발의 심장부는 오랫동안 베일에 가려져 있었다. 그
위치
와 발사 내용은 정치ㆍ군사적으로 일급비밀이었기 때문이다. 우주기지들은 얼마전까지만해도 첩보위성의 도움으로 겨우 확인되는 정도였다. 그런데 최근 상업용 로켓 발사시장이 커지면서 우주기지들은 ... ...
Ⅲ. 초고대 지도의 정체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오지가 그려져 있으며, 현재 얼음에 덮힌 남극 대륙도 그려져 있다. 또 위도와 경도의
위치
가 근대에 사용되는 것과 놀라울 정도로 일치한다.16세기는 남극에 대륙이 있다는 사실조차 알려져 있지 않았을 때인데, 1km도 넘는 얼음 두께 아래의 모습을 어떻게 그릴수 있을까. 과연 누가 그것을 ... ...
이전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5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