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응
반향
응답
효과
작용
공감
반동
d라이브러리
"
반응
"(으)로 총 5,19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내린 지역을 식별할 수가 있었는데, 이것은 비에 젖은 식물의 영상이 카메라에 다른 색
반응
을 주었기 때문이었다. 이로부터 가시광(可視光)과 적외선(赤外線)에 의한 화상(畵像) 관측기술등 새로운 관측기술이 많이 개발되었다. 이중 특히 가시적외선 화면은 사람의 눈으로는 식별할 수 없으나 ... ...
시베리아에서 있은 폭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폭발은 세계 어느 곳에서나 발견되는 대기의 파동을 일으켰다. 그러나, 그것은 운석이
반응
하는 방식치고는 아주 이상한 것이었다. 돌이나 금속은 공중에서 그처럼 폭발하지는 않는다. 만약 그것이 돌이나 금속이 아니었다면 또 보통의 운석이 아니었다면 무엇이겠는가? 아마 직경이 약 3백피트 ... ...
미국, 우주에 핵
반응
기 설치 계획추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이용하는것보다 훨씬 강력하고 간편하다는점을 내세우고 있다. 미 연방정부는 이미 핵
반응
기의 원형을 만들기 위해 '제네랄 일렉트릭'사와 수백만 달러의 계약을 맺었다. 연방정부는 또 보다 경제적이며 효율적이라는 이유로 핵추진로켓의 개발도 추진하고 있으며 이 일은 '로스 알라모스' ... ...
세계에서 처음으로 실용화 성공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충·방전성이 높고 용량이 3배나 되며 수명도 길다.도전성 폴리머의 실용화로 광화학
반응
촉매, 다이오드, 각종 센서 등에의 응용의 길이 열리게 되었다 ... ...
이상한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덥히는 것은 바로 마이크로파의 열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이 문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
하고 있는 미국은 지난해 전파의 환경기준을 세워 놓고 있다. 즉 동물실험을 통해 체중 1kg당 4W의 전파를 쏘이면 체온이 1℃ 상승하는데, 그 10분의 1의 강도를 안전기준으로 정한 것이다. 열효과를 이야기할때 ... ...
정부와 학계의 견해,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효과를 볼 수 있으면서도 불과 70여만원에 불과한 CCD를 사서 무엇에 쓰겠느냐'는 냉담한
반응
을 보일뿐이었다. C교수는 이들 관계자들이 거대과학 첨단과학 극한과학등 듣기에도 거창한 가시적 생산물에만 몰두해 있다는 사실에 아연실색할 수 밖에 없었고 때론 스스로도 과연 천체과학이 무슨 ... ...
황금과 불로장생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변환시킨 역사적인 실험이었다. 특히 1934년 퀴리부처는 알루미늄에 α입자를 충돌시켜 핵
반응
을 일으켰다. 이 때 자연에 존재하는 것과 꼭 같은 방사성 원소 즉 인공 방사성원소가 생겼다. 그 뿐만이 아니다. 우라늄235는 중성자에 의해서 두 개로 나눠지면서 스트론튬${}^{90}_{38}Sr$과 크세논${}^{144}_{54 ... ...
실용성있는 전기보트 등장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전기자동차와 마찬가지로 전기보트가 등장 했던것은 금세기초의 일이다. 그러나 곧 자취를 감추게 됐는데 그것은 배터리나 모터가 너무 무겁고 에너지 소 ... 전혀 일으키지 않고 진동이 없으며 또 무엇보다 소음이 아주 적어 이상적이라는
반응
을 보이고 있다. 회사는 곧 대량생산을 할 ... ...
혈액검사를 3분반 동안에 해내는 새로운 장치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30ml를 주입한다. 원반은 고속으로 회전하여 원심분리한 혈장을 차례대로 시약과 혼합
반응
시킨다. 결과는 광학적으로 측정되어 프린터로 찍혀나온다. 시약은 검사목적에 따라 48종 중에서 자유로 선택할 수 있다. 현재까지는 분석에 시간이 걸렸으나 새 장치는 진료중에 바로 검사결과가 ... ...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여러가지 효소를 조합해서 복잡한 화학
반응
을 쉽게 일으키게 하는 바이오리액터 즉 생물
반응
기 ⑤ 기존의 단백질을 좀 더 개선하여 우수한 단백질을 만들어 냄으로써 새로운 약품뿐만 아니라 반도체로도 활용가능케 하는 프로테인 엔지니어링 즉 단백질 공학이 그것이다. 생명공학의 대표적인 ... ...
이전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