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d라이브러리
"
몸
"(으)로 총 7,52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 천재 이렇게 탄생했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입학한다. 한편 한태웅의 라이벌인 김정규(이선호 분)는 어려서부터 주변의 기대를 한
몸
에 받았던 천재 소년이었다. 이 둘은 첫 번째 수학 시간부터 은근히 경쟁한다.둘의 경쟁심을 부추기는 장면에서 제시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실수에서 정의된 함수가 모든 실수 x, y에 대해 $f(x+y)=f(x)+f(y)$를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않으므로 임상 검사를 다시 받아야 한다.기계도 사람
몸
처럼 진단X선을 이용해 사람의
몸
속을 들여다본다면 기계에도 이용할 수 있지않을까. 비파괴검사는 X선을 사용해 기계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찾아 낸다. 송유관처럼 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없는 곳에 구멍이 나면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 ...
DAY 5-6 지구 궤도 진입 10분, 도착은 48시간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보호된다. 캡슐의 한쪽 끝에는 대형 창을 만들어 우주공간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벽에는
몸
이 떠다니지 않도록 하는 접착장치도 마련돼 있다.토끼 외계인이 사는 천체, 달영화 ‘미션 임파서블’의 주인공 톰 크루즈도 5년 뒤에는 달에 있는 자기 땅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의 기업가 데니스 호프는 ... ...
열은 내
몸
의 수비수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열이 나면 사람들은 해열제를 먹는다. 체온이 높아지면 세포가 손상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열이 나는 증상이 세포에게 나쁘기만 할까.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병균과 싸워야 하는 면역세포에게 열은 유익한 존재다.미국 로스웰파크 암센터의 면역학자 샤론 에반스 박사는“열은 병균이 침투한 부 ... ...
달콤함 뒤의 쓴맛 '시차적응'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해외여행 뒤 찾아오는 불청객 ‘시차적응’. 시차를 경험하면 불면증, 두통으로
몸
이 피로해진다.미국 버지니아대 진 블록 박사팀은 사람이 지속적으로 시차를 경험하면 건강을 해치는 것은 물론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고 영국 생물학지‘커런트 바이올로지’인터넷판 11월 6일자에 발표했다 ... ...
체온 낮추면 수명 늘어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형질전환 쥐의 수명이 길다.또 다른 수명연장 비법은 적절한 자극이다. 작은 스트레스가
몸
에 좋은 효과를 주는 현상을‘호메시스’(Hormesis)라고 한다. 예를 들면 꼬마선충과 초파리에게 일시적으로 열충격을 줬을 때 수명이 증가하는 경우가 있다. 열충격으로 과발현된 HSP1유전자가 수명연장에 ... ...
DAY1 '골리앗' 최홍만이 신체검사 불합격?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있으면 치명적이다. 우주로 가거나 지구로 돌아올 때 심장이나 폐 등의 기관에는 자기
몸
무게보다 최고 8배가량 큰 힘이 걸리기 때문에 임무를 수행해야 하는 우주인은 아무리 작은 위험 요소라도 원천봉쇄하는 것이다.맹장염을 앓은 사람은? 공군 항공우주의료원 임정구 진료부장은 “맹장 수술을 ... ...
취향 따라 골라 입는 패션 우주복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주름장식을 달아 천이 팽창할 수 있도록 하거나 소매에 소형 공기추진 장치를 달아
몸
이 떠 있을 때 움직이는 방향을 바꿀 수 있도록 했다.패션쇼를 관람한 사람들은 옷 맵시와 기능을 동시에 살린 ‘패션 우주복’에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한편 좁은 우주선 안에서 입어야 한다는 사실을 ... ...
DAY 7 잠 못드는 우주의 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대류 현상이 없어 땀과 침 등 체액이 증발하지 않고 우주 공간에 둥둥 떠다니므로
몸
이 쉽게 축축해진다. 우주여행과 양자물리학에 로맨스를 가미한 소설 ‘비행’(Flight)의 저자인 미국의 배너 본타는 남편과 함께 무중력 비행 시뮬레이션을 경험한 뒤“키스조차 쉽지 않았다”고 밝혔다. 서로 ... ...
자연에서 얻는 공학적 영감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나노섬유거미는 거미줄 단백질이 모여 있는 실샘에서부터 긴 관을 거쳐 방적돌기를 통해
몸
밖으로 고체 상태의 거미줄을 뿜어낸다. 후미진 곳에서 하찮게 보이는 거미줄이 강철보다 5~10배 강하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인공 거미줄을 대량 생산하는데 거미줄 성분의 단백질을 합성하고 ... ...
이전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