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시
같은시기
동기
d라이브러리
"
같은시간
"(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름다운 올림픽 챔피언 몸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2008 베이징올림픽은 ‘신기록 올림픽’이었다. 세계신기록 43개에 올림픽기록이 126개나 쏟아졌다. 특히 미국의 마이클 펠프스가 ‘펠피시’(Phelfish)처럼 헤엄치며, 자메이카의 우사인 볼트가 ‘총알 탄 사나이’처럼 내달리며, 한국의 장미란이 ‘여자 헤라클레스’처럼 들어 올리며 세계신기록을 ... ...
조선해양공학 인재 키우는 인큐베이터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신동호1학년 회원인 ‘신동호’씨 이름을 따서 붙였다. 자전거처럼 페달을 밟아 앞으로 나아가는 인력선이다.‘연인 자전거’처럼 앞뒤 선수가 호흡을 맞춰 페달을 밟아야 한다.프로펠러알루미늄 합금의 하나인 ‘두랄루민’으로 만든다. 원하는 방향으로 배가 나가도록 정밀히 만들어야 하기 때 ... ...
국제학회에선 국가대표 선수처럼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서울대 조선해양공학과에 입학한 뒤 필자는 한국 조선 산업의 발전을 위해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는 사람이 되기로 마음먹었다. 하지만 머릿속엔 막연한 생각만 있을 뿐 구체적인 계획은 없었다. 그런데 2004년 여름, 미국 MIT에서 부임한 김용환 교수님과의 만남은 이런 꿈을 구체화시키는, 힘들지만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 입시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의 비중이 커지고 문제 유형 또한 바뀌고 있다. 출제가능성이 높은 예상문제를 풀어봄으로써 실전감각을 길러두자. 수학 1. 무게가 1g에서 ng까지 n개의 돌을 한 줄로 쌓으려고 하는데 무게가 kg인 돌의 바로 위에는 (k+2)g이하의 무게를 갖는 돌 ... ...
누드달걀 과학 노트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천연세제로 쓰이는 달걀껍질요즘 미국에 ‘슈퍼푸드’ 열풍이 분다고 한다. 슈퍼푸드란 맛있고 쉽게 구해지며 수세기에 걸쳐 영양가가 입증된 음식이다. 슈퍼푸드로 10가지 정도 음식이 소개됐는데 이번 글의 주인공인 달걀도 그 중 하나다.영양학 권위자인 스티븐 프랫 박사에 따르면 달걀에는 구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이 곳은 자칭 천재 발명가 몬만드러 박사의 연구실. 지금 몬만드러 박사는 세상을 크게 바꾸어 놓을 발명품을 만들고 있다고 한다. 어떤 발명인지 궁금하지 않은가? 잠시만 기다리시라. 곧 깜짝 놀랄 만….“펑! 와르르~.”아니 이게 무슨 소리지? 그 순간 청천벽력같은 소리가 울려 퍼진다.“아이구~ ... ...
피아노 건반을 사랑한 물리학자 김지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쇼팽을 좋아합니다. 작품마다 풍부한 감수성이 배어 있으니까요.”그랜드 피아노와 드럼이 있어 저녁 시간에는 연주도 감상할 수 있다는 대전의 한 레스토랑에서 만난 LG화학기술연구원 정보전자소재연구소 김지수 박사는 턱시도 차림으로 피아노 앞에 앉았다.익숙한 곡을 들려달라는 기자의 부 ... ...
로지스틱 곡선으로 보는 성장모델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자연계논술에는 소재는 달리하면서 자주 출제되는 주제가 많다. 이번에 다룰 ‘로지스틱 곡선’은 보통 S-곡선이라고 불리며 특정 환경 속에서 개체수 변화를 나타낼 때 자주 이용된다. 벨기에의 수학자 베르휼스트가 1838년에 인구증가과정의 법칙을 설명하면서 이 원리를 밝혀냈다. 이 곡선의 배 ... ...
“스르륵~”스스로 지워지는 종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종이에 쓴 글씨가 저절로 사라지는 마법 같은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미국 제록스사는, 16~24시간이 지나면 종이에 인쇄된 내용이 저절로 사라지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제록스사의 연구팀은 특정한 빛의 파장을 흡수하면 색이 변하며 점차 사라지는 화합물질을 이용해 종이를 만들고, 이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1993년 양자 원격전송에 관한 개념을 처음으로 발명했다.그 순간을 기억하는가?나 혼자 발명한 것이 아니다. 사실은 동료 6명의 합작품이다.내 이름이 알파벳 순서에서 맨 앞에 있기 때문에 ‘득’을 많이 본다(웃음). 어쨌든 그 순간은 굉장히 재밌었다. 1992년 가을 윌리엄 우터스 박사(6명 중 한명이 ... ...
이전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5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