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훗날"(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대학에서 실패한 과학자, 세상을 구하다2021.09.09
- 가격에 게리 달이라는 연구기자재 납품회사의 대표에게 팔아치운다. 그리고 이 회사는 훗날 셀스크립트가 된다. 대학이 카리코의 특허를 팔아치운 몇 주후에, 현재 코로나19 mRNA 백신의 양대 산맥이 된 모더나사에 거대한 금액을 투자한 벤처캐피탈이 카리코에게 연락을 해왔고, 특허를 구매할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우주의 '괴물' 블랙홀2021.07.22
- 정도이다. 이를 톨만-오펜하이머-폴코프 한계라고 부른다. 여기 등장하는 오펜하이머는 훗날 미국의 핵무기 개발계획인 맨해튼 프로젝트의 과학 분야 책임자로 활동하며 명성을 날리게 되는 인물이다. 맨해튼 프로젝트(Manhattan Project)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미국이 주도하고 영국과 캐나다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2021.07.13
- 두개골을 발견했다. 1929년 베이징에서 고인류 두개골이 발견돼 큰 화제가 됐기 때문에(훗날 호모 에렉투스로 분류된 베이징원인이다) 인부는 두개골을 일본인에게 빼앗기지 않으려고 잘 싸서 사용하지 않는 우물에 빠뜨렸다. 일본이 물러난 뒤 공산화와 문화혁명 등 극심한 혼란이 이어지자 일본에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휘어지는 빛2021.06.11
- 상상해 볼 수도 있겠다. 물론 과학계 전체로 보자면 에딩턴이 성공하지 못했더라도 훗날 누군가는 다른 일식에서 아인슈타인의 주장을 결국에는 검증했을 것이다. 실제 1919년 이후에도 일식을 이용한 검증 사례는 많았다. 다만 누가 언제 일식탐사에 성공했느냐, 그래서 어떻게 일반상대성이론을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코로나 시대'의 보통과학자 그리고 과학지식인2021.06.03
- 지식을 기반으로 사회의 변화와 진보를 위한 사상을 도출해낸 사상가이기도 했다. 훗날 버널과 니덤 그리고 홀데인 등은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에 대한 지지를 했다는 이유로 영국사회에서 크게 탄압받았고 니덤은 중국으로 건너가 과학자의 삶을 포기하고 《중국의 과학과 문명》이라는 엄청난 ... ...
- [인간 행동의 진화] '남 잡이가 제 잡이'2021.05.30
- 잘 해주더라도 헤어지는 편이 낫다. 힘을 합쳐봐야 사이좋게 배를 곯는 상황이라면, 훗날을 기약하며 각자의 길로 떠나야 한다. 협력의 이득이 아주 크지도, 아주 작지도 않다면 상황이 묘해진다. 협력을 하는 쪽이 유리하지만, 살짝 속여서 이득만 가로채는 편이 더 유리하다. 아마 이런 상황이라면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언론 왜곡으로 잊혀진 페니실린 탄생의 진짜 주역들2021.05.20
- 받은 과학자다. 그는 록펠러대에서 우연히 세균학자 오즈월드 에이버리를 만나, 훗날 에이버리가 유전물질이 DNA임을 밝히기 위해 사용했던 폐렴구균과 관련된 연구를 함께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듀보스는 토양미생물에서 폐렴구균의 다당류 코팅을 벗기는 물질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 물질이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아인슈타인의 생애 가장 행복했던 생각2021.04.29
- ’이다. 등가원리란 한마디로 관성력과 중력이 동등하다는 원리이다. 아인슈타인은 훗날 “생애 가장 행복했던 생각(the happiest thought of my life)이었다"고 회고했다. 관성력이란 가속 운동 때문에 생기는 가상의 힘이다. 버스가 갑자기 출발하면 몸이 뒤로 젖혀진다거나 모퉁이를 돌 때 바깥으로 ... ...
- [인터뷰]"문제 빨리 푸는 것보다 논리적 해결력이 더 필요한 시대"2021.04.18
- 고민을 하면서 생각을 하는 훈련을 해야 된다는 점이다. 나는 이것이 도움이 많이 됐다. 훗날 연구를 할 때도 문제를 풀고 고민을 하던 것이 훈련이 돼서 이것저것 생각해보고 다른 것을 시도하는 경향이 있었다. 아쉽게도 요새 학생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하면 이런 기회를 잡기 어려운 것 같다. Q.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스타 과학자의 장례식과 과학의 진보2021.04.08
- 학문 연구에만 집중하자는 의미로 이런 비밀 모임을 만든 것이다. 보이지 않는 대학은 훗날 영국왕립학회의 모태가 되었고, 이후 근대적 의미의 과학 학회의 성격에 큰 영향을 미친다. 즉, 과학자사회가 성립된 원형적인 학회의 모습 속에는, 현실정치로부터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규범이 있었음에도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