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이
간격
여가
틈새
거리
겨를
짬
스페셜
"
틈
"(으)로 총 119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 화학 연구실에서 탄생한 부드럽고 정교한 인공근육
동아사이언스
l
2021.01.14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갖는 전도성 고분자를 합성하는 새로운 방법이다. 얼음사이의 크랙(
틈
)을 반응기로 이용해고분자를 만들려고 시도하던 중 우연히 단량체가 코팅된 얼음 표면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을 띄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러한 색깔은 단량체가 전기를 통할 수 있는 수준의 고분자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DNA의 이중나선 구조
2021.01.07
경로의 차이 때문에 최종적으로 간섭을 일으켜 생기는 현상이다. 이는 고전적인 빛의 두
틈
실험과 기본적으로 같은 원리로서 격자들 사이의 간격이 엑스선이라는 전자기파의 파장과 비슷할 때에 잘 생긴다. 로렌스 브래그는 엑스선의 경로차에 따른 간섭조건을 이용해 이웃한 격자에서 반사된 ... ...
[소재의 미래]⑻이산화탄소는 에틸렌으로, 산소는 전기로…‘꿈의 전기차’ 향해 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6
이용해 수십 초 만에 충전 가능한 기술도 개발했다. 소듐이온 하이브리드 전지, 원자
틈
을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에틸렌으로 전환하는 전기화학 촉매, 공기 중 산소로 충전되는 리튬-공기 배터리 에너지 저장 소자 등 그간 친환경 배터리 기술의 혁신을 이끌어왔다. 강 교수는 “온실가스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힘든 연말을 버티는 방법
2020.12.19
되면 이 날만을 기다렸다는 듯 다시 활짝 피어난다. 어떤 형태라도 좋다. 작으면 작은
틈
새에서, 힘이 없다면 힘 없이 웅크린 채로 최소한의 생명 유지 활동만 하는 것도 좋다. 또 다시 다가온 겨울과 싸우기보다 가급적 힘을 아끼고 정신적인 소모라도 줄이는 것도 좋겠다. 여느 때보다 힘든 연말을 ... ...
[소재의 미래]⑸전 세계 전기 자동차가 선택한 궁극의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0.12.16
틈
으로 들어온 전해질은 반응성이 큰 니켈과 반응을 일으켜 양극재의 용량을 낮추고,
틈
이 생긴 만큼 양극재의 열화가 빨라진다. 리튬 이온이 들어올 공간이 부족해지므로 배터리 용량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이 문제를 극복한 방법을 묻자 선 교수는 장작 더미와 돌멩이 더미를 예로 들었다. 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잘못된 정보에 휘둘리지 않으려면
2020.12.05
사람들에 비해 이상한 말들에 넘어가는 모습을 ‘덜’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약해진
틈
을 타 나를 휘두르려고 하는 이상한 손길들에 대해 대항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아마도 제정신인 나를 회복하는 것일 거다. 주변의 영향력에 가벼이 휩쓸릴 것 같을 때, ‘내가 진짜 어떤 사람인지’ 또 ... ...
한빛 5호기, 원자로 헤드와 관통관 불량 용접재 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9
삽입할 때 쓰는 삽입 통로다. 원자로 헤드에는 냉각재가 들어 있어 헤드와 관통관 사이에
틈
이 없도록 용접을 통해 꼼꼼히 메우는 게 필수다. KINS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관통관과 원자로 헤드를 잇는 용접재로는 강도와 가공성이 뛰어난 니켈 베이스 합금인 ‘인코넬690’을 사용하게 하고 ... ...
발 디딜
틈
없이 빽빽…서울 대신 지역으로 '핼러윈 풍선효과'
연합뉴스
l
2020.11.01
대전 서구 둔산동 번화가도 분위기는 비슷했다. 서울 유명 클럽 임시 휴업을
틈
타 소셜미디어를 통해 업소 홍보를 했던 일부 클럽과 헌팅포차 앞에는 젊은이들이 삼삼오오 모여 입장을 기다렸다.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핼러윈 데이인 31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 거리 모습. 2020. ... ...
가볍고 튼튼한데 잘 늘어난다…이런 스테인리스 강은 처음
동아사이언스
l
2020.09.23
크다”며 “스텐인리스강이 1910년대 처음 개발된 뒤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 만
틈
경량 스테인리스강도 다방면에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토성 달 '엔켈라두스' 북반구에도 바닷물로 형성 새 얼음 흔적
연합뉴스
l
2020.09.21
것으로 해석됐다. 연구팀은 북반구를 덮은 새 얼음이 얼음 알갱이 분출이나 얼음 사이
틈
으로 바다의 얼음이 표면으로 서서히 밀고 올라오면서 형성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토비 연구원은 "적외선은 남극 주변의 얼음 표면이 형성된 지 얼마 안 된 것이라는 점을 보여줬는데, 이곳에서 얼음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