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윤
삼출
관통
침탄
침입
삼투
잠입
스페셜
"
침투
"(으)로 총 40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우리 몸은 왜 향기 분자를 만들까
2022.04.19
받으면 지방산 분자가 과산화되면서 쪼개져 옥타날이 만들어진다. 인체에
침투
한 바이러스와 전투를 벌이는 과정에서 세포도 엄청난 산화스트레스를 받을 것이므로 날숨의 옥타날 농도가 높아진다는 게 말이 된다. 그런데 지난 1월 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혈액에서 소위 나쁜 ... ...
코속에 뿌리는 코로나 치료제가 온다…모든 변이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2.04.15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결합을 유지하면서 스파이크 단백질의 인체
침투
를 위한 ACE2 수용체와의 결합을 막는 것이다. 특히 연구진이 개발한 미니바인더는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에도 효과를 유지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개발한 항바이러스 스프레이 치료제의 기반이 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인류는 밀 부족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까
2022.04.05
세포 표면의 에이스2 단백질을 인식해
침투
한다는 사실을 떠올려보라. 바이러스가
침투
하라고 에이스2가 있는 게 아니듯이(효소로 나름 기능이 있다), MLO 역시 식물체에서 역할이 있을 것이다. 실제 흰가루병 저항성을 얻기 위해 MLO 유전자가 고장난 작물 육종이 활발히 이뤄졌지만, 수확량이 ... ...
[프리미엄 리포트] 오미크론, 팬데믹의 마지막 주자일까
과학동아
l
2022.04.02
인식해 항체를 만들어낸다. 만약 스파이크 단백질의 모양이 다른 변이 바이러스가
침투
하면 항체의 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자연스레 델타, 오미크론 변이에 맞는 차세대 백신에 대한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올해 1월 제약사인 화이자와 모더나는 오미크론 기반 백신을 접종하는 임상시험을 ... ...
코로나 감염 후 백신 맞으면 면역력 빠르게 정점 도달…면역기억도 장기간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2.03.30
혈액을 채취해 중화항체가를 분석했다. 중화항체는 코로나19 바이러스 등 병원체가 체내
침투
했을 때 이를 중화해 방어하는 항체를 말하며, 항체의 양을 중화항체가로 나타낸다. 이를 통해 백신의 효과를 가늠할 수 있다. 연구팀이 코로나19에 감염된 사람과 감염되지 않은 사람의 백신 접종 뒤의 ... ...
임신중독증·태아발육 지연 빠르게 진단하는 AI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22.03.16
전자간증의 원인이 태아 착상 이후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영양막 세포가 모체 내로 잘
침투
하지 않아 태반의 혈류공급에 장애가 생긴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태반 또는 태반 내 혈관들이 작으면 전자간증과 태아 발육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초음파로 태반의 작은 혈관까지 모두 ... ...
첫 임상3상 돌입한 면역조절제 방식 국산 코로나 치료제 새 기대주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3.14
반응 치료를 목표로 한 치료제로 개발중”이라고 밝혔다. 사이토카인 폭풍은 인체에
침투
한 바이러스에 대응하기 위해 면역물질인 사이토카인이 과다하게 분비해 대규모 염증 반응이 발생하면서 세포나 조직을 파괴하는 현상이다. 샤페론은 동물실험을 통해 누세핀이 사이토카인 폭풍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22.03.08
CSF)은 정맥(artery)과 별아교세포(astrocyte) 사이의 공간으로 흐르며 뇌세포 사이의 공간으로
침투
해 노폐물을 쓸고 가 정맥(vein)과 별아교세포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 뇌 밖으로 빠져나간다(왼쪽). 나이가 들어 수면 장애로 글림프 시스템이 부실해지면 아밀로이드베타(amyloid-베타) 같은 노폐물 ... ...
인공 뇌·혈뇌장벽 칩 구현한 조승우 연세대 교수 3월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2.03.02
장기 칩을 구현하고 뇌 염증을 유발하는 병원성 곰팡이균의 감염 실험을 진행해 균의 뇌
침투
기전 및 관련 유전자 규명에 성공했다.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이렁’ 2021년 8월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조승우 교수는 “연구성과는 줄기세포와 조직공학 기술을 융합해 ... ...
“일상회복 위한 4차접종 불필요할지도”...3차 접종으로 면역력 입증 연구 잇따라
동아사이언스
l
2022.02.22
다른 변이를 억제하는 능력보다 약 80% 더 강했다. 오미크론 변이는 바이러스가 인체
침투
시 활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30여개 이상의 변이가 발생해 알파나 베타 등 다른 변이보다 더 많은 변이가 일어났다는 점을 감안할 때 미래에 등장할지 모르는 변이에 대해서도 T세포가 강력한 공격을 할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