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무
부담
책무
담당
임무
가중
맡은이
스페셜
"
책임
"(으)로 총 134건 검색되었습니다.
첫 걸음을 뗀 방사선 안전 파수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8
김미숙 원자력의학원 방사선의학정책센터 센터장, 박철형 연세대 상담코칭지원센터
책임
연구원, 임창선 건양대 방사선학과 교수가 토론 패널로 참석했다. 행사를 주관한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의 김호성 이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앞으로 방사선은 의료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 ...
공감 능력이 없는 반사회성 인격장애, 어떻게 봐야 할까?
KISTI
l
2015.03.31
처벌 일변도가 아닌 사전 예방을 같이 고려할 필요가 있다. 늘어나는 반사회적 사건에 대한
책임
을 개인에게만 돌리지 않고 사회 전체가 고민할 때이다. ... ...
고효율 자가발전 연료전지 성능 UP!
2015.02.27
수 있는 신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서부센터 한옥희
책임
연구원팀은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UC산타바바라) 한송이 교수팀과 공동으로 연료전지의 전해질막으로 주로 사용되는 ‘나피온(Nafion)’이라는 물질의 성질을 처음으로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 ...
독일 녹색기술 경제와 제조업 4.0
2015.02.26
‘Green Report’는 세계 녹색기술 동향을 소개하는 코너로, 이번 호에서는 독일 환경부에서 발간한 보고서 ‘GreenTech made in Germany 4.0’에 대해 다룬다. 독일에서는 녹색기술과 관련한 세계 시장규모 전망, 기술 및 산업 동향 등을 분석하는 ‘GreenTech made in Germany’를 정기적으로 발행하고 있다. 2009년 ... ...
즐기다 보니 우수연구원 됐다
IBS
l
2015.02.24
있는 조건은 그대로다. 다만 연구비가 많아지고 인력이 늘어나니 그만큼 더 해야 한다는
책임
감과 부담감은 커졌다. 모든 것이 다 만족스러울 수만은 없는 모양이다. "IBS에 합류한 후 단기적 성과에 집착하기보단 남들이 못하는 새로운 것을 해달라는 요구를 받았습니다. 그것과 동시에 많은 ... ...
광우병 소고기, 가짜 건강식품 한 번에 찾아낸다
2015.02.23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기초지원연) 이광식·황금숙
책임
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3년간 총 6억 원을 투자해 기존 식품 분석 방법보다 한층 정확도를 높인 새로운 복합분석법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지금까지 식품 원산지를 분석할 때는 ‘동위원소분석법’을 ... ...
[Green Lab_현장탐방] 음식물쓰레기에서 자동차연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5.01.30
플랜트를 설비할 수 있는 부지가 한정된 경우에는 막 분리법이 큰 도움이 된다. 김정훈
책임
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실증 실험에서 98% 순도의 메탄가스를 95% 정도 회수하는 데 성공했다. 김정훈 연구원은 “98%의 순도면 자동차연료와 도시가스로 쓸 수 있다”고 말했다. 막 분리법에 사용되는 ... ...
양파 먹인 광어가 ‘쵝오’에요!
2015.01.26
김두운 전남대 식품공학과 교수팀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최종순, 권요셉
책임
연구원 팀은 양파에서 찾아낸 천연물질로 겨울철 광어의 새끼인 치어의 생존률을 6배 이상 높였다고 21일 밝혔다. 광어 떼죽음의 원인은 출혈성 패혈증 바이러스(VHSV). 이 바이러스는 광어에게 널리 유행하는 ... ...
겨울철 식중독 단골 바이러스, 1시간 만에 검출
2014.12.26
● 슈퍼박테리아도 바이오마커로 30분 만에 확인 김승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책임
연구원은 슈퍼박테리아(다제내성균)인 ‘아시네토박터 바우만니(Acinetobacter baumannii)’가 어떻게 항생제를 무력화시키는지 7년째 연구 중이다. 폐렴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하는 환자의 10%가 이 세균에 의한 것이며 ... ...
아프리카 말라위 토양 분석해 인류 지능의 기원 캔다
2014.12.19
종류를 확인하면 문화 전파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정연중 환경과학연구부
책임
연구원은 “우리나라 안에서도 크게 네 지역에서 동위원소가 다르게 나타날 정도로 납은 지역차가 크다”며 “2012년에는 ‘에밀레종’으로 널리 알려진 성덕대왕신종의 재료로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 채굴한 것이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