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발전
성장
향상
전개
발육
화재진압
스페셜
"
진화
"(으)로 총 907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행동의 변화를 관찰했다. 유전자의 개체군 분석을 통해 이들 유전자가 어떻게
진화
해왔는지 살폈다. 분석 결과 짝짓기 상대로 붉은색 날개 패턴을 선호하는 멜포메네와 티마레타는 선명한 붉은 날개를 가진 상대를 발견했을 때 동일하게 특정 유전자가 높은 수준으로 발현됐다. 흰 날개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에너지원으로 저장하고 그 뒤(장일의 후반부)의 광합성 산물을 성장에 투자하는 전략을
진화
시킨 결과로 보인다. 기후변화로 인해 작물의 생체리듬을 분석해 최적의 시간대에 자원을 투입해 수확량을 늘리는 시간재배(chronoculture)가 주목받고 있다. 최근 빛이 성장에 미치는 방식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9세기 세균이 발견되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세균의 발견
진화
론에 따르면 약 46억 년 전에 지구가 생겨나고 약 35억 년 전보다 일찍 최초의 생물체가 탄생했다. 엄청난 세월이 흘러 수백만년 전에 유인원이 등장했고 현생인류가 등장한 것은 기껏해야 10만 년이었다. 그로부터 인류는 아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히포크라테스는 왜 '의학의 아버지'로 불릴까
2024.02.04
핀치의 부리가 실제로 기후와 같은 환경변화에 의해 빨리 발생할 수 있음이 관찰되면서
진화
이론을 설명하는 증거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히포크라테스 조각상. 위키미디어 제공 ● 질병의 원인에 대한 패러다임을 바꾼 히포크라테스 의학의 역사를 빛낸 수많은 학자들중에서 히포크라테스 ... ...
[과기원NOW] KAIST, AI로 사람의 뇌에서 '음악 본능' 찾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문화권에서 음악 정보처리의 공통된 기저를 형성하는 데 자연소리 정보처리를 위한
진화
적 압력이 기여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면서 “사람과 유사한 음악성을 인공적으로 구현한 음악 생성 AI, 음악 치료, 음악 인지연구 등에 원천모델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수 있다. 반면 잎처럼 독소가 잔뜩 들어있는 먹이를 먹는 동물은 뛰어난 해독 시스템이
진화
한 상태라 웬만해서는 탈이 나지 않는다. 또 침에 타닌 같은 분자와 결합하는 단백질이 많이 있어 떫고 쓴맛에 둔감하다. 반려동물의 대명사인 고양이와 개를 키울 때 먹이에 주의해야 하는 것도, 이들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기울기를 극대화하기 위해 세포 사이 공간을 만들어 공기로 채워 빛이 많이 산란하게
진화
한 걸까. 만일 그렇다면 식물은 뛰어난 광학자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고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덫에 갇힌 동료 구하는 돼지
동아사이언스
l
2023.12.10
사이언스 6675호 표지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 주 표지로 궁금한 표정으로 카메라 렌즈를 바라보는 소의 얼굴을 실었다. 함께 적힌 문구 ... 길들여왔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간성의
진화
에 대한 통찰력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가능성은 사실상 '0'이다. 결국 커피 한 방울의 분자 조성은 오랜 세월 선택을 통해
진화
한 결과이고 여기에는 생물이 개입됐다고 볼 수밖에 없다. 빅뱅 이후 우주에서 가능한 대상(objects)의 수는 시간이 흐를수록 늘겠지만, 선택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복잡도가 커질수록 복제수(copy number)는 적어질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적이 있으며 초파리, 바다달팽이와 같은 여러 모델 동물들이 고등동물에게도 존재하는
진화
적으로 보존된 학습과 기억의 분자 메커니즘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소개한 바가 있다. 더 단순하고 보잘 것 없어 보이는 생명체도 기억능력이 있을까. 한가지 예로 해파리를 들 수 있는데 이 동물은 몸의 9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