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절
분할
분리
절제
자르기
단교
절교
스페셜
"
절단
"(으)로 총 8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바이러스의 창 막는 박테리아의 방패
2020.10.13
업적인 제한효소는 박테리아의 선천면역계다. 제한효소는 DNA의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해
절단
하는 효소로 게놈에 이 서열을 지닌 바이러스를 무찌를 수 있다. 제한효소 역시 유전자 재조합 수단으로 응용돼 바이오 시대의 문을 여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물론 바이러스(파지)도 박테리아의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카스9(Cas9‧왼쪽)은 이중가닥 DNA를
절단
하는 반면, 크리스퍼-카스13(Cas13)은 단일가닥 RNA를
절단
하는 등 종류에 따라 교정하고자 하는 표적이 다르다. 크리스퍼라는 염기서열을 처음 발견한 학자도 있다. 크리스퍼는 원래 대장균의 게놈에 존재하던 특이한 상보적 염기서열이었다. 예를 들어 단어라면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화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7
데 특화된 기능을 가졌다. 그렇다면 캐스 단백질은 같은 기능을 가졌을까? 바이러스 DNA도
절단
할 수 있을까? 그녀는 연구그룹을 이런 질문들을 푸는 데 투입했고, 몇 년 뒤 몇 가지 다른 캐스 단백질의 기능을 밝히는 데 성공했다. 동시에 다른 대학의 다른 연구 그룹이 새로 발견된 크리스퍼-캐스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2020.10.07
RNA만 교체하면 얼마든지 새로운 유전자 가위를 만들 수 있어 편리하다. 두 사람은
절단
효소로 Cas9을 쓰는 ‘크리스퍼-캐스9’을 개발했다. 두 사람이 개발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사람과 동·식물 세포에서 특정 유전자가 있는 DNA를 잘라내는 효소다. 교정을 하려는 DNA를 찾아내는 길잡이 RNA와 ... ...
노벨화학상 받은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싶은 표적 DNA를 인식하면 캐스9과 복합체를 이뤄 DNA 이중가닥을 모두 자른다. 그런 다음
절단
부위에 원하는 DNA 시퀀서를 추가하면 유전자 교정이 완료된다. 크리스퍼-캐스9의 가장 큰 장점은 DNA에서 원하는 부위를 정확하게 잘라내는 능력이다. 다만 DNA 시퀀스를 별도로 넣어 교정한 크리스퍼 ... ...
[쉽게 다시 풀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조작설? 전문가들 "근거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단백질이 세포에 침투하려면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절단
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
절단
부위가 감염에 더 유리하게 바뀌었다는 점도 근거로 들었다. 옌 연구원은 “현재 기술로 실험실에서 6개월이면 충분히 바이러스를 바꿀 수 있다”고 주장했다. ●잘라붙였다는 염기서열 자연적으로도 생겨 ... ...
[팩트체크] 우한연구소 코로나바이러스 조작설 논문...전문가들 "증거 불충분"
동아사이언스
l
2020.09.16
자를 수 있는 염기서열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해당 서열이 있는 곳은 유전자 삽입이나
절단
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서열 자체가 흔해서 서열의 존재만으로 제한효소가 작용한 부위인지는 알 수 없다는 것이다. 구조생물학자인 남궁석 SLMS 대표 역시 전화 통화에서 “제한효소가 작용하는 ... ...
[팩트체크] 홍콩연구자 "코로나19 우한연구소에서 나왔다는 증거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4
나뉘면서 본격적으로 침투한다. 연구팀은 이 단백질 RBD의 주요 변이를 비교하고, 단백질
절단
에 관여하는 염기서열 구성을 비교했다. 그 결과 천산갑 등 동물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와 거의 같은 RBD를 지니고 있고, 세포나 동물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했다면 유전적으로 매우 비슷한 ‘조상’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성공하게 도와주는지는 아직 모른다. 두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는데 먼저
절단
부위의 세포벽 셀룰로스를 분해해 접촉면에서 셀룰로스 섬유가 다시 형성될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접착제를 바르고 열을 가해 녹인 뒤 붙이면 더 단단하게 붙는 것과 비슷한 ... ...
원자력안전위, '정기검사' 한빛 2호기 재가동 승인
연합뉴스
l
2020.08.26
결과 원자로 운전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정기검사 기간 격납건물 내부철판(CLP)을
절단
한 결과 공극 3개소를 확인해 건전성 평가와 공극 보수를 마쳤다. 지난 정기검사에 이어 추가로 CLP 두께를 점검했지만, 기준치(5.4㎜) 이하 CLP는 발견되지 않았다. 증기발생기 전열관 검사에서는 관 막음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