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몰락
실추
전도
구르기
낙하
스페셜
"
전락
"(으)로 총 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행동의 진화] '남 잡이가 제 잡이'
2021.05.30
모든 사람은 거대 기업의 직원이 되거나 아니면 국가로부터 생활보조금을 받는 처지로
전락
한다는 것이다. 분명 그런 움직임도 있지만, 비용이 너무 비싸다. 끊임없는 인수 합병으로 거대한 조직을 만들어 버티고 있지만, 언제까지 지속 가능할지 의문이다. 앞으로는 막대한 보상 혹은 엄청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과학자 사회의 불평등에 대하여
2021.03.12
과학자는 사회적인 책임을 완수하는 지식인이 아니라, 이기적인 욕망의 노예로
전락
할 수 있다. 그건 한 국가가 감수해야 하는 큰 손해가 될 수 있다. 한국 과학자사회의 계층화 그리고 과학계의 마피아들 픽사베이 제공 박희제 교수와 김명심 박사는 2011년 “한국 과학자의 경력초기 생산성과 ... ...
변경,또 변경…기본계획 변경만 3차례 중이온가속기 ‘애물단지’
전락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2.12
기초과학연구원이 대전에 건설 중인 라온 중이온가속기 조감도.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노도영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은 지난 1월 4일 신년사를 통해 중이온가속기가 당초 목표인 2021년 내 구축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진단에 따라 “중이온가속기 건설구축사업 및 사업단 운영에 대한 미래 방향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기술의 추락을 부추기는 정부
2021.02.10
감사로 허공으로 날아가 버렸다. 우리 과학계도 전 세계 과학계의 우스갯감으로
전락
해버렸다. 검찰이 과기부의 고발을 ‘혐의 없음’으로 판단한 후에도 과기부 차원에서 부끄러운 실수에 대한 사과와 유감 표시는 없었다. 오히려 당시 어처구니없는 일을 저지른 차관과 감사관은 여전히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과학기술이 보이지 않는다
2020.11.25
과기정통부가 공개적인 사과를 하지도 않았다. 과기정통부의 모함으로 사기꾼으로
전락
해 재판을 받고 있는 과학자도 있다. 자율은 저절로 주어지지 않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세종특별자치시 세종파이낸스센터에서 현판식을 개최하는 모습이다. 과기정통부 제공 이제 과학기술계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벌새 눈에는 가을 단풍이 어떻게 보일까
2020.11.03
유전자 넷 가운데 둘을 잃어 SWS1과 LWS만 남았고 그 결과 4색형 색각에서 2색형 색각으로
전락
했다. 생쥐는 여전히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원래 SWS1은 자외선에 민감하지만 몇몇 포유류에서 돌연변이가 일어나 민감한 파장대가 바뀌면서 자외선은 보지 못하게 됐다(사람도 여기에 해당). 한편 몇몇 ... ...
[인간 행동의 진화] 시대가 변하면 명당도 바뀐다
2020.11.01
커졌다. ‘사회적 거리 두기’를 할 수 없으니 말이다. 명당은 집단 발병 지역으로
전락
했다. 동물학자 조지프 키세커와 데이비드 스켈리는 회색청개구리가 산란할 장소를 어떻게 결정하는지 연구했다. 회색청개구리는 미국산 달팽이가 사는 웅덩이에 같이 산다. 이 달팽이는 감염성 흡충의 중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이러스기초연구소, 전면 재검토해야
2020.08.19
배출한 과학강국이 전 세계 감염자의 26%와 사망자의 23%를 발생시킨 최악의 감염국으로
전락
해버렸다. 정부 주도의 대형 연구소가 능사가 아닐 수도 있다는 뜻이다. 성급한 논공행상은 독이다 하루빨리 코로나19의 굴레에서 벗어나고 싶은 정부·여당의 입장은 충분히 이해가 된다. 그렇다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이러스기초연구소도 원점에서 검토하자
2020.07.08
위험한 시도다. 자칫하면 어설프게 설립한 바이러스기초연구소는 과기계의 애물단지로
전락
하게 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여전히 정체성이 불확실하고, 뚜렷한 성과도 내지 못하고 있는 파스퇴르연구소의 시설을 활용한다는 구상도 쉽게 용납하기 어려운 것이다. 자칫하면 파스퇴르연구소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사비즈니스로 추락한 과학연구
2020.06.18
과학연구는 과학적 발견을 위한 목표보다, 연구기관의 유지와 확장을 위한 도구로
전락
한다. 유리 라제브닉은 이런 잡종 시스템을 ‘유사비즈니스(pseudo-business)’라고 부른다. 과학을 참칭하는 유사과학처럼, 현재의 과학연구 시스템은 조직을 유지하고 확장하는 것 외에는 아무런 관심이 없는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