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기
장기간
긴
오래
오랜기간
기드림
specialty
스페셜
"
장기
"(으)로 총 1,41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윤리 논란 넘나드는 인공 인간배아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3.10.21
배아를 14일 넘게 배양하면 안 된다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바 있다. 14일은 척추와
장기
등 인간의 신체를 형성하는 발생 첫 단계에서 나타나는 '원시선'이 출현하는 시기다. 줄기세포를 사용한 인공배아 모델을 제시한 대표적인 연구는 제이콥 한나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 연구원팀의 연구다. ...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
2023.10.06
tACS에 의해 더 높은 기억 회복 및 증강 효과를 얻었다는 결과는, 노화에 의한 기억 저하는
장기
시냅스 가소성 메커니즘이 노화에 의해 많이 저하되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암시한다. 4일 동안의 뇌자극 과정 중 기억 증강효과의 속도와 1달 후 증가한 기억 능력의 정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 ...
[일상 속 뇌과학] 내 기억이 내 아이에게 유전될 수 있을까?
2023.08.25
stimulus; US)과 나와 상관없는 중립적인 자극 (conditioned stimulus; CS) 정보들이 연합된다면
장기
기억으로 저장될 수 있고 그 후 중립적인 자극을 만나도 무조건적 자극을 떠올려 반응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전등불이 켜질 때마다 앉은 의자에서 전기가 흘러 아프다면 ‘전등불’이라는 조건적 자극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근거없는 주장 펴는 사람, '가짜뉴스'에 더 잘 속아
2023.08.05
그닥 높지 않을 것이다. 자신이 항상 옳다고 생각하면 단기적으로는 기분은 좋겠지만
장기
적으로는 시간이 지나도 성장이 없고 정체되어 있다는 점에서 생산적인 삶을 살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삶의 시간은 유한하다. 늦게 깨닫기보다는 하루라도 빨리 내가 자주 하는 헛소리들과 잘못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위험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은 ‘과학’
2023.08.01
부정할 수 없는 명백한 사실이다. 방사능 측정 장치로 확인할 수도 없는 수준의 방사능이
장기
적으로 수산물과 인체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은 명백한 가짜 과학일 수밖에 없다. 명백한 과학적 사실에 대한 인식이 보수와 진보의 정치적 이념에 따라 달라진다는 주장도 억지다. 지난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
2023.07.28
시험한 모든 약물이 MDMA와 유사하게 보상 행동 관련 측좌핵(nucleus accumbens) 시냅스의
장기
저하(long-term depression)을 유도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약물 처리 이후에 측좌핵 내 유전자 발현 변화도를 전사체 분석을 통해 모니터링 한 결과 각 약물들에 의해 공통적으로 발현도가 변화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세계 최초 '세포 지도' 완성…
장기
와 세포 상호작용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7.22
않았다. 연구팀은 소화에서 면역 체계 형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능을 하는
장기
인 장에 주목했다. 20명의 기증자로부터 소장과 대장을 얻어 총 8개 영역의 세포를 분석했다. 각 세포의 분포와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 ‘코덱스(CODEX, co-detection by indexing)란 분석 기법을 사용됐다. 특정한 단백질과 ... ...
[기후위기와 산림] 전세계 75% 사막화 진행...미세먼지로 되돌아온다
2023.07.19
것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심은 나무가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장기
적으로 안정적인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사막화 방지 조림사업의 성패를 사업 완료 당시의 상황으로만 섣부르게 판단해서는 안 된다. 대부분의 국제기구와 국가 자료를 검색해보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스파탐' 발암 논란의 이면...'맛은 몸 전체가 느낀다'
2023.07.12
수 있기 때문이다. 인공감미료가 단기적으로는 체중감소와 당뇨 완화에 도움이 되지만
장기
간 과용하면 비만과 당뇨를 오히려 유발할 수도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꿩 먹고 알 먹고’라는 말이 있지만, 내 경험으로는 이는 예외적인 경우이고 마주하는 상황 대부분은 ‘세상에 공짜는 없다’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기억하고 이를 위험상황에서 떠올리고 대처하는 단순한 행동이 그것이다. 따라서 단기
장기
기억이 형성되고 조절되는 동안 일어나는 분자 및 세포수준의 변화 관찰에 용이하다는 장점을 살려 콜롬비아대 에릭 켄델(Eric Kandel) 교수는 학습과 기억의 분자의 주요 메커니즘을 밝힌 업적을 인정받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