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상사
비슷함
일치
닮음
부분적 일치
부분적 부합
비슷한 사례
스페셜
"
유사
"(으)로 총 930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조작에 의한 생쥐의 노화성 기억 감퇴 회복. 사이언스지 제공 예쁜꼬마선충 연구결과와
유사
하게도 생쥐에서의 Gαq의 지속적 활성 유전자 조작은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시냅스 가소성(synaptic plasticity) 관련 유전자 발현을 크게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노화과정에 줄어든 시냅스 숫자 및 신경세포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러시아 원정 실패 이유는 '발진티푸스'...나폴레옹의 전쟁(4)
2023.06.27
환자가 더 많은 멕시코에서 연구를 진행했다. 그는 발진티푸스가 록키산 열과 아주
유사
함을 알아냈지만 자신이 감염되는 바람에 목숨을 잃고 말았다. 한편 세르비아의 프로바젝(Czech Stanislav Provazek, Stanislaus von Prowazek, 1875~1915)은 1914년에 이스탄불에서 발진티푸스가 유행하자 브라질에서 온 헨리크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인구감소·의대쏠림·대학해체의 삼각파도에 휩쓸리는 대학
2023.06.07
5쪽으로 제한된 신청서에 담긴 혁신의 유형은 다양한 모양이다. ‘대학간 통합’과 ‘
유사
학과 통합’은 평범한 아이디어다. 황당한 혁신 유형도 알려지고 있다. 학생이 원하면 학제(4년제·2년제)도 선택하고, 오프라인·사이버 학기도 선택할 수 있는 ‘학사 파괴형’도 있고, 고등학교 졸업생 대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연적이고 느슨한 관계 '친구'가 필요한 이유
2023.05.20
욕구를 이해하는 능력 향상 ● 관계적 특성 -
유사
성: 관심사와 가치관, 정체성의
유사
성 - 상호성: 한 쪽이 다른 한쪽에게 일방적으로 퍼주거나 받기만 하는 관계가 아니라 주고 받는 정도가 비슷함, 상호 존중 - 낮은 지배성: 서로 힘겨루기를 하거나 한 쪽이 다른 한쪽에게 권력적으로 우위에 있지 ... ...
[오늘과학] 마감 데드라인이 주는 압박감, 근거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4.25
교감신경이 활성화되는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다.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교감신경에서
유사
한 반응이 관찰됐다. 교감신경 활동을 저하시키는 유일한 요인은 스마트폰 사용이었다. 휴식 시간에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게시글을 읽거나 친구들과 연락을 취하는 동안 교감신경은 느슨해졌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미국 원주민, 기존 예상보다 훨씬 일찍 말 사육
동아사이언스
l
2023.04.02
종합해 예전에 아메리카 대륙 북부 지역에서 살던 말들이 스페인 말과 유전적으로
유사
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발견된 말의 흔적은 이 말들이 유럽에서 온 종이면서 기존 학설보다 훨씬 더 일찍 이 지역에 퍼졌음을 보여줬다"며 "이 말들은 늦어도 17세기 전반 ... ...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
2023.03.24
뇌-신체 상호작용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서인지 아니면 모든 종류의 기억들에게도 이러한
유사
하면서도 서로 다른 방식의 뇌-신체 상호작용이 관여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진 바가 전혀 없다. 하지만 이처럼 학습과 기억의 새로운 면모들을 계속 파헤쳐 나가다 보면 특정 기억들이 다른 ... ...
[오늘과학] 이모티콘으로 하는 감정표현이 행복감 키워
동아사이언스
l
2023.03.03
앞선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온라인에서 이모티콘을 이용해 얼굴 표정과
유사
하게 감정을 표현했다. 특히 이모티콘이 감정적 어조를 강조하고 의도를 명확히 하며 미묘한 기분을 표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류 연구원은 "온라인에서 더 많은 사회적 상호 작용이 이뤄짐에 따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제공 ● 세균(박테리아)에 의한 감염병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의 대두
유사
이래 사람과 세균(박테리아)은 함께 살아 왔다. 사람 피부에 붙어 있는 세균은 비누칠을 하고 샤워를 하면 대부분 떨어져 나가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서 다시 자리를 잡기 시작한다. 보통 때는 아무 일 없이 피부에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발굴했다. 그리고 애기장대와 같은 모델식물에서 보고된 유전자들을 토대로
유사
한 구조를 가지면서 내염성에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는 나무 유전자들을 가려냈다. 그렇게 찾은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킨 포플러를 간척지에 식재하니 염분 농도가 높은데도 불구하고 99% 이상의 높은 생존율을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