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스페셜
"
쌍
"(으)로 총 17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자연에는 두 종류의 입자가 있다
2022.03.03
네 개의 성분을 갖는 4x1 행렬로 주어지는데 이는 두 개의 성분을 갖는 전자의 스핀이 한
쌍
으로 들어가 있는 것과도 같다. 디랙은 처음에 이 결과를 양의 에너지를 가진 풀이와 음의 에너지를 가진 풀이로 해석했다. 그러나 나중에 디랙방정식의 또 다른 두 성분은 전자와 전기전하가 정반대인 입자, ... ...
코로나19 백신 맞아도 생식능력 영향 없다...난임 환자들에서도 차이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2.01.25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2020년 12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미국과 캐나다 내 부부 2126
쌍
을 분석한 결과 백신을 1회 이상 접종한 여성의 임신률은 접종하지 않은 여성과 거의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에서도 백신 접종자와 미접종자 사이 임신률이 차이가 나지 않았다. 오히려 코로나19 감염이 ... ...
폭 1㎞ 소행성 19일 오전 지구 근접 통과…충돌 가능성은 없어
연합뉴스
l
2022.01.12
접근하는 소행성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EPA=연합뉴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
쌍
(雙) 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 우주선이 지구에 근접한 소행성 디모르포스와 디디모스에 다가가는 모습을 담은 상상도. 다트(DART)는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하는 참사를 막기 위해 인류 최초로 소행성에 다가가 ... ...
[현장!CES2022]스스로 건물 세우고 농사 짓는 기계들이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05
완전 자율농업이 가능한 트랙터를 공개했다. 360도 장애물 감지와 거리 계산이 가능한 6
쌍
의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한 트랙터로 0.1초 안에 장애물을 감지해 트랙터에 장착된 쟁기나 끌의 움직임을 결정한다. 존디어는 “자율 트랙터를 사용하려면 농부가 기계를 밭으로 옮기고 자율 작동을 ... ...
2022년 우주에서 뉴스 쏟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1.04
관리 방식에 변화를 줄지에도 이목이 쏠리고 있다. NASA가 지난해 11월 발사한 우주선 ‘
쌍
(雙) 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다트)’ 탐사선이 올해 9월 지구에서 약 1100만㎞ 떨어진 곳에서 축구장 크기의 소행성 디모르포스와 충돌한다. 550kg의 다트는 초속 6.6km 속도로 디모르포스에 충돌해 지구에서 ... ...
[프리미엄 리포트] 달 토양 비밀 한국산 관측기기가 밝힌다
과학동아
l
2022.01.01
날아오는 입자와 표면에 반사되는 입자를 확인하고 차이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두
쌍
의 검출기가 각각 서로 다른 성분을 검출하는 것도 특징이다. 한쪽은 전자를, 다른 한쪽은 양성자를 검출하도록 설계돼 있는데 한꺼번에 섞여 들어오면 물리적 특성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연구에 참여한 ... ...
[과학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호모 사피엔스 진화∞관계&미래? 특별전' 28일부터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1.12.27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국립중앙과학관은 ‘호모 사피엔스 진화∞관계&미래? 특별전’을 28일부터 내년 3월 27일까지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 미래기술 ... 모션 캡처 영상물과 국내 첫 공개되는 초기 인류인 호모 날레디 복원품, 한국에서 출토된
쌍
코뿔이 아래턱 등이 전시된다 ... ...
미리 보는 2022년 10대 우주 뉴스
2021.12.25
9월경 진행된다. 지난 11월 23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된 ‘
쌍
소행성 궤도수정 실험(DART)’ 우주선이 주인공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개발한 이 무인 우주선은 내년 9월 말쯤 지구에서 약 1100만㎞ 떨어진 지점에서 지구 근접 소행성 ‘디모르포스’에 초속 6.6㎞ ... ...
[강석기의 과학카페]기장의 재발견
2021.12.14
7만6000여 개에는 한참 못 미친다. 종의 합성으로 사배체 식물이 나온 뒤 진화과정에서 두
쌍
이 된 유전자의 절반 가까이가 사라진 결과로 보인다(기능이 겹치므로). 그럼에도 4배체에서 중복된 유전자의 일부는 새로운 기능을 갖게 진화했고 그 결과 식물의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했을 것이다. 예를 ... ...
[표지로 읽는 과학]7500만년 전 살던 공룡에서 발견된 곤봉모양 꼬리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21.12.12
조합하자, 마치 양서류 식물과 흡사한 모양의 독특한 꼬리가 나타났다. 꼬리 말단이 7
쌍
의 평평한 골배엽으로 감싸진 구조였다. 이전까지 무기로 사용할 정도로 발달한 꼬리를 가진 공룡은 스테고사우루스와 안킬로사우루스 등 두 부류로 알려졌다. 스테고사우루스의 꼬리는 뒤로 갈수록 얇아지는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